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분
워터
용수
경수
수질
액체
용액
d라이브러리
"
물
"(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덩치 큰 슈퍼컴퓨터, 소프트웨어로 다이어트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매달린 프로세서에는 미래가 없다덩치 큰 슈퍼컴퓨터, 소프트웨어로 다이어트하다
물
과 공기로 열 내리는 그린 빌딩이 답생명의 타임캡슐 씨앗이중휴명 전략펴는 ...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전 세계 해양생
물
종을 한 눈에 파악하는 종합 보고서가 처음으로 나왔다. 국제 해양연구기관인 해양생
물
센서스(Census of Marine Life)는 2000년부 ... 어떤 해양 생
물
이 어디에 살고 있는지도 알 수 있다. 과학자들에게 전 해양에 존재하는 생
물
종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가 탄생 ...
왼손잡이에 대한 또다른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들은 허 생원은 동이가 자신의 아들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개울을 건너다 실족해
물
에 빠지고 만다. 동이의 도움으로 무사히 개울을 건너온 허 생원은 동이가 자신과 같은 왼손잡이임을 알게 된다. 왼손잡이에 대한 사회적 시선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왼손잡이는 금기의 대상이었다. ... ...
대결! 위기의 지구를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필요는 없어요. 그냥 느낀 대로, 눈에 띈 내용을 기록하면 된답니다. 발견한 나무나 동
물
은 그때그때 이름과 특징을 적어 두면 나중에 도감을 찾아볼 때 편할 거예요.당신의 표정을 보니 한시라도 빨리 지구로 돌아가고 싶군요. 좋아요. 마지막대결은 진짜 자연 속에서 펼쳐 보도록 하지요. 주말인 ... ...
뱅글뱅글 도는 태풍의 모양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수조나 대야에
물
을 담은 뒤 저어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물
을 빠르게 저으면 가운데
물
이 바깥으로 빠지면서 동그란 공간이 생긴다. 마찬가지로 태풍에서도 중심으로 갈수록 회전 속도가 빨라지고 공기가 상승하면서 공기가 바깥으로 움직인다. 이때 태풍 한가운데 동그란 공간이 생긴다. ... ...
홍제천에 도롱뇽이 나타났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청정 1급수에서만 산다는 도롱뇽이 서울 홍제천에 나타났어요. 홍제천은 서울 종로구와 서대문구, 마포구에 걸쳐 흐르는 하천이지요. 마포구청에서 주민 제 ... 끌어올리는 ‘
물
흐르기 사업’을 통해 바싹 말라 있던 홍제천을 하루 4만 3000톤의 맑은
물
이 흐르는 하천으로 만들었답니다 ... ...
슈퍼히어로의 천리안 위성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식
물
성 플랑크톤인 클로로필이 많으면 바다의 푸른 색이 더 강해지고, 적조가 발생하면
물
이 붉은 갈색으로 변한다.지금까지의 해양관측 위성들은 주로 지구 전체 바다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극궤도위성으로 만들었다. 그래서 하루에 한 번밖에는 특정 지역의 바다를 관찰할 수 없었다. 하지만 ... ...
정다면체 오형제의 위대한 탄생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생각했어요. 플라톤은 정이십면체를 둥글둥글 유동성이 있는
물
에 비유했거든요.사랑 :
물
이라고요? 그럼 다른 정다면체도 자연에 비유해서 생각했다는 말씀이세요?선생님 : 그렇답니다. 왼쪽의 정다면체를 어울리는 성질의 자연과 연결해 봐요. 선생님 : 정다면체는 입체도형 중에서 가장 ... ...
백두산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최근 백두산 폭발설이 언론을 통해 알려진 후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휴화산으로만 알려져 있던 백두산이 폭발할 가능성은 어느 정도인지, ... 차단해 전 지구적인 화산 재앙을 초래할 가능성도 있다. 특히수년 동안 전 세계 곡
물
재배에 악영향을 줘 장기간 식량 수급에도 타격을 줄 것이다 ... ...
물
속으로 얼음이 가라앉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쉽게 흥분하질 못한다. 하지만 36℃ 이상이 되면
물
도 일반 액체와 비슷해진다. 이렇게
물
의 비열용량이 큰 덕분에 지구는 온화한 기후를 유지할 수 있다. 뜨거운 태양빛을 받아도 쉽게 데워지거나 차가운 겨울이 되어도 쉽게 추워지지 않는 것이다. 비열이 크지 않았다면 지구는 급격한 기후변화를 ... ...
이전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