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② 양자론 구축의 대들보 빛과 물질의 이중성과학동아 l2000년 10호
- 뉴턴의 입자론은 1백년 이상 지속됐지만 19세기 초에 영의 파동론에 자리를 내주었다.19세기를 통해 회절,간섭,편광이 파동성의 강력한 근거로 확립됐고,전자기학의 발전으로 빛 역시 전자기파의 일종임이 분명해졌다.그러나 이 승리는 오래가지 못했다. 19세기 말부터 빛의 파동론을 위협하는 실험 ... ...
- 인류 우주관의 혁명가 허블과학동아 l2000년 10호
-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다는 태양중심설을 주장했다.이로부터 약 4백년이 흐른 20세기초 허블(Edwin Hubble,1889-1953)은 인류우주관에 '제2차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라 할 수 있는 혁명을 일으킨다.혁명의 내용은 간단하다.지구가 우주의 중심이 아님을 코페르니쿠스가 밝혔듯,허블은 '우리은하'가 ... ...
- 향기속에 살다간 후각의 천재들과학동아 l2000년 10호
- 것이다. 그 순간 그의 머리속에 펼쳐진 과거의 기억은 그의 자전적 이야기를 담고 있는 20세기 최고의 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집필로 이어졌다.우리의 다양한 감각(오감)은 서로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서로를 방해하기도 한다. 특히 시각의 위력은 대단해서 우리는 맛이나 향을 음미할 때 ... ...
- 가을에 만나는 황도 별자리과학동아 l2000년 10호
- 것이다. 이제 양자리는 태양이 머무는 황도의 마지막 별자리로 물러난 셈이다.기원전 2세기에는 천문학자들이 말하는 별자리와 점성가들이 말하는 황도12궁이 서로 일치했다.하지만 점성술사들이 세차운동을 전혀 알아채지 못하는 사이 춘분점의 위치가 조금씩 달라져왔기 때문에,지금은 ... ...
- 카멜레온처럼 변화무쌍한 특수잉크과학동아 l2000년 10호
- 때 빨리 말라야 한다. 17세기에 영국에서 최초로 색이 있는 잉크를 제조했다. 그러나 19세기가 돼서야 화학적으로 잉크를 빠르게 말릴 수 있는 건조제가 개발됐다. 그때부터 다양한 유색잉크용 안료가 사용되기 시작했다.이후에 다양한 굳기를 가진 건조제인 니스가 개발돼 여러가지 종이와 출판물에 ... ...
- 토마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과학동아 l2000년 10호
- 시대, 17세기를 과학혁명의 시대, 18세기를 산업혁명의 시대라 부른다. 여기에서 17세기의 과학혁명이란 이전의 아리스토텔레스 과학으로부터 뉴턴 과학으로의 전환을 말하는 것이며, 이러한 과학의 전환을 ‘혁명’이라는 과격한(?) 사회과학적 용어로 표현하게 된 것은 바로 쿤(Thomas Samuel Kuhn, 1922-19 ...
- ③ 양자이론 전성시대과학동아 l2000년 10호
- 주었을 때 수소원자에서 나오는 빛의 스펙트럼이 띄엄띄엄 떨어져 있다는 것은 19세기부터 잘 알려져 있었지만, 자기장 속에서 그 선이 여러 가닥으로 쪼개진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은 1897년 네덜란드의 제만이었고, 마찬가지로 전기장 속에서 스펙트럼 선이 여러 갈래로 나뉘는 쉬타르크 효과는 191 ... ...
- 뱀·거미·탱크로 변신하는 전천후 로봇과학동아 l2000년 10호
- 가 발행하는 잡지 ‘테크놀로지 리뷰’는 지난해 11월 그를 한국인으로서는 유일하게 21세기의 신기술을 이끌고 나갈 1백명의 젊은 이노베이터 가운데 한명으로 꼽기도 했다.1백명 차세대 젊은 과학자 중 유일한 한국인지난 7월 말 임박사를 실리콘밸리에 있는 팔로 알토 연구센터로 찾아가 만났다. ... ...
- 한민족의 상징 백두산 호랑이과학동아 l2000년 10호
- 유명하다.과거 백두산호랑이는 만주와 연해주 일대 및 한반도 전역을 호령했다. 그러나 20세기 들어 야생에서 호랑이의 수는 급격히 감소했다. 남한에서는 1921년 경상북도 경주 대덕산에서 잡힌 것이 야생에서 발견된 마지막이었다. 북한에서도 중국과 접경지역인 고산 삼림에 몇마리가 남아있지 ... ...
- 3. 황금종 개구리가 이끈 환경올림픽과학동아 l2000년 10호
- 들어선 홈부시 베이부터가 생물이 자라나기 어려운 ‘버려진 땅’이었다. 18세기까지만 해도 도살장 등으로나 쓰이던 황폐한 땅이었던 것이다. 홈부시 베이는 본래 영국 이민집단이 호주에 정착하기 이전에 ‘어보리진’이라는 원주민이 살던 정글지대였다. 19세기 들어서는 농경지나 공장 부지로 ... ...
이전3723733743753763773783793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