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d라이브러리
"
원리
"(으)로 총 5,201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두가 있는 자연과학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갈림길에서이제는 돌아와 지구에 정착한자연의 레고 원자들이여생명은 화학의
원리
를 따르는 것을 보여주려고네가지 염기도, 스무가지 아미노산도원자들의 화학결합으로 만들어졌나 ... ...
사람의 혀를 대신할 전자혀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수 있다.연구팀이 개발한 전자혀는 4가지의 서로 다른 화학센서를 갖고 있다. 전자혀의
원리
는 산성도를 측정하는 pH센서와 유사하다. 산성도는 수소이온의 농도에 비례하는데, pH센서는 수소이온의 농도에 따라 전위가 달라지는 전극으로 산성도를 측정한다. 마찬가지로 전자혀에 있는 4가지 센서가 ... ...
자연의 정교한 수학자 벌 육각기둥을 선택한 까닭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발견할 수 있다. 벌이 육각형 모양으로 집을 짓는 것도 효율성을 구현하는 예이다. 이
원리
를 2가지 측면으로 나눠 생각해보자.먼저 집에 수많은 방을 만들 때 어떤 모양으로 만드는 것이 좋은지를 생각해보자.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튼튼한 구조를 가지려면 방이 빈틈없이 이어져야 한다. ... ...
패러데이의 양초의 화학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흔하게 경험할 수 있는 사물들을 이용하여 실감나는 과학시범을 직접 시연하고 그
원리
를 보통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고쳐서 설명해줬던 것이다.사실 과학시범은 오늘날에도 적용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과학교육의 방안 중 하나다. 특히 독자 여러분들 중 화학교사가 있다면, 1백40년의 ... ...
항공우주재료공학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의문이 밀려왔다. 무거운 비행기가 어떻게 하늘로 훌쩍 날아오를까. 비행기가 뜨는
원리
야 과학시간에 배워 알고 있었지만, 재료도 가벼운 것을 써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렇게 생각하며 기내 좌석에 앉아 비행기 안을 살펴봤다. 과연 비행기는 어떤 재료로 만들어질까.시골집에 ... ...
해리포터 vs 반지의 제왕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실험의 과정에서 여러 화학 물질을 발견했다. 그리고 영구기관이 현대 열역학의 기본
원리
들을 이끌어낸 것처럼 연금술은 현대 화학의 모태가 됐다. 현대의 과학자들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도 현자의 돌과 다르지 않다. 무한한 에너지원으로 알려진 ‘수소 핵융합’과 유전자 조작을 통한 영원한 ... ...
스마트카드 한 장이면 어디서나 만사형통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운영체제인 도스나 윈도와 같은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유도전류 발생시키는
원리
비접촉식 카드는 RF카드(Radio Frequency Card)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 수도권에서 사용중인 교통카드가 대표적인 사례다. RF카드는 RF 주파수를 통해 근거리에서 정보처리가 가능하며, 메모리에 사용자의 거래정보가 ... ...
바람과의 맨몸 승부 - 첨단사이클의 질주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페달을 한바퀴 돌리면 바퀴도 따라서 한바퀴 돌아 원둘레의 거리만큼 앞으로 전진하는
원리
로 하이휠러는 움직였다. 바퀴가 크면 클수록 더 먼 거리를 훌쩍 이동한다는 의미다. 그래서인지 하이휠러는 기록경신의 귀재이기도 했다.그런데 문제가 발생했다. 바퀴가 커지다 보니 올라타거나 내리는 ... ...
달까지 거리 재는 21세기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이때 빛이 달까지 갔다가 돌아오는 시간을 재서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원리
는 간단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쉽지 않은 작업이다. 달 표면에 있는 반사경은 여행가방 정도 크기라 ‘사격 솜씨’가 특출해야 하기 때문이다. 머피 박사는 “달에 도착한 광자 3천만개 중 하나만이 ... ...
장기이식용 돼지 복제 성공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차단된다면, 인간은 돼지의 장기를 이식받더라도 초급성 거부반응을 보이지 않는다는
원리
다.바이러스 장벽 넘어야하지만 이번 연구성과로 이종 간 장기이식의 거부반응이 모두 해결된 것은 아니다. 장기이식시 나타나는 거부반응은 ‘GGTA1’ 유전자 외에 다른 많은 유전자들도 연관돼 있기 ... ...
이전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