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날
오늘
현세
요즈음
최신
최근
스페셜
"
지금
"(으)로 총 3,827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존 연구 반복해봐야 소용없어…새로운 것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2.11.26
방법’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라고도 했다. “반대로 말하면
지금
세포 신호전달물질이나 역분화줄기세포 분야에서 아무리 뛰어난 성과를 낸다고 해도 노벨상은 주어지지 않습니다. 남들이 전혀 도전하지 않았던 학문에 새롭게 뛰어들어야 하는 겁니다.” 이런 문화를 ... ...
“기초 연구에 투자한 만큼 성과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2.10.29
벌레나 생물에 더 관심이 있었기에 생물학을 선택한 것이 노벨상까지 받게 됐습니다.
지금
처럼 생물학 분야에 경쟁이 심했다면 불가능했을 거예요.” 존 거던 교수 친필 사인이날 거던 교수의 강연에는 국내외 줄기세포 전문가뿐만 아니라 인근 과학고 학생까지 500명이 넘게 참석해 뜨거운 열기가 ... ...
“범부처에 맞는 ‘옷’ 입혀주면 2020년에 글로벌 신약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9.24
KDDF)’이 이달 9일로 창립 1주년을 맞았다. 이동호 KDDF 단장은 지난 1년을 회상하며
지금
시점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범부처 거버넌스 확립’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단장은 “범부처 지원 사업단이기 때문에 시행착오는 당연하다”면서도 “신약개발은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한 ... ...
“교육 선진화도 못하면서 바이오선진화 꿈도 꾸지마라”
동아사이언스
l
2012.08.28
분석했다. 20~30년 전 정부 주도로 전자공학과 컴퓨터 소재 분야의 인재를 육성한 게
지금
처럼 세계 전자 및 반도체 분야 수위를 다투게 한 디딤돌이 됐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그는 요즘 한국의 우수 인재 대부분이 의대로 몰리는 현상은 심각한 문제라고 진단하며며 ‘20~30년 뒤에 한국의 대표 상품은 ... ...
[바이오선진화!]“벤처 많아야 바이오 벤처 경쟁력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12.07.23
덧붙였다. “출연연들이 건물을 더 짓는다고 해서 연구 경쟁력이 올라가지는 않습니다.
지금
은 애플사의 아이폰처럼 내용이 얼마나 훌륭한가가 더 중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수적입니다.” 박 CTO는 2000년 창업 때 연구원의 신분을 가지고 기업의 상임 대표를 맡을 수 있도록 ... ...
“국내 바이오벤처, 산업화 연구의 ‘프로’가 돼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7.09
사람들의 관심을 받자 1996년엔 PCR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기계 장치가 개발됐어요.
지금
은 PCR장비가 대량생산돼 이 분야에서는 누구나 다 씁니다. PCR 장비로 얻어낸 새로운 생명공학 자료들을 이용해 과학자들은 또 다른 아이디어를 얻는 단계에 이르렀지요.” 이 ‘선순환과정’을 예로 ... ...
“바이오 강국 위해선 아시아 똘똘 뭉쳐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7.03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좋은 연구테마를 한국 치과의사에 제안했지만 1년이 지난
지금
도 환자 샘플을 5개 수집하는 데 그쳤다”면서 “시간에 쫓기는 환경에서는 연구데이터 수집을 못하는 만큼 미국의 시스템을 참고해 한국도 연구중심 병원을 세웠으면 좋겠다”고 조언했다. ●정부 역할 ... ...
패러다임 전환기 맞은 세계 바이오산업…우리나라에는 ‘호기’
동아사이언스
l
2012.07.01
70% 정도를 차지하는 제약시장은 그간 거대 제약사를 중심으로 호황을 누렸다. 하지만
지금
상황은 과거와 달라졌다. 행사장 곳곳에서는 삼삼오오 모인 사람들이 바이오 관련 이슈에 대해 토론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지고 있었다. 이번 행사를 주최한 미국 바이오협회의 알런 ... ...
“산학연 포괄 지원 있어야 바이오산업 성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6.26
수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대학, 연구기관을 찾아가 그 기술을 가져와야 합니다. 하지만
지금
은 그런 기술을 연구하고 지원하는 기관을 찾기가 어렵습니다. 기업들이 비빌 언덕을 만들어 줘야 합니다. 생명과학 산업 저변이 탄탄해져야 ‘대박’ 이끌어 낼 신약 사업 투자 환경도 더 튼튼해 지지 ... ...
“중복투자 왜 문제되나? 경쟁을 통해 더 좋은 성과 나올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5.21
육종 분야에서만큼은 기술종주국이 되려고요. 벼나 채소 부분에서 새 품종을 만드는 건
지금
도 최고 수준이거든요.” 현재 우리나라가 종자 때문에 해외에 지급하는 로얄티는 166억 원 정도로 추정된다. 하지만 미래에는 이 상황을 충분히 역전시킬 수 있다는 것이 라 원장의 생각이다. 그 동안 우리 ... ...
이전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