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용감한 호랑이의 비결은 소화 유전자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서울대, 에버랜드, 게놈연구재단 공동 연구팀은 2010년 에버랜드에서 당시 7살이던 수컷 아무르(시베리아) 호랑이 ‘태극’에게서 혈액을 추출했다. 그 뒤 DNA를 분리해 10개월 동안 차세대 염기서열분석장비를 이용해 분석해 최초의 게놈지도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 게놈을 다른 고양이과 ... ...
- 우리는 외계에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영국 켄트대 연구팀은 바다에 사는 단세포 생물을 얼린 덩어리로 만든 뒤물을 향해 초속 7km로 발사했다. 지구와 비슷한 행성에 운석이 충돌할 때의 속도다. 그 결과 미생물은 전멸하지 않고 살아남았다.외계 미생물이 냉동 상태로 우주공간을 날아와 지구에 떨어졌을 때 일부가 살아남았을 가능성이 ... ...
- 인류탄생 - 난쟁이 인류, ‘호빗’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발이 크고 털로 뒤덮여 있습니다. 뭔가 연관이 있을 것 같지 않나요.흥미롭게도 올해 7월에 62세의 나이로 타계한 호주의 고인류학자 마이크 모우드 박사는 2003년, 바로 이 지역에서 정말로 호빗 같은 난쟁이 인류의 화석을 발견했습니다. 몸이 아주 작고, 특히 머리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작은 ... ...
- 내 생애 마지막 휴대폰 - 폰관리 피부관리보다 힘들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할 장벽이 있다. 바로 가격이다. 티타늄은 스테인리스보다 20배 비싸며, 알루미늄보다는 6~7배 더 비싸다. 견고함으로 무장할 수 있게 되지만 반대로 높은 가격 때문에 소비자로부터 외면받을 가능성이 있다.스마트폰의 하드웨어가 상향평준화를 이룬 지금, 디자인은 소비자의 선택을 받는 데 빼놓을 ... ...
- [긴급진단] Part1_ 일본에서는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달랐다. 후쿠시마 앞바다가 오염되고 그 곳의 생선이 방사능에 노출된다는 의미다.8월 7일 일본 정부 기구인 원자력재해대책본부는 후쿠시마 제1원전의 원자로 1∼4호기 주변에서 흐르는 하루 약 1000t의 지하수 중 약 400t은 원자로 건물 지하 등에 유입되고 나머지 600t 가운데 약300t은 고농도의 ... ...
- [해외취재] 피터팬 VS 후크 선장, 수학 예술로 네버랜드를 바꿔라!수학동아 l2013년 10호
- 도마뱀이 다시 그림 안으로 기어들어가는 모습을 나타냈다.➌ 테셀레이션의 끝판왕! 7m 길이의 대작, 은 에스허르가 알람브라 궁전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기 시작한 테셀레이션 작품 중 가장 긴 작품이다. 알람브라 궁전의 테셀레이션이 평면에 같은 무늬를 규칙적으로 채워 넣은 ... ...
- 10화 주사위의 방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전개도가 순서대로 나타났다.“주사위 전개도 같은데… 응? ‘?’가 들어간 면까지 면이 7개네?”“이 전개도로 주사위를 만들 때 ‘?’의 자리에 어떤 숫자가 들어가는지 맞혀야 하는 것 같아. 그리고 전개도가 나타난 순서대로 해당하는 숫자의 주사위면을 눌러 보자.”“피타피타!”피타가 다급한 ... ...
- EPILOGUE 건설 공장에서 찍어내는 미래 도시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있는 고려대에서 국내 최초로 건설 공장이 철골 구조 공사를 전담한 지하 1층, 지상 7층짜리 ‘로봇융합관’이 준공됐다. 총 공사 기간이 30% 가량 줄었다.건설 공장의 핵심 장비는 지능형 타워크레인과 볼트 연결 로봇. 지능형 타워크레인은 GPS를 이용해 정확한 위치에 자재를 옮긴다. 가장 빠른 ... ...
- 6500만 년 전, 공룡이 사라진 땅에 작은 원숭이가 나타났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다만 아직 얕고 가까웠던 대서양을 통해 건너왔다는 정도만 추측하고 있다. 참고로 올해 7월 독일 연구팀이 미토콘드리아 게놈을 이용해 밝힌 새로운 영장류 계통도를 보면 (‘플로스원’ 게재) 최초의 신세계 원숭이는 4600만 년전 에오세 초기에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이들이 다양하게 진화해 ... ...
- 스무살 GIST, 칼텍과 손잡고 노벨상 꿈꾼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31명 수상, 1명 2회 수상)을 휩쓴 미국 명문 공과대학이다. GIST와 칼텍의 공동연구는 2012년 7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두 대학은 각 대학 교수들로부터 제안서를 받아 공동 관심 분야와 주제를 검토한 뒤 교수들을 일대 일로 짝지었다. 총 4팀(GIST 4명, 칼텍 4명, 총 8명)이 최종 선정됐다. 지난 9월 9일 열린 ... ...
이전3733743753763773783793803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