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어린이과학동아
"
하늘
"(으)로 총 3,824건 검색되었습니다.
똥의 향기에 취하다 (1)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013
항문으로 내보내는 찌꺼기. 국어사전에 나와 있는 똥의 의미다. 입으로 들어간 음식이 소화되어 나왔을 뿐인데 음 식과 똥의 대접은
하늘
과 땅 차이다. 똥이라는 말도 입에 올리기 싫다. 대신‘대변’이나 ‘배설물’등의 우아한 단어를 쓴다.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란다’는 속담은 똥에게 세상에서 최고로 더럽다는 불명예까지 덤으로 얹어 준다. ...
역사를 바꾼 무기의 과학 (1)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914
{tIMG_c11}
하늘
을 정복한 자, 누가 이기리오 {bIMG_r12}1903년 미국의 라이트 형제는 세계 최초로 비행기를 발명해 비행에 성공합니다.
하늘
을 날고 싶다는 인류의 꿈이 이루어진 순간이었지요. 하지만 라이트 형제의 이 기술은 곧바로 미 국방부에서 전투기를 만드는 데 쓰입니다. 미국뿐만 아니라 많은 나라들이 전투기 개 ...
고려청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913
가을
하늘
을 집안에 들이다 어느덧
하늘
이 높고 푸른 가을이에요. 가을하면 떠오르는 빛깔이 무엇인가요? 노랗고 빨간 단풍빛도 떠오르지만 뭐니뭐니해도 시원한
하늘
빛이지요. 우리 조상들은 이
하늘
빛을 가을에만 보기 아 ... 볼 수 없는 독창적인 기법으로‘상감법’이라고 불리지요. 1000년의 세월이 지나도 그 아 ...
여기는 화성, 지구 나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30
화약을 넣고서 발사대에 설치했어요. 내 손으로 점화 스위치를 누르자“펑”하는 큰 소리와 함께 내가 만든 로켓이 불꽃을 내뿜으며
하늘
높이 치솟았어요. 100m나 올라가더니 착륙선에서 낙하산이 펴지며 천천히 내려오더군요. 누가 더 높이 올라갔나, 누가 더 안전하게 착륙했나 겨뤘지요. 하하. 내가 만든 첫 로켓. 몇십 년 뒤에는 진짜 로켓을 만들어 ...
지구용사 어과동 파이브! (1)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30
큰 새다. 바다 위를 유유히 날고 있던 군함조의 눈이 갑자기 반짝이더니 바다로 다이빙을 했다. 그때 속도를 측정해 보니 시속 400㎞!
하늘
을 날수 있으면서 빠르기까지 한 군함조를 아무런 망설임 없이 지구용사 어과동 파이브의 첫 번째 동물로 선정했다. 빠른 동물이라면 바로 나! 치타 동물의 천국 아프리카. 초원의 덤불 사이로 보이는 멋진 얼룩무 ...
지구용사 어과동 파이브!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30
그들의 우주선에서 나오는 이상한 빛은 닿자마자 모든 것을 가루로 만들어 버렸다. 어과동 스피드가 어과동파워를 등에 업고
하늘
로 날아올랐다. 외계인들은 약간 당황하며 빛을 쏘아 대기 시작했다. 그러나 어과동 스피드는 시속 400㎞로 재빠르게 날아 우주선 근처로 다가갔다. 어과동 파워가 우주선으로 올라가 강한 힘으로 우주선을 우그러뜨리기 시작했다 ...
서양 귀신 VS 동양 귀신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727
돌아가고‘넋’으로 알려져 있는 백은 땅으로 돌아가고 귀는 이승에서 떠돈다고 생각했지요. 문제는 귀입니다. 아무 아쉬움 없이
하늘
로 가는 혼, 3년 동안만 제사를 받으면 없어지는 백은 인간에게 해를 안 끼치지만 귀는 다르지요. 대부분 억울한 죽음을 당한 사람이 귀가 되는데 그 억울함을 풀어 줄 때까지는 이승에 남아 사람을 괴롭힌다고 생각했어요. ...
3짱 프로젝트-건강한 눈,예쁜 눈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727
책을 보거나 컴퓨터를 했다면 10분은 눈을 쉬도록 해 주세요. 이 때 5m 이상 멀리 떨어진 물체를 보는 것이 좋아요. 그냥 먼 산이나 먼
하늘
을 바라보는 것보다 한 가지 물체를 집중해서 보는 것이 좋습니다. TV를 볼 때도 3m 이상 떨어져 보도록 하세요. 책이나 컴퓨터를 볼 때의 밝기와 자세도 중요합니다. 너무 어둡거나 밝은 곳에서 보지 말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29
수 있다. 지구에서 12억 8000만 킬로미터 허블우주망원경이 찍은 토성의 모습. 토성은 지구에서 12억 8000만 킬로미터나 떨어져 있다. 밤
하늘
에 떠 있는 토성은 밝게 빛나는 별에 지나지 않지만, 망원경을 통해 보면 토성 주위를 감싸고 있는 환상적인 고리를 볼 수 있다. 성능이 그다지 좋지 않은 망원경을 사용했던 갈릴레오는 토성에 귀가 달렸 ...
우리는 왜 월드컵에 열광할까?(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14
슛이라도 막아 주마, 든든한 골문 지킴이 시속 110㎞가 넘는 속도로 날던 공이 갑자기 휘어져 골문으로 빨려들어간다.
하늘
로 치솟다가 갑자기 골대로 꽂히는 슛도 있다. 공의 회전력과 저항을 이용한 과학적인 슈팅이 쏟아지는 이 때 골키퍼는 어떤 작전으로 공을 막아 내야 할까? 승부차기에서 골키퍼가 날아오는 공을 보고 몸을 움직이는 데 걸리는 시간 ...
이전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