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다른사람"(으)로 총 4,7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에 있는 서울대, 경희대를 다녀와서기사 l20181104
- 안녕하십니까, 저는 양수호 기자입니다. 오늘은 제가 어제 갖다 온 서울의 서울대, 경희대, 고려대에 대하여 기사를 써 보려고 합니다. 먼저 가 본 곳은 서울대입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서울에 있는 대학교 하면 떠오르는 대학교가 서울대라고 하죠. 먼저 서울대 정문의 입구는 '샤'모양으로 된 웅장한 모양이 세워져 있습니다. 그리고 입구를 지나 서울대를 들어가면 ...
- 시험 중에 말해도 될까요?기사 l20181030
- 반 선생님께서 '시험 중에 말해도 되나요?' 라는 주제로 가족들과 이야기를 한 후 글짓기를 해오라고 숙제를 내 주셨다. 나는 엄마와 동생이랑 주제에 대하여 의견을 나누었다. 우리 가족은 모두 되도록 말하지 않아야 된다고 생각했다. 그 이유는, 첫째, 시험 중에 말을 하면 다른 사람한테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둘째, 친구와 말을 하다 보면 답을 알려 줄 수도 ...
- 다 같은 은행이 아니라고?기사 l20181027
- 안녕하세요? 이윤하 기자입니다. 은행은 돈을 안전하게 맡아 주고, 가장 친숙한 금융기관입니다. 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이나 신한은행 등 우리는 이 중 하나 이상의 은행과의 거래를 하게 되죠. 그러나 우리가 모르는 특별한 역할을 하는 은행이 있다고 하는데요, 제가 한번 조사해 보았습니다. 첫 번째, 중앙은행입니다. 이곳은 서울에 있는 한국은행 본관입니다. 한국 ...
- 언어의 마법사, 셰익스피어기사 l20181017
- 안녕하세요! 이윤하 기자입니다. 여러분 셰익스피어는 위인전에서 한 번쯤은 보셨을 거예요. 그래서 제가 셰익스피어의 연극을 시작하게 된 동기와 작품, 비밀을 설명해드리려고 합니다. 일단 셰익스피어는 시대와 나라를 가리지 않고 큰 사랑을 받는 작가입니다. 셰익스피어가 세상을 떠난 지 400년도 넘었지만 지금까지도 많은 나라의 서점, 극장, 텔레비전에서 셰익스피 ...
- 광주 비엔날레관을 다녀와서기사 l20181016
- 안녕하세요, 양수호 기자입니다. 저번 주 토요일은 제가 가족들과 함께 광주에서 유명하다는 미술관, 비엔날레에 전시를 보러 갖습니다. 제가 본 전시는 '상상된 경계들' 이라 해서 2018년 9월 7일부터 2018년 11월 11일까지 하는 전시를 보고 왔습니다. 먼저 설명부터 차근차근 보니 이 전시를 열은 까닭이 " 온 세계인들은 우리와 다른 사람이 아닌, 다 ...
- 욕이 우리 한글과 사람을 해친다고?기사 l20181015
- 안녕하세요, 양수호 기자입니다. 저는 조금 된 한글날을 맞이해서 우리나라 청소년이 얼마나 욕을 많이 하는지, 그리고 욕에 관련된 실험을 자료로 삼아 한 번 이 기사를 써 보려고 합니다. 먼저, 우리나라의 청소년이 100명이 있다면, 욕을 조금하는 사람이 41명, 욕을 안 한다는 사람이 약 33명, 그리고 아주 많이 하는 사람이 26명이라고 합니다.(출저: ...
- 숲의 소중함을 깨달아가는 ‘우리 산림생물 바로알기 탐험대’기사 l20181014
- 안녕하세요? 박성재 기자입니다. 저는 10월 9일 경기도 포천에 있는 국립수목원에서 개최한 ‘우리 산림생물 바로알기 탐험대’ 행사에 참가하였습니다. 탐험 활동은 ‘숲 속 트레일’과 ‘숲 속 놀이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숲 속 트레일은 조별로 활동하는 물음표 미션, 보물 상자 미션, 보물 찾기 미션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물음표 미션은 다섯 개의 물 ...
- 일산 킨택스 에서 모형이 아닌 진짜 로봇을 보다기사 l20181014
- 안녕하세요?c박지훈 기자 입니다. 저는 오늘(10.13)에 일산 킨택스에 2018 로보월드를 보고 왔는 데요. 여러 가지 로봇이 많았습니다. 두산, 로보티즈 등의 회사들이 참여했습니다. 먼저 전 로보티즈를 보러 갔습니다. (로봇 교구로 만든 로봇) 이런 로봇들이 있는데요.이게다 교구라고 합니다. 다 감속모터,서보모터,적외선 센서로 만든 것입니다. 이게다 ...
- 조아조아 - 181006 - 1탐사기록 l20181006
- 여기는 공주 마곡사입니다.절까지 가는 길이라 지나가는 사람들의 목소리까지 담겼네요.검색해본 늦털매미 소리와 조금 다른 것 같은데...확실히 잘 모르겠어요. 소리가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
- 아름다운 우리 언어, 한글의 우수성기사 l20181006
- 안녕하세요, 유정민 기자입니다. 10월 9일은 한글날입니다. 물론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한글을 기념하고 보존하려고 많은 노력을 쏟고있지만 요즘은 말을 줄여쓰고 '급식체', 욕 등을 쓰는 등 우리의 한글이 많이 파괴되고있습니다. 이런 우리나라의 한글우수성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한글은 1446년 9월에 반포되었으며, 세종대왕께서 어려운 중국어를 대신해 만든 쉽고 ...
이전3723733743753763773783793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