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풀어보면서 실전감각을 길러두자. 수 학 1. n명의 사람이 옆 사람과 손을 잡고 한
줄
로 서 있다. 서로 손을 잡고 있는 사람끼리는 친구이고 손을 잡고 있지 않은 사람끼리는 친구가 아니다. 이 사람들 앞에 어떤 방이 있는데 이 방에는 처음에는 아무나 들어갈 수 있지만 일단 사람이 한 명이라도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특별활동이나 방과 후 수업을 마련해 학생들이 재능을 탐구하고 개발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교육현장의 큰 병폐인 사교육비 절감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입학사정관제] 면접과 토론으로 준비된 나를 어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우세하다고 해서 좋은 점수를 받는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자기 의견을 호소력 있게 말할
줄
아는 것만큼 중요한 사항이 바로 ‘잘 들어주기’다. 다른 사람의 의견에 휘둘리지 않도록 자기 주관을 지키면서도 자기 의견과 반대되는 입장의 말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물론 반대 입장에 선 지원자에게 ... ...
제8회 전국학생과학논술대회 수상작(중등부 대상) - 누구를 위한 이타인가?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이기적인 행동을 하기 보다는 인류의 미래를 위해 다른 사람에게 친절과 봉사를 베풀
줄
아는 이타적 심성이야말로 점점 메말라 가는 현대 사회인들이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덕목이다. 반대로 진화론의 자연선택설의 핵심에는 경쟁이라는 개념이 있다. 여기에 진화론이 미움 받는 이유가 있다. ... ...
딱총나무 세포에서 배우는 거품의 수학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예를 들어 잠자리 날개를 보면 얇은
줄
(날개맥)끼리는 120°를 이루지만 굵은
줄
과 얇은
줄
이 만날 때는 90°를 이룬다.비누거품을 자세히 관찰해 보면 곡면 3개가 120°의 각도로 한 곡선을 따라 서로 모이고, 다시 이런 곡선 4개는 서로 일정한 각도로 한 점에서 모인다. 이들 곡선 4개 중 2개씩 이루는 ... ...
[입학사정관제] 2010 입학사정관 전형 특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KAIST 공략법① 다른 사람과 소통할
줄
아는 능력을 보여라.KAIST의 입학사정관들은 협업할
줄
아는 미래 과학자를 선발하기 위해 토론에서 수험생들이 ‘다른 사람과 대화를 잘 나누는가’ ‘협업을 잘 하는가’ ‘융합, 통섭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는가’를 확인한다.② “내가 만나 본 사람 중 ... ...
선비의 풍류 살리는 장중한 소리 거문고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진동수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거문고는 한 옥타브 이상 차이가 나는 두
줄
이 어우러져 독특한 음색을 만든다. 이런 옥타브 차이 때문에 듣는 사람은 음이 급격하게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처럼 느낀다.선비들이 거문고를 사랑한 이유는 아마도 그 독특한 음색에서 검은 학이 비상(飛上)하며 ... ...
色이 돈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장점을 잘 활용한 사례다. 코카콜라, 펩시콜라의 아성에 도전했던 국산 콜라가
줄줄
이 고배를 마신 상황에서 젊은이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색채마케팅 전략으로 추진됐던 노란색 콜라는 단기간에 높은 판매고를 올렸다.젊은 여성이 주로 많이 먹는 과립형 비타민C인 레모나가 노란색 제품 도장을 ... ...
잠자는 명화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그림이 완성된 시대의 화풍과 화가의 의도를 이해하고 원작과 비슷하게 붓칠을 할
줄
알아야하는 것은 물론, 언제 어떤 재료를 어디에 왜 사용하는지도 과학적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미술품 복원이 예술인 동시에 과학이라는 말이다.그래서 복원가가 되는 길은 화가가 되는 길과 다르다. ... ...
인간의 역사와 함께한 한국의 귀화식물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읽으며 사진과 그림을 보고 있으면 책이 사전식으로 구성됐음에도 불구하고 시간 가는
줄
모른다. 다만 식물이 들어 온 경로나 그 과정에서 있었을 다양한 이야기가 덧붙여졌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좋은 과학책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하나는 다른 이들이 만들어 낸 지식을 가로 세로로 잘 짜 ... ...
이전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