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이"(으)로 총 4,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룡들의 IQ과학동아 l1999년 11호
- 속도를 겸비한 유선형의 포식자이다. 섰을 때의 높이는 약 2m, 머리에서 꼬리까지의 길이는 3m 정도. 가볍고 긴 다리를 가져 전형적으로 빠르게 달릴 수 있는 공룡이다. 꼬리뼈를 따라 나란히 발달한 가는 뼈들은 꼬리를 단단하게 지탱하는 버팀목 구실을 한다. 이러한 구조는 먹이를 좇아 빠르게 달릴 ... ...
- 생물의 최후 천태만상과학동아 l1999년 11호
- 벼랑에 다다르면 처음에는 멈칫 바다에 뛰어들기를 주저하며 도망갈 곳을 찾다가 다른 길이 없다는 점을 알아차리고는 그만 바다에 빠져버린다. ‘집단 자살’이 자행되는 것이다. 확실한 원리를 밝히지는 못했지만 때가 되면 늙은 쥐들이 죽어줌으로써 집단의 밀도를 낮춰 결과적으로 종족보존에 ... ...
-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의 만남과학동아 l1999년 11호
- 안에 들어있는 세포핵의 지름은 약 4μm이다.● 아하! 그렇군요.DNA를 1줄로 연결했을 때의 길이는 염기 쌍 사이의 거리(3.4 X ${10}^{-10}$m)에 염기 쌍의 수(3 X ${10}^{9}$)를 곱한 값인 약 1m다.DNA 원통의 부피는 π(1 X ${10}^{-9}$m)²(1m) = π X ${10}^{-18}$m³이다. 구의 반 ...
- 간지럼타는 배롱나무와 음악듣는 오이과학동아 l1999년 11호
- 식물이 휘었다 폈다 하는 자극을 많이 받으면 체내에 에틸렌이 많이 분비돼 이것이 길이 생장을 억제하고 부피생장이 증가하도록 작용한다. 바람이 그칠 날 없는 고산지방에서 키 낮은 식물들이 많은 것도 계속되는 바람이 식물을 흔들어대기 때문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바람 ... ...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과학동아 l1999년 10호
- 무른 음식 탓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부위는 아래턱뼈다. 최근 10여년 간 턱의 폭과 길이가 5% 정도나 줄었다. 외관상 턱 끝이 이전보다 뾰족해졌다는 의미다. 음식이 무른 이유도 있겠지만 열풍처럼 번지는 다이어트 때문에 현대인들이 지나치게 입을 쓰지 않는게 아닐까.턱이 작아짐에 따라 ... ...
- 의학혁명 일으킨 방사선과학동아 l1999년 10호
- 중 가장 대표적인 X선은 자외선이나 빛(가시광선)과 같은 전자기파의 일종이다. 파장의 길이는 1-1천nm(1nm = ${10}^{-9}$m) 정도. 결국 자외선과 빛도 방사선이란 말이 된다. 이들은 X선처럼 인체나 생물에게 영향을 줄 만큼 에너지가 크지 않기 때문에, 방사선이라고 의식하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 ... ...
- 피타고라스의 음정 이론과학동아 l1999년 10호
- 진동수는 커지고, 현의 진동수가 클수록 높은 음이 나온다. 즉 음의 높이는 현의 길이에 반비례하고 진동수에 비례한다. 순정률에 따른 C장조 음계에서 각 음에 대응하는 진동수와 인접한 진동수 사이의 비를 보면 음정의 합과 진동수 비의 곱이 멋지게 대응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 ...
- 꼬리 묶은 어머니와 아들과학동아 l1999년 10호
- 적위 0도가 되는 점이다. 태양은 매년 3월 21일 춘분날 이 점을 통과한다.춘분날은 밤낮의 길이가 같고 이후 태양은 하늘의 남반구에서 북반구로 올라와 낮이 길어진다. 춘분점이 변한다는 사실은 히파르쿠스가 처음으로 알아냈다. 원전 150년 경 히파르쿠스는 별의 위치를 과거와 비교하던 중 ... ...
- 1. 20년 후 한국인 체형과학동아 l1999년 10호
- 재는 형상을 문자로 만든 것이며, 피트는 발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들 모두 30cm 정도의 길이를 의미한다. 신체를 이용한 용어들이기 때문에 다른 단위보다 아무래도 일반인에게 친숙하게 느껴진다.한국인의 경우 전통적으로 높이나 크기를 표현할 때 자신의 신체구조를 기준으로 삼는 경향이 강하다. ... ...
- 인간게놈프로젝트과학동아 l1999년 10호
- DNA는 23쌍(한쌍은 X, Y의 성염색체)의 염색체로 이뤄졌다. 이를 연결하면 폭 1천억분의 5cm, 길이 1백52cm가 된다. 이 안에는 30억개의 염기쌍이 들어 있다. 염기는 아데닌(A), 구아닌(G), 시토신(C), 티민(T) 등 4종류가 있으며, 이들은 AT, TA, GC, CG 등 4가지 염기쌍을 통해 유전암호를 만든다. 그렇다면 D ...
이전3743753763773783793803813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