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태
상황
현황
정세
사정
페노메논
실태
d라이브러리
"
현상
"(으)로 총 7,70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형용 '죽음의 칵테일' 시험대 올라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에 따라 한바퀴 어긋나게 하면 나사식으로 격자면이 한 계단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현상
을 말한다 결정의 자성 이온이 가진 자기모멘트의 방향이 특정한 결정축(나사축이라고 함)에 수직면 안에서 평행하게 줄지어 나사축 방향으로 한바퀴 나아갈 때마다 일정한 각도(회전각이라고 함)씩 회전하는 ... ...
태양보다 뜨거운 반도체칩?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붙여 만든 회로에 직류전류를 흘리면 한쪽 도체는 가열되는 반면 다른 한쪽은 냉각되는
현상
이다. 칩 뒷면에 펠티에효과가 나타나는 실리콘과 금속으로 이뤄진 전극을 붙여 전류를 흘리면 칩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반도체칩의 집적기술이 제아무리 발전한다고 해도 칩의 열을 효과적으로 잡지 ... ...
21세기 청진기, 의료영상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단면을 보여준다.그런데 X선에 자주 노출되면 건강에 안 좋다는 인식 때문에 인체의 공명
현상
을 이용한 MRI라는 의료영상이 고안됐다. 자기장 환경에서 고주파 에너지를 받은 원자는 자기장이 사라지면 받은 에너지만큼 내놓는다. 이렇게 에너지를 방출하는 과정을 ‘공명’이라 한다.MRI는 몸속에 ... ...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상처부위에 미생물이 감염됐을 때 몸의 ‘선천성 면역계’가 과도한 반응을 일으키는
현상
이다. 유해 단백질이 침입하면 몇 분 안에 선천성 면역세포 중 하나인 T세포가 이물질에 직격탄을 날린다.오 단장은 선천성 면역반응이 일어날 때 유해단백질이 침입했다는 신호가 몸 곳곳의 세포로 전달되는 ... ...
새해에 새로운 태양주기가 시작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바뀌는데, 흑점과 코로나 방출, 플레어
현상
등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극대기와, 이러한
현상
들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극소기를 지나게 돼요. 소호 위성이 지난 12년 동안 태양을 관측한 사진에 따르면 1996년과 2007년이 극소기, 2001년이 극대기라는 걸 알 수 있어요. 과학자들은 여러 가지 자료를 ... ...
주변 은하 공격하는 블랙홀 발견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강하게 물질을 뿜어 주변 은하를 후려치는 드문
현상
이 발견됐다. 지난 12월 17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물리센터 댄 에반스 박사팀이 두 은하로 구성된 천체 3C321에서 더 큰 은하의 블랙홀에서 나온 고에너지 입자들이 작은 은하를 강타하는 장면을 처음 포착했다고 밝혔다.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수직인 축에 대해 235˚ 기울어져 있는 지구의 자전축이 팽이처럼 뒤뚱거리며 움직이는
현상
정자가 이동하는 관은 막혀있지 않지만, 유전적 문제 때문에 정원줄기세포로부터 정자를 생산하지 못하는 남성 불임환자스스로 자석이 되는 물질 강자성체 안에 있는 전자들의 스핀이 모두 한 방향으로 ... ...
PART 1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 D-99 체크리스트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있다. 최 단장은 “제올라이트 결정성장 실험과 고층대기망원경으로 찍을 ‘메가번개’
현상
은 결과가 좋을 경우 ‘네이처’나 ‘사이언스’ 같은 저명한 과학 저널에도 실을 만한 연구성과를 얻을 수 있다”고 귀띔했다.과학자들만 우주실험을 기대하는 건 아니다. 우리 우주인이 ISS에서 머무는 ... ...
'휴보' 기술로 개기일식 촬영하는 로봇공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달이 태양의 한복판만 가리고 둘레를 가리지 못해 태양이 고리 모양으로 보이는
현상
)을 만나러 태평양으로 날아갔다. 서태평양 사이판 섬에서 남쪽으로 5km 떨어진 티니안 섬에서 ESPN 중계를 통해 한국과 미국의 조별예선전을 보고 나서 일식을 관측했다.2004년 12월에도 호주 시드니 서부해안에서 ... ...
'팔방미인' 독도의 속살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독도혼합효과’라고 이름 붙이기도 했다. 이처럼 독도에서만 나타나는 해양물리
현상
을 이해하면 동해의 해양생태계를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다.독도엔스와 독도심층류, 독도효과처럼 국제학술지에 독도라는 이름이 들어간 과학적 성과가 많이 발표될수록 한국과 독도의 연결고리가 ... ...
이전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