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열
"(으)로 총 4,727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상이변의 말썽꾼 엘니뇨 현상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약 6개월 이상 계속해서 +0.5℃ 이상이 되는 현상을 말한다. 비전문적으로 말할 때는
열
대 태평양의 광범위한 해역에서 해수면온도가 평년에 비해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엘니뇨의 어원은 스페인어로 남자아이를 뜻하며, 특히 이 현상이 페루에서 크리스마스 경에 나타나므로 엘니뇨(El Niño)는 ... ...
3 평균수명 120세 실현눈앞에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미국과 일본의 식품회사와 제약회사들은 SOD를 다량 함유한 건강식품과 드링크류 개발에
열
을 올리고 있는 실정이다. SOD는 구조식이 밝혀져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그러나 효소이기 때문에 입으로 먹게 되면 소화기관에서 거의 흡수돼 중요한 곳에는 효력이 도달하지 못한다는 맹점이 있다.미국 ... ...
1. 온실기체 계속증가, 당분간 상승추세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地圈)은 지구의 고체 영역이며, 기권과의 직접 또는 생권을 통해 간접적으로 대기와
열
과 수분을 교환한다. 또 강수를 지표수와 지하수로 분산함으로써 지표 환경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천문학적 기후변화 요인태양의 11년 주기변동태양 활동의 변화는 그 주기가 비교적 짧고 또 이 ... ...
그림으로 보는 정보고속도로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있다.4위·비즈니스 화상회의가정이나 사무실 어디에서건 앉은 자리에서 회의를
열
수 있다. 당연히 재택근무도 가능하다. 굳이 모르는 사람과의 첫 대면시 느끼는 어색함에 당황할 필요도 없어진다.3위·원격 교육전화선을 이용해 대학교육도 가능하다. 일방적으로 강의 내용을 내보내는 현재의 ... ...
놀라운 기능지닌 마술섬유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태양광(가시광선)을 효율좋게 흡수하여
열
(적외선)로 변환시킨 후 의복내로 방사하는 축
열
섬유다. 또한 인체로부터 발산되는
열
(원적외선)도 의복의 바깥으로 나가지 않고 반사시키기 때문에 보온성을 높일 수 있다.● 투습, 방수성소재종래의 비옷은 땀이나 수증기도 통과시키지 않기 때문에 ... ...
2. 온난화현상 일시적-곳곳서 빙하기 조짐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현재 인간의 활동에 의한 대기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에 의해 지구는 1${m}^{2}$당 1.5W의
열
을 더 받고 있다(메탄이나 산화질소 등의 온실 기체를 고려하면 그 크기는 2.5W${m}^{2}$ 정도다). 한 연구 결과는 황산염 에어로졸의 직접 효과에 의해서만 북반구 평균 1.1W${m}^{2}$의 에너지 손실을 보여주고 ... ...
3 검사, 언제부터 비롯됐나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것은 R.M.야키스다. 앙케이트 방식의 도입은 대량 데이터의 수집과 그 통계적 분석에 길을
열
었다. 인자분석이라는 수학적 수법에 의해 지능 그 자체의 존재를 주장한 사람도 있었다. 또 쌍둥이의 IQ가 꽤 상통한다는 데이터를 날조하기까지 하여 유전론을 주장한 사람도 있었다. 재미로 보는 ... ...
21C 100대 한국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부존 유무를 탐사하는 기술'이나 '백악기 화산암 분포지대에 부존 가능성이 있는 천
열
수 금광상 탐사기술'은 각각 2000년, 1998년경에 실현될 것이다 중요도가 높은 상위 10개 과학기술(괄호 안은 국내 실현시기) 1. 대단위 용수 사용 지역으로부터 회수한 물의 고도처리 시스템 및 중수도 ... ...
백두산 지질탐구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가스 성분의 함량이 크고 점성이 높은 산성용암과 화산쇄설암은 폭발성이 크고 고온의
열
운을 형성하는데, 폭발의 순간을 거의 예측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백두산은 언제 다시 대분출을 할 것인가. 분출한다면 어떤 형태가 될 것인가. 무엇보다 백두산 지역의 화산지질 지형변화 지진관측 등에 대한 ... ...
휴대용 전화도 전자파 피해 파문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송신출력은 0.6W. ANSI 상한의10% 밖에 안되는 강도지만, 전자파가 일부분에 집중하는
열
점효과를 가진다는 점에서 걱정거리다. 즉 휴대전화는 직접 귀에 대고 사용하기 때문에 문제라는 것이다. 전자파의 강도는 거리에 반비례하고 발생원에서 떨어지면 떨어질수록 그 영향이 적어진다.노벨상 후보가 ... ...
이전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