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방학엔 외국여행? 우리는 우주여행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6호
- 친구들 안녕~. 난 섭섭박사 할아버지의 손자 쩝쩝박사야. 우리 가족은 남은 방학을 즐겁게 보내려고 우주여행을 떠나기로 했어. 섭섭박사 할아버지가 함께 여행하면서 옛날이야기인 2014년의 우주여행 이야기를 해 주신다고 해서 무척 기대하고 있지. 옛날 사람들이 왜 그렇게 불편하게 살았는지 ... ...
- 꿰뚫어 보는 지하철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6호
- 여전히 우리의 삶 속에 있을 거예요. 그것도 더 빨라지고, 더 편리해져서요. 한국철도기술연구원과 서울시가 지난 2월 내놓은 ‘서울시 맞춤형 녹색교통 구현을 위한 공동협력 협약’에 따르면 서울 시내 지하철역과 전동차 환경은 더 편리해질 거라고 해요. 지금 달리는 전동차보다 속도가 25% 정도 ... ...
- 어린이 안전 지키으리~! 올백시큐리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를 꼼꼼히 읽고 과학짱에 도전하고 있는 독자 친구들! 모두 집중~! 혹시 만점배지를 몇 개나 모았나? 벌써 24개 고지가 눈앞에 보인다고? 흠흠, 이번에는 나 ‘의리아저씨’가 여러분을 위해 특별한 문제들을 준비했어. 이름하여 올백시큐리티! 여러분은 이 고지를 넘어야만 한다. ... ...
- 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인터뷰를 마치자 마자 회의를 위해 총총히 사라졌다. 지구 반대편에 사는 회원국 연구원과의 화상회의가 오후6시부터 시작될 예정이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최후 에너지 핵융합PART1. 에너지 비정상회담PART2. 핵융합의 원리PART3. 핵융합의 장점과 발전PART4. 핵융합 실현 기술PART5.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이른다.아예 소행성에 공장을 세울 수도 있다.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 우주위험감시센터 연구원은 “NASA는 소행성 현지에서 자원 을 캐낸 다음,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즉석에서 기지를 만드는 연구도 계획 중”이라고 말했다. 미국 행성 과학자들이 미래에 가장 잘 나갈 만한 분야로 꼽는 게 바로 ... ...
- [과학뉴스] 성인을 위한 19금 과학콘서트, SNL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성인이 공감할 수 있는 비유를 든다는 점이 핵심이다. 김재혁 과학창의재단 연구원은 “초·중·고 학생 눈높이에 맞춰 준비된 대부분의 과학강연과 달리, 철저히 성인들의 취향에 맞춰 기획했다”고 말했다. 공연은 무료이며 사전신청을 통해 접수받고 있다. 참여를 원하는 과학동아 독자는 이메일 ... ...
- [과학동아 카페] “노벨상 원리, 장풍 알면 쉬워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제15회 과학동아 카페에 연사로 참석한 윤의준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 서영덕 한국화학연구원 나노기술융합 연구단장, 곽지현 고려대 뇌공학과 교수, 진행을 맡은 과학동아 윤신영 기자(왼쪽부터).]서 단장은 “광학현미경의 원리를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명하겠다”며 기발한 ...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소리가 된다면 정말 신기하겠지? 바로 그런 붓이 있단다. 제이 실버 미국 MIT 미디어랩 연구원이 개발한 드라디오(Drawdio)야. 영어 그리다라는 의미의 draw와 소리 뜻하는 audio를 합한 말이지. 비밀은 ‘오실레이터’야. 오실레이터는 전기가 흐르는 것을 방해하는 ‘저항’에 따라 다른 소리는 내는데, ... ...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된 머피에게 양자 중력방정식을 푸는 데 도움이 될 자료를 전달하고, 인류를 구한다. 송 연구원은 “실제로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을 통과해서 5차원 공간에 갈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영화는 블랙홀의 극한성을 5차원 공간으로 들어가는 문으로 삼아 현실과 허구를 그럴 듯하게 섞었다”고 ...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꿈과 환상을 깨는 이야기지만, 실제로 보는 오로라는 사진만큼 화려하지 않다. 북극해에서 오로라를 직접 본 김봉욱 아라온호 선장은 당시 경험을 이렇게 표현했다.“눈으로 그냥 보면 구름인지, 굴뚝에서 나오는 연기인지 오로라인지 구분이 안갑니다. 카메라 화면으로 보니 그제서야 그 초록색이 ... ...
이전3723733743753763773783793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