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운
능력
역량
권력
정력
에너지
기력
뉴스
"
힘
"(으)로 총 4,280건 검색되었습니다.
쫄깃하고 맛있는 송편을 만드는 비법 대방출!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14
반죽하라 밀가루 반죽을 계속 주무르면 쫄깃쫄깃해져요. 밀가루에 물을 넣고 물리적인
힘
을 가하면 글루텐이라는 쫄깃쫄깃한 단백질이 만들어 지거든요. 그러나 쌀가루는 밀가루와 달리 글루텐이 만들어지지 않아요. 그래서 찬 물을 넣고 쌀가루를 반죽하면 계속 부스러질 뿐 반죽이 되지 않지요 ... ...
한국인 과학자, 국제표준기구 대외협력 부회장 선임
2015.09.14
이번이 처음이다. 박 센터장은 질량 및
힘
분야 전문가로 2008년부터 지금까지 IMEKO
힘
질량 기술위원회 부의장을 역임한 바 있으며, 한국정밀공학회 국제저널의 편집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IMEKO는 1958년에 창설된 측정 분야 최대 규모의 민간측정전문기구로 기술교류 및 국제협력 증진 ... ...
‘내 팔에 귀’, 왼팔에 귀 이식한 스텔라크 교수
2015.09.14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몸을 통해 표현하는 것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분명
힘
들고 어려운 일이지만 진짜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있다”며 미소를 지었다. ... ...
신발 끈 안 풀리는 ‘매듭의 법칙’ 찾았다
2015.09.09
따라 매듭의 세기를 계산할 수 있는 공식도 개발했다. 레이스 교수는 “매듭을 묶는 데
힘
이 더 든다는 사실은 매듭이 얼마나 더 단단한지를 나타내는 지표”라면서 “신발 끈의 종류에 따라 어떤 매듭이 좋은 지부터 외과 수술에 상처를 봉합할 때 어떤 매듭을 쓸 지처럼 다양한 곳에 응용할 수 ... ...
“한국 응급실 과밀화 최악… 제2메르스 대비 서둘러야”
동아일보
l
2015.09.08
소개하며 공감을 표했다. 참가자들은 보건안보를 위협하는 신종 병원균들을 자국의
힘
만으로 해결하기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기존에 알려진 바이러스는 169종인데, 이 외에도 최근 815종의 신종 바이러스가 발견됐다. 그 정도로 감염병은 미지(未知)의 세계이기 때문에 국제공조는 필수라는 공감대가 ... ...
[광화문에서] 창조과학이라는 유사과학
과학동아
l
2015.09.08
상징과 비유로 해석하면 되는 성경을 글자 그대로 해석하고 있다. 글자 자체에 권위와
힘
이 있다고 믿기 때문인데, 이건 신비주의자의 태도지 과학자의 태도가 아니다. 과학자들은 모든 종류의 과학적 성과를 도끼눈으로 바라본다. 이들은 믿음보다는 비판으로 대상을 대하고, 입증보다는 반증 ... ...
마블 히어로 ‘앤트맨’의 과학, 어디까지 사실일까
2015.09.04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사람의 몸이 줄어들면 내부 압력이 커져 결국 살아있기
힘
들다”며 “사람이 개미만큼 작아지고 다시 커지는 일은 어디까지나 영화적인 상상력”이라고 말했다. 앤트맨이 착용하는 슈트와 헬멧은 몸을 자유자재로 줄이고 늘리는 그 이상의 복잡한 기능이 필요하다 ... ...
진로강좌 553개… 현장실습 330명… 동아리 참여 2555명
동아일보
l
2015.09.03
[2015 청년드림대학 평가]취업률 배제한 10개지표 상위대학 ▼ 학교-졸업생 쌍끌이의
힘
▼ 취업 지원 잘한 대학들 《 2015년 청년드림대학들은 학생들의 눈높이와 수요를 꼼꼼히 파악하고, 그에 맞춰 취업·창업 지원 역량을 쏟아붓는 노력이 돋보였다. 학교는 맞춤형 상담과 이력관리 시스템을 ... ...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
수학동아
l
2015.09.01
중독처럼 무작정 끊으면 금단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디지털에 중독되면 ‘긍정의
힘
’을 일으키는 신경전달물질 ‘세로토닌’은 분비량이 줄어든다. 이탈리아 국가연구진흥원의 루카 파사몬티 박사팀은 디지털 중독 환자의 뇌를 관찰한 결과 세로토닌이 분비되는 전두피질 부위가 망가져 있는 ... ...
떠오르는 사물인터넷? 보안먼저 해결해야
과학동아
l
2015.08.28
다양한 기업이 속할 수 있다. 이처럼 사물인터넷 시장은 수많은 기업이 서로
힘
을 합쳐야 활성화될 수 있다. 문제는 이 점이 사물인터넷의 보안을 약하게 만드는 주범이라는 사실이다. 사용자의 특정 정보가 외부로 유출됐을 때 어디서 구멍이 난 것인지 알 수가 없기 때문이다. PC나 모바일의 ... ...
이전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