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으)로 총 1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 최초 개인 인공위성을 발사한 송호준 작가수학동아 l201406
- 말도 안 되는 이유로 공부하는 이유를 합리화하려고 노력했지요.하지만 돌이켜보니, 과학자가 되든 예술가가 되든 수학은 정말 필수인 것 같아요. 예술가로서 세상에 내 메시지를 전달하려면 논리적으로 생각해야 돼요. 그리고 인공위성을 만들 때에도 수학실력은 꼭 필요했어요. 여러분도 공부해야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수학 산책 마이클 아티야의 수학 세계수학동아 l201406
- 기하학이 주제였고, 오후에는 물리학 강연 두 개가 열렸다. 마지막 연사는 프린스턴 고등과학원 원장인 로버트 다익그라프였다. 그는 모호하고 철학적이면서도 흥미로운 강연을 했는데, 근본적으로 기하와 대수, 그리고 물리학의 상관관계가 주제였다. 지금까지 우리가 관측한 상호 작용이 미래에는 ... ...
- '모른다는 것'이 천문학 연구의 매력 (타이탄 연구자 심채경 박사)과학동아 l201406
- 여전히 모르는 것 투성이기도 하고요.”최근에는 지도교수(김상준 경희대 우주과학과 교수)와 함께 칼 세이건이 ‘솔린(tholin)’이라고 이름 붙인, 미지의 타이탄 먼지 입자의 성분을 추정하는 연구를 했다.“타이탄은 위성으로서는 유일하게 짙은 대기가 있어요. 더 큰 목성의 가니메데도 대기는 ... ...
- BRIDGE - ELO랭킹 적용하면 한국 16강 확률 높아져과학동아 l201406
- 이번 월드컵에서 우리나라는 16강에 진출할 수 있을까. 우승은 어느 나라가 할까. 콜롬비아 에아핏대 경제학과 안드레스 하산 교수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주립 ... 1 - 과학기자가 예측한 브라질 월드컵BRIDGE - ELO랭킹 적용하면 한국 16강 확률 높아져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 ...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과학동아 l201406
- INSIDE | 생각만으로 외골격로봇 조종한다 6월 13일(한국시간) 브라질월드컵 개막식에서 과학의 진보가 세상을 바꾸는 역사적인 순간을 두 눈으로 꼭 지켜보자. 하 ... 1 - 과학기자가 예측한 브라질 월드컵BRIDGE - ELO랭킹 적용하면 한국 16강 확률 높아져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 .. ...
- 서울숲에는 얼마나 많은 생물이 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406
- 만 하루(24시간) 동안 생물전문가와 함께 행사 지역의 모든 생물종을 찾아 목록을 만드는 과학참여활동이다. 1996년 미국 워싱턴DC에서 처음 시작해 미국과 호주, 캐나다, 영국 등 세계 각지의 주요 도시와 공원에서 개최되고 있다.우리나라에서는 국립수목원 등이 주최해 2010년 처음 시작됐다. 그 동안 ...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06
- 뜻이다. 메타물질 중에 빛을 심하게 꺾어 음의 굴절률을 만드는 것이 있다. 과학자들이 투명망토에 특이한 굴절률 분포를 만들기 위해 메타물질을 이용하는 이유다. 이 메타물질을 가장 처음 개발한 사람은 영국 런던 임페리얼대 존 펜드리 교수였다. 1990년대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는 전투기 소재를 ...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과학동아 l201406
- 녹말을 얻을 수 있어, 배고픔을 잊는 데도 큰 도움이 됐지요. 지난해 10월,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에는 원추리를 발효식품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는 논문이 실렸습니다. 연구 결과, 원추리를 발효시키면 필수아미노산이 증가 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곧 원추리 식초, 원추리 요 구르트 등을 만날 ... ...
- [과학출판사를 만나다 1] 사이언스북스과학동아 l201406
- 진짜 과학이자 살아있는 과학이다. 사이언스북스를 이끄는 노의상 편집장은 “새로운 과학혁명 시대에 넘쳐나는 새로운 정보와 통찰을 독자에게 쉽고 명확하게 그리고 울림있게 전달하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한다.한양대 기초융합교육원과 함께 여는 ‘민음사 융합독서 아카데미’는 ... ...
- 아르키메데스의 기구한 운명과학동아 l201406
- 로마는 그리스와 같이 학문적 발전을 이루기보다는 그리스가 남겨준 여러 수학과 과학 이론을 실용화하는 수준에 그쳤다는 점을 잘 드러낸 말이다. 영국의 수학자 하디는 “그리스의 비극 시인 아이스킬로스는 잊혀져도 아르키메데스는 기억될 것이다. 왜냐하면 언어는 사라져도 수학적 ... ...
이전3733743753763773783793803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