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큰 녀석들의 전쟁, 거대 로봇 삼국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이제 뭘 해야 할지 알 것이다. 결투를 신청한다.”2015년 6월 30일. 유튜브에 흥미로운 영상 하나가 올라왔다. 일본 로봇에 결투를 신청하는 미국 로봇 제작사 메가보츠 대표의 메시지였다. 그로부터 5일 뒤, 세계 최초로 사람이 탑승하는 거대 로봇을 만든 일본 스이도바시중공업의 구라타 고고로 ... ...
- [Future] 인류 최후의 날을 대비한다 재난 기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날개 길이가 사람의 키보다 큰 이 거대한 장치는 이른바 ‘재난 기계(Disaster Machine)’ 중 하나다. 재난 기계는 허리케인이나 지진 등 다양한 재난 상황을 인공적으로 재현해 실험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를 말한다.2013년 완성된 와우는 12대의 대형 송풍기를 배열해, 1분 동안 최대 8만 1550m3 부피의 ... ...
- [Origin] 지루한 기본맛? 반전의 향료 바닐라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실험실에서 합성해 만든 것이다. 바닐린은 벤젠고리에 알데히드기, 수산기, 에테르기가 하나씩 붙은 복잡한 분자다. 1876년 화학자 페르디난드 티만과 빌헬름 하르만 박사가 처음 합성했다. 보통 식물 껍질을 이용한다. 식물의 세포벽을 이루는 리그닌은 방향성 알코올로 이뤄진 복잡한 고분자인데, ... ...
- [Origin] 일본 iPS세포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논의도 진행 중입니다.벽을 없앤 오픈 연구소CiRA는 구조가 독특합니다. 연구동에 벽이 하나도 없습니다. 복도를 지나면서 다른 연구팀이 실험하는 모습을 보고 대화하는 일이 이곳에선 일상이죠. 심지어 연구소장실도 벽이 유리로 돼 있어 안이 훤히 들여다보이고요. 건물 4층과 5층은 빙글빙글 도는 ... ...
- Part 1. 변종 플루 HXNX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수다와 함성 사이로 눈부신 햇살이 비친다. 아침마다 이 세상에 뜨고 지는 해는 딱 하나뿐이지만, 이상하게도 어제까지 봤던 해와 다르게 보인다. 저것은 S구역이 아닌, 예전에 고뿔이와 함께 봤던 ‘황금빛 희망’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플루엔자Part 1. 변종 플루 HXNXPart 2. 변신의 ... ...
- Part 4. ‘키메라 백신’으로 인플루엔자 예방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번에 예방하기 위해서다.또 다른 아이디어는 HA 단백질 전체를 사용하는데, 줄기 부분은 하나로 고정하고 머리 부분을 다른 종류의 HA 단백질로 바꾼 ‘키메라 HA’를 만들어 순차적으로 주사하는 방법이다. 사람의 면역계는 한번 기억한 항원에 대해서는 처음 만나는 항원에 비해 더 강력한 면역 ... ...
- Part 1. 구글이 ‘영잘알’된 비결수학동아 l2017년 02호
- ‘Surang who likes pears’라고 번역했다면 확률은 각각 80%, 20%다. 다음으로 구마다 후보를 하나씩 뽑아 조합할 확률도 구한다. 각 구의 번역 확률과 조합 확률을 모두 계산해 최종적으로 확률이 높은 문장을 선택한다.여기에서 ‘배’를 ‘pears’대신 ‘boat’로 번역할 위험이 생긴다. ‘boat’로 번역한 ... ...
- Part 3. 인공신경망 번역기술이 그리는 미래수학동아 l2017년 02호
- 교수는 “그런 걸 해보려는 게 구글의 다중언어모델”이라고 말했다. 다중언어모델은 하나의 알고리즘으로 여러 언어를 번역하기 때문에 적은 예시만으로도 좋은 번역기를 만들 수 있다. 조 교수는 “예제가 최소 1000개 있어야한다는 규정 같은 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외계과 ... ...
- [과학뉴스] ‘두께 없는’ 2차원 자석 만들 방법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상전이 현상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2016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의 주요 업적 가운데 하나는 2차원 물질이 고체에서 액체로 변하는 상전이 현상을 이론적으로 예측한 것이다. 1944년에는 2차원 물질에서 자기적인 상태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이론적 예측도 있었는데, 그동안 실험적으로 확인된 적은 ... ...
- [Future] 향기로운 데이터, 냄새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착안해 이 냄새에 ‘백색냄새’라는 이름을 붙였다(DOI:10.1073/pnas.1208110109).이 연구 결과는 하나의 냄새를 다른 하나, 또는 여러개의 냄새로 지워버릴 수도 있다는 뜻이다. 여기에서 착안해 미국 일리노이대와 IBM 토마스왓슨센터 연구팀은 악취를 없애는 ‘스멜캔슬링’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악취에 ... ...
이전3723733743753763773783793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