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세
세금
공세
공조
요금
조공
지불금
d라이브러리
"
세
"(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체망원경 제작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만들려 노력했음에도 색수차 현상이 많이 나니 망원경을 만든다는 게 얼마나 정밀하고
세세
한 작업기술을 필요로 하는지를 알게 됐다. 또한 처음 생각한 큰 배율의 망원경은 크기가 큰 렌즈를 사용하는 것보다 초점거리가 긴 렌즈를 사용해야 된다는 사실과 초점거리를 길게 하려면 렌즈가 볼록하지 ... ...
찌릿찌릿, 따끔따끔! 정전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특종이 되겠지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주변에서 신기한 정전기 현상을 찾아보
세
요. 신기한 현상을 발견하면 정전기 기자에게 꼭 제보해 주셔야 합니다. 지금까지 정전기 기자였습니다 ... ...
수학으로 폭로한 '박쥐괴질' 대처법의 허점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동안은 어느 정도 전염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2년이 지난 시점부터는
세
경우의 감염 비율이 3.37%, 3.53%, 3.37%로 큰 차이가 없었다.핼럼 박사는 “괴질을 일으키는 곰팡이가 박쥐가 사는 동굴에서 발생하는 것 같다” 며 “박쥐를 도살한다고 해서 장기적으로 전염병을 막을 수 있는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큰 원소가 붕괴할 때 나오는 입자나 전자기파를 말한다.방사선이 몸 안에 들어오면
세
포나 DNA를 변형시킬 수 있다. 방사선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을 표시하는 단위는 ‘밀리시버트(mSv)’다. 보통 사람은 일상생활 속에서 1년 동안 2.4mSv의 방사선을 쐰다. X선 촬영을 한 번 하면 0.05~0.6mSv, ... ...
초등 탐구토론의 메카 서울교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초등 영재들의 진검승부“지금부터 과학탐구토론대회 중계를 시작하겠습니다. 발표팀이 참신한 내용을 소개하자 반론팀이 날카로운 질문을 던집니다. 양 팀의 논리를 정리하 ... 내고 있습니다. 자신이 가진 좋은 것을 서로 공유할 때 가장 좋은 것이 나올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
세
요 ... ...
Part1. 원전 사고 5가지 핵심 쟁점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높다. 원전이 자연재해 앞에서 통제불능상태에 빠지는 모습을 보면서 찬반 논란이 거
세
지고 있다. 우리나라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걱정도 나오고 있다. 문제는 없을까.우리나라 원전은 이번 후쿠시마에서 문제가 된 수소가스폭발이 일어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다. 지르코늄 피복이 증기와 ... ...
고려대 봉사단 ‘쿠소’의 뜨거운 8박 9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한국’을 소개하기 위한 다양한 교재와 함께, 한국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담은 컴퓨터
세
대도 기증했다.쿠소의 수업을 직접 듣지 못한 학생들도 한국관을 찾으면 수업패널과 전시물을 통해 앞으로도 계속 같은 내용을 공부할 수 있도록 꾸며둔 셈이다.김한겸 단장은 “차별화된 과학교구를 ... ...
니코틴보다 무서운 첨가제가 200개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때 200여 종의 첨가제를 쓴다”며 “수분을 유지하고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넣는 글리
세
린 같은 보습제가 30% 이상 들어가고 멘톨 같은 향료가 12~15%, 담배 맛을 좋게 하는 당류가 40~45%”라고 말했다. 그러나 박 변호사는 “KT&G에서 쓰는 담배 첨가제가 니코틴 의존증을 높인다는 주장은 편향된 ... ...
1984년 발터 게링 교수의 호메오박스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있는 유전자인 울트라바이소락스(Ultrabithorax)는 역시 배아에서도 바로 뒤에서 발현돼
세
번째 가슴체절을 형성한다. 그러나 왜 이런 일치가 일어나는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그 뒤 안테나페디아단백질과 울트라바이소락스단백질은 서로 상대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한다는 ... ...
생명의 기원, DNA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RFLP 결과 같은 DNA 조각을 보이는 용의자 4가 가장 유력하게 지목된다. 이 과정을 좀더 자
세
히 살펴보자. 여기에서는 RFLP 중 가장 흔한 형태인 VNTR(Variable Number Tandem Repeat)을 사용한다. 사람의 DNA 중 실제로 단백질을 만들어 유전현상을 나타내는 부위는 전체 DNA 중 1% 정도이며, 여기서 만들어 ...
이전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