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론"(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 KAIST 송태호교수가 최초로 밝힌 얼음골의 비밀과학동아 l1996년 07호
- 현상을 설명하기에는 미흡했다.단열팽창 아닌 자연대류 최근 송태호교수는 이전의 이론과 다르게 얼음골의 생성 원리를 설명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먼저 밀양 얼음골의 지형에 대해 알아보자. 화산암으로 이뤄진 산이 풍화에 의해 부서지면서 산기슭에 너덜(talus)을 만들고, 이 너덜은 20~30cm ... ...
- Ⅱ. 묻혀있는 가능성 지오피아를 건설한다과학동아 l1996년 07호
- 기름은 물 위로 뜨는 성질을 이용해 지하공간에 최적의 유류비축 시설을 만들 수 있다. 이론적으로 보자면 지하에 유류비축시설을 만드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먼저 지하 일정한 깊이 지하수면 아래를 뚫은 다음, 주변 암반중 지하수의 정수압을 저장 유류의 증기압보다 높게 유지함으로써 유류가 ... ...
- 초전도이론의 대가, 존 R. 슈리퍼과학동아 l1996년 07호
- 많은 나라에 알릴 것으로 본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에 유치된 국제적인 연구기관인 아테이론물리센터가 앞으로 큰 역할을 담당하리라고 생각한다.과학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말씀해 주십시오.-과거 3천년동안 과학과 기술은 따로 놀았다. 20세기에 들어서서 서로 함께하기 시작해 4 ... ...
- 태양계의 냉동창고, 쿠이퍼대과학동아 l1996년 07호
- 가진 천체가 있어야 한다.1977년에 발견된 케이론(Chiron)은 이런 천체일 가능성이 많다. 케이론은 처음에 소행성으로 분류됐다. 하지만 그 궤도가 소행성대와 가른 토성과 천왕성 사이에 걸쳐 있고 먼지의 분출 현상이 가끔 보였기 때문에, 요즈음은 반소행성 반혜성이라는 뜻으로 켄타우루스(Centaurs, ... ...
- '인공생명' 10문 10답과학동아 l1996년 06호
- 연구의 아버지로 불릴만하다. 그는 1951년 자기증식 기계에 관한 세포자동자(cellular automata)이론을 발표했다.먼저 바둑판 모양의 주위 환경을 설정한뒤, 각 사각형을 세포(cell)로 생각하고 이 세포의 모음으로 유기체를 구성한다. 각 세포는 자신을 둘러싼 주위 세포의 상태에 따라 매우 간단한 법칙에 ... ...
- 3. 대통일장 이론은 가능할까과학동아 l1996년 06호
- 시간이 필요하리라고 예상된다. 높은 온도에서 초전도가 발생하는 이유고온초전도이론초전도란 특정한 구조를 가진 물질을 매우 낮은 온도로 냉각시킬 때 전기저항이 '영(0)'으로 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면 열로 인한 손실 없이 송전이 가능하다. 대형 가속기나 자기부상열차에 쓰이는 ... ...
- 전화가 바뀐다, 세상이 바뀐다과학동아 l1996년 06호
- 있듯 둘 다 디지털을 기반으로 한 기술이긴 하지만 CDMA가 TDMA보다 효용성이 높다. CDMA는 이론적으로 아날로그방식의 20배, TDMA의 4-5배 이상 더 많은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다.우리나라에서 디지털 이동전화 방식이 결정되기 전 관계자들은 TDMA와 CDMA중 어떤 방식을 택할 것인가를 놓고 심각한 논쟁을 ... ...
- 2. 반입자와 반물질과학동아 l1996년 06호
- 발견됐다.그후 반입자와 이러한 반입자들로 구성된 반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많은 이론적인 연구가 시작됐다. "반우주, 반지구, 반수소원자가 존재할 수 있을까"와 같은 호기심에서부터 "과연 반물질은 일반적인 물질들과 똑같은 물리법칙을 따를까" 등의 심각한 의문이 생기게 됐다.더욱이 ... ...
- 4. 세계 최고 수준 지향과학동아 l1996년 06호
- 기대를 고조시키고 있다. 이러한 세미나가 이제 연중 행사로 이뤄질 것을 생각하면 아태이론물리센터의 유치가 갖는 의미는 자못 크다.사무총장으로서 센터의 실질적인 운영 책임을 맡고 있는 조용민교수는 그 의미를 좀더 쉬운 곳에서 찾아 줬다. "이제 서양에 가서 연구하고 공부할 때가 지났다. ... ...
- 빛은 입자인가 파동인가과학동아 l1996년 06호
-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한가지를 선택하는 기준은 '어느 이론이 보다 간단한가'와 '누가 그 이론을 지지하는가'이다. 파동설에 비해 입자설은 설명 방식이 간단했을 뿐 아니라 뉴턴이나 라플라스와 같은 거장들이 지지했다. 따라서 18세기 전반까지 입자설이 우위를 점할 수 있었다. 궁지에 ... ...
이전3713723733743753763773783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