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경로
경과
코스
절차
단계
진행
스페셜
"
과정
"(으)로 총 4,39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
2017.02.07
이런 사람들은 땀샘의 밀도가 높아 땀을 많이 흘린다는 것이다. EDAR은 BMP:SHH 신호전달
과정
에 관여하는 수용체 단백질이다. 당시 저자들은 이런 특성이 수만 년 전 동아시아 기후가 고온다습해 그에 대한 적응으로 진화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동아시아 사람들의 털 밀도는 서구나 ... ...
[사이언스 지식 in]구제역 감염 소의 우유, 마셔도 안전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2.06
150℃ 이상에서 멸균하는 ‘멸균우유’뿐만 아니라 일반 우유도 90℃ 이상에서 멸균하는
과정
이 있기 때문입니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76℃ 이상에서 7초간 가열하면 파괴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Q. 조류독감의 악몽이 떠오릅니다. 구제역도 살처분만이 해결책인가요? A.구제역은 AI와 달리 백신 ... ...
[네이처]스마트폰으로 상처 찍어 보내면, 인공지능 의사가 바로 처방을?
동아사이언스
l
2017.02.05
인식 등에 활용됐다. 이와 관련된 미국 스탠퍼드대 전자공학부 안드레 에스테바 박사
과정
생의 논문이 네이처 2월 2일자에 실렸다. 질병을 판단하는데 인공지능을 쓰는 사례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IBM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닥터 왓슨’은 이미 의료 현장에서 진료에 도움을 주고 있다. ... ...
"최고 수준의 중이온가속기 건설에 모든 걸 걸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2.03
건설 현황과 그들의 노력에 대해 전해 들었다. 세 사람은 중이온가속기 건설
과정
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업적을 인정받아 2016년 IBS 우수연구원상을 수상했다. 2016년 IBS 우수연구원상을 수상한 (왼쪽부터) 이상일·최숙·박범식 연구위원은 입을 모아 "동료들과 함께 연구했기에 상이 더욱 값지다"며 ...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7.02.03
이길 수밖에 없는 싸움이라는 것이다. 이 때문에 앞으로 인공지능이 현실화하는
과정
에서 이른바 아날로그 반도체라고 불리는 '뉴로모르픽(Neuromorphic)' 연구가 급부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과학기술적인 측면에서 뉴로모르픽을 둘러싼 연구 경쟁이 촉발할 것이라는 얘기다. 인간의 뇌를 하나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가 치매도 일으킨다?
2017.02.01
랭커스터에 살았던 사람 37명의 전두피질을 조사한 결과 주로 자동차 엔진의 연소
과정
에서 나오는 자철석 나노입자를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숨을 쉴 때 후각신경구로 들어간 자철석 나노입자가 주변 전두피질로 유출된 것으로 추정했다. 흥미롭게도 후각은 치매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말 빨리하는 사람이 싱거운(?) 이유!
2017.01.23
얘기다. 미국 브라운대 유리엘 코헨 프리바 교수는 섀넌의 정보이론에 기반해 대화
과정
에서 소화할 수 있는 정보의 양(섀넌의 용어를 빌면 채널용량)이 일정하다면 말이 빠른 사람은 정보밀도가 떨어져야 한다고 추측했다. 즉 말이 빠른 사람은 쉬운 단어와 구조가 단순한 문장을 주로 쓴다는 ... ...
[표지로읽는과학] 뜨거운 곳 좋아하는 박테리아, 열적응 메커니즘 밝혀져
동아사이언스
l
2017.01.22
과학자들은 지금껏 그랜드 프리즈매틱 스프링에 살고 있는 여러 가지 효소가 어떤 진화
과정
을 거쳐 열에 적응해 왔는지를 궁금해 했습니다. 그런데 최근 미국의 하워드휴스의학연구소 비 응웬 박사 연구팀이 뜨거운 곳을 좋아하는 박테리아의 열적응 메커니즘을 밝혔습니다. 그랜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5] 범고래 암컷이 나이 마흔에 폐경기를 겪는 이유
2017.01.17
더 많은 자손을 남기기 위한 진화의 결과라고 주장했다. 즉 나이 들어 임신할 경우 출산
과정
에서 엄마나 아이가 죽을 위험성도 높고 설사 무사히 낳았더라도 아이가 다 자랄 때까지 살아있지 못할 가능성도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육기간이 긴 인간은 이런 위험성을 감수하는 대신 남아있는 ... ...
수소 원자, 어디에 있는지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15
전자회절 단층 결정 구조 분석법, Precession Electron Diffraction Tomograpy)라고 불렀다. (그
과정
은 연구팀이 개발한 프로그램이 할테지만) 구조 분석할 분자를 여러 층에 걸쳐 나눠서 촬영한 뒤, 수소 원자가 있을 위치를 확률적으로 표시하고, 확률이 가장 높은 곳에 수소 원자를 위치하는 방식이다. 표지 ... ...
이전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