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아래"(으)로 총 3,991건 검색되었습니다.
- 느낌 아니까! 터치는 따뜻한 손으로 천천히…동아사이언스 l2014.03.18
- . 인체에서 가장 큰 감각기관이라는 피부 역시 촉각만 담당하는 건 아니다. 즉 피부 아래 진피층에는 외부자극을 다양한 관점에서 감지하는 여러 종류의 감각수용체가 분포해 있고, 이들이 감지한 정보는 저마다 짝이 되는 신경을 타고 뇌나 척수로 흘러가 지각되거나 반사적 행동을 일으킨다. ... ...
- “한국 해양과학기술 세계 7위 선도하겠다”동아사이언스 l2014.03.12
- 토론 끝에 ‘미래 해양강국 실현을 위한 글로벌 해양과학기술 진흥’이라는 목표 비전 아래 ‘해양과학기술 세계 7위를 선도하는 혁신코디네이터(I-Coordinator)’라는 구체적 비전을 마련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해양력(조선, 수산, 해운물류, R&D 등의 종합평가)은 현재 세계 12위권으로 평가되고 ... ...
- 韓, 캄보디아에 ‘맞춤형 과학기술’로 봉사한다동아사이언스 l2014.03.07
- 위), 구호 단체에서 지하수용 펌프를 설치했지만 맛이 없다는 이유로 방치된 상황(왼쪽 아래), 국경없는 과학기술자회 독고석 교수가 현지인에게 지하수와 빗물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정수 장치의 사용법을 설명하고 있다. - 프놈펜=이재웅 기자 ilju2@donga.com 제공 캄보디아 프놈펜 시에서 ... ...
- 체질량 보지말고, 체형 보세요!동아사이언스 l2014.02.25
- 더 정확한 척도인 것이 밝혀진 만큼 앞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래 주소에서 키와 체중 허리 둘레를 입력하면 체형지수와, 건강 위험 정도를 알 수 있다. http://absi.nl.eu.org ... ...
- [청년드림]“누가 ‘왕관’ 씌워주지 않아… 꿈을 당차게 말하라”동아일보 l2014.02.25
- 말했다. 셜리 위추이 한국IBM 대표는 한국에서 태어난 중국계 미국인이다. 화교인 부모 아래 리라초등학교를 거쳐 명동의 화교학교에 다니다 13세 때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 한국 대표로 부임하기 전에는 중국과 대만, 홍콩에서 IBM 현지법인 대표를 맡았다. 2004년에는 중국 최고 여성 경영인 10인에, 200 ... ...
- 뇌CT “2분만에 끝”… MRI ‘쿵덕쿵덕’ 소음에 깜짝 놀라동아일보 l2014.02.24
- 촬영기계 입구 쪽으로 검사대가 이동했다. 머리 부분이 촬영 기계 안 쪽으로 들어가자 위 아래로 몇 번 더 움직이던 검사대가 곧 멈췄다. 냉동창고 터번이 윙 하고 돌아가는 듯한 소리가 들리더니 촬영은 2분 만에 끝났다. ‘아니 이렇게 빨리 끝나다니….’ 의사는 “CT는 X선을 인체에 여러 각도로 ... ...
- 고루함을 버리고 실용을 택하다동아사이언스 l2014.02.21
- 사람의 성별이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다. 사랑채 좌측에 위치한 안채의 대문간. 문턱 아래로 공간이 있어 안채 대청마루에 앉아서 보면 사람이 오는지, 남자인지 여자인지 구분이 가능하다. - 양길식 제공 대문간으로 들어서면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ㄷ '자 형태로 안채가 배치되어 있다. 안채는 ... ...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시즌2 [제1편]동아사이언스 l2014.02.19
- 서포터스' 메뉴에 들어가서 참여신청을 하면 '서울대 공대 카페' 안내 메일이 갑니다.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기 바랍니다. http://cafe.naver.com/dsciencecity/9882 ◈ 책임프로듀서 김대공 방송기획팀장 scigong@donga.com ◈ 기획·감수 서영표 sypyo@donga.com ◈ 연출 이동규 dlee9 ... ...
- 공황장애 숨통을 죄는 극심한 불안, 뇌가 보내는 이상 신호동아사이언스 l2014.02.18
- 병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이 높아지고 정신건강의학과를 찾는 이들이 증가했다. 아래 증상이 반복해서 월 4회 이상 생기면 공황장애로 진단한다. 1) 심장이 두근거리거나 빨라짐 2) 식은땀이 남 3) 몸이 떨리거나 흔들림 4) 숨이 막히거나 답답한 느낌 5) 질식할 것 같은 느낌 6) 가슴이 아프거나 ... ...
- 창조경제 성공법칙, 정글에 있네동아사이언스 l2014.02.16
- 창조 문화를 형성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지금 당장 어렵고 쉽지 않지만 원칙대로, 아래로부터 차근차근 시작해 올라간다면 문화는 정착되고, 혁신이란 기계는 삐걱대지 않고 원활하게 돌아가 진정한 창조적 조직이 되고, 창조경제가 형성되는 것이 아닐까 ... ...
이전3733743753763773783793803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