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같은시간"(으)로 총 9,560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물은 우주왕복선을 타고!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5호
- 찍찍-찌찌찍!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안녕?30마리나 되는 쥐들이 떼로 있어서 놀랐지? 흠흠, 하지만 우리도 엄연히 우주왕복선 아틀란티스 호의 탑승객이란다. 뭐? 쥐가 우주에 간다는 게 말이 되냐구? 정말이라니깐~. 못 믿겠으면 따라와. 직접 보여 주지!굿바이, 우주왕복선!지난 21일, *우주왕 ... ...
- 사랑으로 다시 쓰는 신 애완동물 과학백과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4호
- “학교 다녀왔습니다~!”엄마가 학교 갔다 와서 흰둥이 밥 챙겨 먹이고, 산책도 시키라고 했지만 너무 힘들고 귀찮아!그리고 난 얼른 나가서 친구들이랑 게임하고 놀아야 된단 말이야~! 어이, 흰둥이!나는 나갔다 올 테니까 집 잘 지키고 있어! 유후~.어? 너 지금 내 바지를 입으로 물고 있는 거야? 어 ... ...
- 과학으로 보글보글, 요리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3호
- 이런…, 또 실패야! 아무리 다시 만들어 봐도 원하는 맛이 나오질 않아. 왜 내가 만든 요리는 다 맛이 없는 거지? 주방장님 말대로 정말 소질이 없는 건가….잠깐, 근데 이게 무슨 냄새지? 음~, 군침이 도는 걸! 나 말고 주방에 있는 사람이 또 있나? 킁킁~, 냄새를 쫒아….엥? 쥐? 쥐가 요리를 하고 있는 ... ...
- 기쁠 때 함께 웃어주는 감정 로봇과학동아 l2011년 12호
- “교수님. 질문이 있습니다. 요즘 ‘인공지능’이라는 말이 유행이잖아요. 연산장치인 컴퓨터가 어떻게 지능을 가질 수가 있습니까?”“아 그거? 쉬워. 이프 엘스(if else) 쓰면 되지.”대학교 2학년 때였던가요. 속칭 ‘뿜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학교 선배들이 3~4학년이 되면 ‘인공지능 언어’라 ... ...
- 어느 킬러의 인정 투쟁과학동아 l2011년 12호
- 마더 테레사는 말했다. 남이 나를 원하지 않는 느낌이 세상에서 가장 불행한 것이라고. 그런 불행을 피하고자 사람들은 사랑받고 인정받기 위해 안간힘을 다한다. 독일 철학자 악셀 호네트는 그와 같은 인정 욕구를 고찰한 책에 ‘인정 투쟁’이란 제목을 붙였다. 그만큼 인정 욕구가 치열하다는 의 ... ...
- 사람도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지난 5월 장기기증 신청자가 처음으로 10만 명을 넘어섰다. 반면 인체조직은 사망한 뒤 기증할 수 있다는 사실조차 거의 모른다. 인체조직기증은 각막과 피부, 뼈 등을 기증하는 것이다. 한 사람의 조직으로 무려 150명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다.조직기증은 각막과 피부, 뼈, 심장 판막, 양막, 연골, 인 ... ...
- 두 발로 기록한 새만금 7년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일주일씩, 걷고 또 걸었다. 처음 시작한 것은 초등학교 6학년 때였다. 그리고 7년. 고3이 된 올해까지 매해 여름 바다를 보고 거기 사는 사람들을 만났다. 해안선 변화를 기록하고 만난 생물종을 기록했다. 사진을 찍었다. 이야기를 들었다. 나중에는 수시로 찾아갔다. 바다와 하늘이, 자연과 사람이 ... ...
- 서울대 정시? 이렇게 준비했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비문학 공부로 준비한 논술임능환(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1학년, 동북고 졸업)‘이제 마지막으로 남은 시험이야. 여기까지 왔는데 잘 봐야 해’라고 속으로 계속 되뇌었어요. 시험장에 들어서니 압박감이 엄청났어요. 막상 시험지를 받고 문제를 풀기 시작하니 오히려 괜찮아졌죠.일단 자신 있는 ... ...
- Part 2. 심리학자, 명상에 빠지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2004년 어느 날 우연히 보게 된 책 한 권이 저를 명상으로 이끌었지요.”영남대 심리학과 김정모 교수의 모습은 한 눈에도 범상치 않았다. 운동복 웃옷에 개량 한복 바지를 입은 ‘편안한’ 옷차림이 교수라는 지위를 초탈한 듯하다. 임상심리학자인 김 교수는 최근 수년간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 ... ...
- 지리산이 감싼 1500년의 눈물과학동아 l2011년 12호
- 공수부대에서 복무하던 중 낙하산을 타고 내려오며 우리 산하의 모습에 감탄한 적이 있다. 특히 하늘에서 본 진해항의 아름다움은 지금도 머릿속에 남아 있다. 시간이 지나 대학교에서 조경이나 문화재에 대한 강의를 할 때 떠오른 것이 바로 이때의 기억이었다. 어렵게 7m 길이의 무인비행선을 만 ... ...
이전3743753763773783793803813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