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구역
지대
지구
고장
존
시골
d라이브러리
"
지역
"(으)로 총 6,494건 검색되었습니다.
물 속에서도 숨쉬는 벼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잘 자라지만 물에 잠기면 며칠을 견디지 못하고 죽는다. 해마다 반복되는 홍수로 아시아
지역
은 매년 1억달러가 넘는 벼농사 피해를 입는다. 하지만 물 속에서도 자라는 벼가 개발돼 이런 피해를 줄일 수 있을 전망이다.필리핀 국제쌀연구소(IRRI)의 데이비드 맥킬 박사는 물 속에서도 숨을 쉬는 벼를 ... ...
1. 세계로 가는 철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산업혁명이 무르익을 무렵 영국 탄광
지역
에서 시작된다. 선로는 이미 중세 후기부터 광산갱도에 이용돼 왔지만 그 위를 움직이는 화차는 말이 직접 끌었다. 문제는 그 말의 사료비였다.경제학자 아담 스미스의 계산에 따르면 말 한 마리를 먹이는 데는 8명의 노동자가 소비하는 식품을 사는 것과 ... ...
목숨 살리는 '생명 빨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나비 효과' (북경에서 나비가 펄럭이면 뉴욕에 폭풍이 몰아친다)라고 한다유럽과 기타
지역
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이동전화 시스템 GSM은 시분할 다중접속(TDMA)의 변종으로, TDMA·CDMA와 함께 가장 널리 사용되는 3개 디지털 무선전화기술 중 하나다 데이터를 디지털화하고 압축한 다음, 그것을 ... ...
TV 화면 비율이 4:3이었던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있다. 휴대전화 중계기도 곳곳에 설치돼 있어 지상파 DMB 송출이 쉬워졌다. 현재 수도권
지역
에서는 깨끗한 화면을 볼 수 있고, 위성 DMB를 이용하면 전국에서 DMB 수신이 가능하다. 즉 20년 전과 지금의 차이는 휴대용 TV를 볼 수 있는 주변 기술이 잘 구축돼 있다는 점뿐이다. 디스플레이의 ... ...
식중독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중앙 컴퓨터로 보내면 이들을 서로 비교해 일치하는 지문을 찾아 해당
지역
에서 역학조사를 집중적으로 벌이는 것이다.DNA 지문분석법을 사용하면 무엇보다도 원인균과 원인식품을 신속하게 찾아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법이 개발되기 전인 1993년 캐나다 웨스턴 주에서는 O157균의 전염 사실을 3 ... ...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진도 울돌목에는 1천kW급 조류발전소를 시험설치하고 있다(사진은 프랑스 브루타뉴
지역
의 랭스조력발전소).해양생물로 옷감을 짜다이 거대한 바다는 나에게 먹을 것뿐만 아니라 입을 것도 줍니다.당신이 지금 입고 있는 옷감은 조개의 족사로 짠 겁니다. 그걸 ‘군소’라는 연체동물에서 뽑아낸 ... ...
꼬마잠자리의 슬픈 비행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위탁받은 한국토지공사 군부대수탁보상사업소 담당자는 “2002년에 국방부가 고시한
지역
으로 올해 8월이면 공사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했다.공사를 하기 전에는 반드시 환경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혹시 사전환경성검토에서는 문제가 없었을까.환경부 국토환경보전과에서는 “당시 ... ...
1. 신토불이는 미신인가? 과학인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그치지 않고 도덕적인 천성을 이루기도 한다”고 했다. 브라우델(Braudel)도 유럽 문화권
지역
에서 “당신이 먹는 음식을 알려 준다면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있다”고 했다. 이것은 “인간은 곧 먹을거리”(Der Mensch ist was er ist)라는 독일 속담과 우리의 ‘신토불이’라는 말과 하등 다를 것이 ... ...
태권V 지하기지냐, 수중기지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기지가 로봇이 출동할 현장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서도 안 된다. 태권V의 주요 출동
지역
이 서울이라면 수도권 구릉지에, 해안 부근이라면 섬에 기지를 건설하는 게 좋다. 태권V가 발진할 때 상당한 소음과 가스가 발생할 것이란 점을 고려해야 한다. 기지가 민가에 가깝다면 주민의 민원이 빗발칠 ... ...
시간의 흐름 속에 탄생한 생명의 신비를 느끼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0개가 넘지만 우리나라에는 국립자연사박물관은 하나도 없다. 그래서인지 규모는 작지만
지역
주민의 사랑을 받고 있는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이 소중하게 느껴진다. 이곳은 국내에서 지방자치단체가 만든 최초의 자연사박물관으로 2003년 7월 문을 연 이래 연간 약 25만 명이 찾아오고 있다. 이제 ... ...
이전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