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리우스 커플의 빛나는 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그로부터 얼마 뒤 베셀에 의해서였다. 짝꿍을 발견하다19세기 초 천재 천문
학자
이자 수
학자
인 베셀은 밤하늘의 좌표를 정밀히 구하고 기준성으로 삼았던 38개 별의 정확한 위치를 발표했다. 그는 이 기준성들의 고유운동을 정밀히 연구했는데, 그 가운데서 베셀이 가장 흥미를 보인 별이 바로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분비되는 액체로 질의 산성을 중화시킨다 이 액체가 분비되는 장소와그 역할을 해명한
학자
의 이름을 따 쿠퍼선액이라 부른다 여성의 질은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 산성을 띠고 있다맨눈으로 관찰하면 한 개의 별로 보이지만 천체망원경 같은 광학기로 보면 두 개 이상으로 보이는 별을 이중성이라 ... ...
INTRO X선에서 전파까지 합동수색작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현장에 비유될 수 있겠다.이제 인류의 진화와 개인의 일생에 비유될 수 있는 7명의 천문
학자
이야기를 들어보자. 이들은 모두 한국에서 나고 자라서 세계 최첨단 현장에서 뛰고 있는 한국 대표주자들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를 뒤지는 한국인 INTRO X선에서 전파까지 합동수색작전 1. ...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하나만 만들면 되겠다 싶었다.이갑신이라는 단짝 친구는 사업을 하고 윤 교수는 과
학자
가 되자고 약속했다. 약속대로 그는 캘리포니아공대에 입학해서도 물리를 전공했다. 그러다 대학원 때부터 흥미를 느껴 시작한 것이 천문학이었다. 학부 때 교수님을 따라 천문대에서 별을 관측했던 경험이 ... ...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있는 물은 갈색을 띠어 식물의 색과 선명하게 대조된다.이곳에서 빙하를 연구하던 지질
학자
아버는 연에 디지털카메라를 매단 뒤 땅에서부터 50~150m로 띄워 올려 촬영에 성공했다. 비행기보다는 낮고 고층빌딩보다는 높은 중간 높이라 이렇게 독특한 색깔, 질감, 해상도를 얻을 수 있었다고 ... ...
중국 두 번째 유인우주선 선저우6호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다르다2세기경 로마 사람 갈레누스(Galenus)가 저술한 의학서(醫學書) 고대 의
학자
히포크라테스(Hippokrates)의 저서와 함께 의학계에 크게 공헌했다함수방정식의 근사해법의 하나 형식적으로는 비선형의 문제, 비보전계의 문제 등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옥사진핵을 가진 ... ...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사는 외계행성이 우리 손으로 발견될 날이 머지 않아 보인다.하와이 한국인 천문
학자
3인방 - 김삼,표태수,송인석표태수 박사와 송인석 박사는 서울대 85학번 동기이다. 표 박사는 천문학과 출신이고 송박사는 지구과학교육과를 졸업했다. 두 사람은 현재 하와이 마우나케아에서 거대망원경으로 ... ...
잃어버린 나를 다시 찾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전극을 이식할 가능성도 간과할 수 없다.마지막으로 루게릭병을 앓고 있는 저명한 물리
학자
인 호킹 박사의 말을 인용해본다. “인공뇌가 사람의 지능에 반하기보다 도움을 줄 수 있게 하기 위해 우리는 뇌와 컴퓨터를 직접 연결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을 최대한 빨리 개발해야 한다 ... ...
점이 뚱뚱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이들 가운데는 수학과 관계가 없는 사람도 많은데, 한 예로 이 분야에 크게 공헌한 언어
학자
미하엘 시사우를 들 수 있다.n×n으로 배열된 점을 한글 자음 ‘ㄹ’ 모양으로 (2n-1)개의 직선을 연결한 것을 ‘자명한 해’라고 하자. 지금까지 얻은 결과에 따르면 'ㄹ' 모양을 만드는데 필요한 직선의 최소 ... ...
10번째 행성에 위성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태양계 외곽의 암석과 얼음으로 이뤄진 ‘카이퍼 벨트’(Kuiper Belt)의 일부라고 믿는
학자
들은 위성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행성이라고 부를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수성과 금성은 위성이 없지만 일부 소행성들은 그 주위를 도는 작은 암석을 갖고 있다. 브라운 교수도 “제나의 위성 발견을 ... ...
이전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