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위
선제
우위
선취권
뉴스
"
우선
"(으)로 총 4,11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생명체, 외계에서 왔다
2014.10.03
미국 미시간대 교수팀은 태양이 생겨나기 전부터 태양계에 물이 존재했다며 ‘물
우선
설’에 쐐기를 박는 연구 결과를 지난주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이전까지는 태양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나오는 강력한 방사선 때문에 물이 그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산소와 수소로 쪼개졌다가 ... ...
이번 주말엔 ‘토성 품은 달’ 관측하세요~!
2014.09.24
제공 천문연은 망원경을 이용해서 토성 엄폐 현상을 관찰하는 방법을 공개했다.
우선
달을 먼저 찾아야 한다. 28일은 초승달이 뜨는 날로, 동남쪽 방향을 향하고 서서 지면을 기준으로 손바닥을 왼쪽 그림과 같이 펴고 약지와 새끼손가락 높이의 하늘을 살펴보면 희미한 달을 볼 수 있다. 달을 찾은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영화 속 뒤뚱거리는 우주인의 걸음걸이에 대한 고찰
2014.09.21
표면 위에 서 있는 모습. 당시 우주복은 걷기용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었다. - NASA 제공
우선
닐 암스트롱이 1969년 7월 20일 달에 착륙한 영상을 검색했다. 영상에서 닐 암스트롱은 뒤뚱거리며 달 표면을 걷는 ‘익숙한’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런데 다리 모양을 자세히 보면 마치 깁스를 한 것처럼 ... ...
[동아쟁론] 과학교육 홀대 논란
동아일보
l
2014.09.12
있다. 과학계는 미래가 필요로 하는 인재상부터 정립하고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우선
이며, 이를 위해서는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함께 모여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를 과학계가 과학에 시간을 더 배정해 달라고 요구하는 것으로 오해해서는 안 된다. 미국은 과학 교육과정 하나만 ... ...
그래핀 결함만 찾아내 수리한다
2014.09.10
뛰어난 전도성과 빛투과성을 이용해 디스플레이나 태양전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그래핀을 넓은 면적(대면적)으로 생산해야 한다. 하지만 이렇게 대면적으로 그래핀을 만들어내면 생산과정 중 그래핀의 결정 사이에 경계면이 생기거나 금이 가는 등 결함이 발생해 그래핀의 성능이 저하되는 ... ...
송편과 같이 먹은 솔잎, 진짜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9.09
흔히 소나무라고 부르는 식물의 잎을 어떻게 찾아내 송편 아래 깔아놓을 수 있을까.
우선
잎의 수에 따라 소나무와 잣나무를 구분할 수 있다. 소나무·백송·리기다소나무의 잎은 2~3개씩 모여 나고 잣나무·스트로브잣나무의 잎은 5개씩 모여 난다. 또 잎 모양을 비교해 소나무를 가려낼 수 있다. ... ...
눈 깜박임 알아내 졸음운전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9.05
운전자의 눈을 인식해 졸음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 교수는 웹카메라로
우선
운전자의 얼굴을 분석했다. 얼굴의 영상을 입력받은 후 회색톤으로 변환시킨 뒤 색의 분포를 조사해 눈의 위치를 인식하고, 눈의 크기에 따른 눈 깜박임 정도를 측정했다. 가장 크게 떴을 때 크기의 50%이상일 ... ...
바이오디자이너는 뭘 디자인 할까?
2014.09.05
키우는 환경을 바꾸는 데서 벗어나 대장균 자체를 완전히 뜯어 고치는 데 주력한다.
우선
대장균의 유전자를 단순화하는 작업에 나섰다. 대장균은 진화과정에서 추위나 더위, 바이러스의 침입 등 다양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유전자를 복잡하게 진화시켜 왔다. 하지만 인슐린을 만들 때는 이렇게 ... ...
서울 싱크홀 年 680건… 지하철 인근 지하수 수위 170cm 뚝
동아일보
l
2014.08.29
주민들은 싱크홀이 인근 지역으로 더 확대되는 것 아닌지 불안감에 떨고 있다. 서울시는
우선
송파·영등포구 등을 중점 관리할 계획이다. 시속 5km 이내로 주행하면서 폭 2.5m 이내 지표 아래 공간에 ‘구멍’이 있는지 검사하는 ‘지표면 투과 레이더(GPR)’ 2대 등 첨단 장비를 도입한다. 도로함몰 ... ...
‘건강한’ 그래핀 양자점 개발
2014.08.28
교수(왼쪽부터 차례대로). - KAIST 제공 이번에 개발한 양자점은 생산 과정도 안전하다.
우선
얇은 그래핀 층 사이에 염(Sodium Potassium Tartrate)을 넣어 간격을 벌린다. 여기에 물을 넣고 초음파를 쏘이면 양자점을 얻을 수 있다. 보통 양자점을 만들 때는 황산 등 강한 산 처리를 해야 하지만, 이 ... ...
이전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