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꿈의 이동통신시대 준비하는 이론공학자 송익호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있는 윤석호씨는 “교수님은 첫시간에 대학원생은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힘을
길
러야 한다면서 수업내내 질문을 던지세요. 처음에는 좀 황당했죠. 철학 수업도 아니고. 하지만 한학기가 지나고 나면 머릿속에 많은 생각들이 남아요”라면서 이제는 송교수의 수업에 난색을 표하는 학생들에게 ... ...
왕초보도 찾는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수 있다. 덩치는 훨씬 크지만 지구의 두배나 되는 빠른 속도로 자전하기 때문에 옆으로
길
쭉한 모습을 한다. 적도 방향 지름과 극 방향 지름의 비율이 10:9 정도이다. 표면에는 목성보다 뚜렷하지 않지만 비슷한 형태의 어두운 줄무늬와 밝은 대가 있으며 흰색의 소용돌이도 나타난다.토성의 고리가 ... ...
장애아 애덤 킹의 아름다운 시구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바로 그 주인공. 그는 현재 병원을 나와 유학을 준비중이다. 그에게“왜 의공학을 공부하
길
원하느냐”고 물어보았다. 안씨는“의공학이 미래에 전망있는 분야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실질적으로 의공학의 성과물을 이용하는 의사로서 의공학에 대해 거의 모르기때문”이라고 대답했다.미국에서는 ... ...
긴급진단, 안락사 논란 핵심 쟁점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기준을 제시해 그 기준을 사례마다 적용하는 것이 두 안락사를 구분하는 유일한
길
이라 본다.그렇다면 어떤 경우에 환자의 죽음을 의도한다고 볼 수 있는가. 필자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제시한다. 즉 P(의사)가 A(환자에게 약물 주입과 같은 의사의 행동)를 함으로써 불가피하게 B(환자의 죽음) 할 ... ...
음식에 대한 극단적인 거부와 집착 301 302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과도한 운동을 지속할 수 있다. 이런 생물학적인 연구는 거식증에 대한 약물 치료의
길
을 열어줄 수도 있어 약학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구역질 날 정도로 먹는 지경폭식증은 일반적으로 음식을 무조건 많이 먹는 ‘비만’과 자주 혼동되는데, 많이 먹는다고 해서 모두 폭식증은 아니다. ... ...
곤충처럼 날개 펄럭이는 초소형 항공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후나 가능새 또는 곤충과 같은 초소형 항공기를 개발하는 것이 어려운가 하는 의문이 생
길
수 있다. 그러나 오랫동안 진화하며 적응해온 자연을 관찰하면 그 답을 얻게 된다. 필자는 사무실 천장에 매달린 채 미라가 된 잠자리를 떼어내 저울에 달아보고는 0.2g도 되지 않는 것에 탄복한 적이 있다. ... ...
돈 흐름에 감춰진 물리법칙 금융수학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정상으로 돌아갔을 때 선물시장에서 선물을 사고 현물시장에서 주식을 팔면 이익을 남
길
수 있다. 이러한 지수차액거래는 1980년대에 미국 금융회사들의 중요한 수입원 중 하나였다.주가폭락에도 큰 돈 번 이유지수차액거래에 관해서 재미있는 일화가 있다. 일본에서 주가지수선물시장이 오사카에 ... ...
폭력과 자기파괴 일삼는 파월장병 하얀전쟁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영화‘하얀 전쟁’에서 이경영은 전쟁을 연상시키는 작은 단서만으로도 공포와 불안을 느끼는 전쟁후 증후군 환자 역할을 실감나게 연기한다. 정신적 스트 ... 그가 감옥과도 같은 푸른 병실에 잔뜩 웅크린 채 허공을 응시하며 앉아 있는 장면은 영화사에
길
이 남을 명장면으로 기억된다 ... ...
근육 움직임 모사해 나노구동에 도전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엄청나게 작은 크기를 찾는 일은 둘째 치더라도 이 정도를 움직이는 일은 어떨까. 나노
길
이 정도를 움직이는 기관을 만들겠다고 도전하는 연구자들이 있다. 바로 KAIST 기계공학과의 조영호 교수가 이끄는‘마이크로머신 및 마이크로시스템 연구실’에서 야심차게 내건 연구목표다. 이 연구실은 200 ... ...
로봇공학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맺을 생명공학에 지금 많은 투자가 이뤄지잖아요. 마찬가지로 로봇공학도 생명공학처럼
길
게 봐야 합니다. 로봇산업과 현실이 만만치 않거든요. 하지만 로봇연구는 학문적으로 재미가 있고 연구 인력이 많을수록 빨리 꽃을 피우기 쉽기 때문에 많은 학생들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물론 로봇공학은 ... ...
이전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