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케줄
계획
예정
예정표
프로그램
스케쥴
진행표
d라이브러리
"
일정
"(으)로 총 4,651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 - 중력이용, 지구중심관통열차 운행한다면…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운동… 등과 같이 주기적으로 왕복운동하는 것을 단진동이라 한다. 단진동운동의 특징은
일정
한 범위에서 같은 운동을 반복하면서, 진동의 중심을 지날 때에는 속도가 가장 빠르고 끝으로 갈수록 속도가 줄어서 끝에서는 정지하고 운동의 방향이 바뀌면서 다시 진동의 중심으로 가면서 속도가 점점 ... ...
한국곤충-삶의 신비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중 최후의 단계는 번식기라는 점이다. 그래서 종마다 성충이 나타나는 출현시기는 거의
일정
하기 마련이다. 그것도 근연종과는 시간적 지역적 차이를 두고 나타난다. 또 소형일수록 1세대의 소요기간이 짧은 경향이 있다. 수백개의 알을 낳아서 짧은 세대를 반복하는 곤충은 각양각색의 환경에 ... ...
물리- 이불에 떨어진 유리컵, 왜 안깨지나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쏘았을 때보다 약간 크다.2. 한꺼번에 발사한 총알은 모든 총알이 지면에 대해서 1천으로
일정
하다. 그러나 하나씩 발사한 총알은 지면에 대해서 첫번째만이 1천이고, 그 다음부터는 우주인이 뒤로 움직이면서 발사하기 때문에 우주인에 대해서는 1천으로 발사했지만 지면에 대해서는 1천에서 ... ...
물리- 과일로 전기 만든다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직류를 얻을 수 있습니다.직류는 시간이 지나도 전류 파형의 크기와 방향이 변하지 않고
일정
하나, 교류는 전류 파형의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화합니다. 최초의 화학전지 볼타 전지화학전지는 이탈리아의 과학자 볼타가 처음으로 만들었습니다. 묽은 황산 용액에 아연판(Zn)과 구리판(Cu)을 ... ...
생물- 인류의 조상, 과연 원숭이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우라늄은 납으로 변한다. 방사성 원소는 온도나 압력 변화에 관계없이 언제 어디서나
일정
한 속도로 붕괴하여 안정된 다른 원소로 변한다. 이때 방사성 원소의 양이 처음 양의 반으로 되는 기간을 반감기라고 한다.어떤 광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방사성 원소의 양(A)과 새로 생성된 원소의 양(B)을 ... ...
지구과학- 생물탄생 이래 불변-대기온도의 미스터리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이것은 어떤 이유일까?달은 지구와 마찬가지로 밤과 낮의 기온차이는 크지만 평균기온이
일정
하게 유지된다. 이것은 (그림5)에서 알 수 있듯이 달의 표면이 태양에서 받는 복사에너지 양을 1백이라 하면 달의 표면에서 우주 공간으로 방출하는 복사에너지 양도 1백이 돼서 복사평형을 이루고 있기 ... ...
화학- 물질반응속도, 온도따라 다르다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화학자들은 물질의 정확한 반응속도를 알고자 한다. 하지만 화학반응은 계속 진행중이기 때문에 정해진 시점에서 반응의 빠르기를 알아내기가 쉽지 않다. ... 반응의 결과 생성된 수소의 양은 마그네슘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 마그네슘이
일정
량 사용되었으므로 발생한 수소의 양은 같다 ... ...
(3) '초봄이 한여름' '한여름이 가을'의 대이변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곳에서는 저온이 되는 것이다. 또한 1년간 지구 전체에서 증발하는 물의 양은 거의
일정
하므로 어느 지역에서 강수가 많으면 지구의 다른 어떤 지역에서는 줄어들게 된다.2-3일 맑은 뒤에는 비가 내린다. 비가 그치면 다시 맑아진다. 이와 같이 맑음과 비가 반복되면 농작물에는 순조로운 일기다. ... ...
헬기타고 하늘에서 지질탐사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방사능과 자력의 세기가 지표면에서 떨어질수록 약해지기 때문에 헬리콥터를 조종할 때
일정
한 고도(1백20m)와 속도(시속 약 90㎞)를 유지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또 일기변화 헬리콥터(자체) 우주선 대형건물 등에 의해 방사능 및 자력수치가 영향을 받을 수 있어 분석작업때 이같은 변수를 ... ...
PART.3 세계최초 국내개발 '팬덤 3D'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처리하는 팬텀 3D와 큰 차이가 있다.사람의 눈이 사물을 입체로 인식하는 이유는 두 눈이
일정
한 거리로 떨어져 있기 때문. 즉 왼쪽과 오른쪽의 눈에 들어오는 화상이 각도가 달라지면 대상물에 대한 지각이 입체감을 띠게 된다. 따라서 두 대의 카메라로 찍은 것 같은 영상을 구현해 간격을 두고 ... ...
이전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