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명
저명
명성
유망
우수
현저함
빼어난
d라이브러리
"
유명
"(으)로 총 4,334건 검색되었습니다.
행성은 한 별자리에 머물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도데의
유명
한 단편 '별'에는 그 계절에 알프스 지방에서 보이지 않는 별 시리우스(Sirius,
유명
한 겨울철의 별자리인 큰개 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가 인용되고 있음을 지적해 둔다.네째 목성은 노란 빛을 띤 행성이다. 붉은 행성은 화성 하나 뿐이다 실제로 한 번이라도 목성을 본 사람이라면 이것은 ... ...
「과학입국」 초석을 다지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수립하게 되었다.정보산업국에 크게 도움을 주었던 이들은 미국 학술원에서 파견된
유명
한 교수들이었다. 그러나 애석하게도 정보산업국은 80년 들어 기구가 축소되면서 그동안의 사업을 거의 중단하였다. 우리 과학기술 선진화의 가능성을 여기에 걸었던 나로서는 이것은 정말 안타까운 일이 아닐 ... ...
아시모프의 삶과 꿈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오늘날 로봇공학자들의 논문에서까지도 다뤄지는 이
유명
한 법칙은, 1940년 겨울에 당시
유명
한 과학소설편집자인 존 캠벨과 토론을 벌이다가 탄생한 것이다(존 캠벨은 '사이버네틱스'의 창시자 중 한명인 MIT의 위너 교수 제자였다). 아시모프가 로봇 소설을 발표한 것은 19세 때부터며, 그 뒤 그의 ... ...
스타시티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가기 전에는 반드시 이곳에 들른다고 한다. 현재 소련에서 유리 가가린은 아마도 제일
유명
한 사람일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유리 가가린이 입었던 우주복은 30kg이었는데 지금의 우주복은 겨우 8kg이라고 알려 주었다.일반 우주개발전시실을 구경하다가 우주인의 음식중에 마늘이 보여 안내인한테 ... ...
역사상 가장 불행한 수학자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우수꽝스러운 죄목으로 6개월형을 받았다. 이 즈음에 과학원으로 보낸 논문은 당시의
유명
한 수학자인 포아송(Poisson)에 의해 '이해불가'라는 판정을 받아 사장됐다.갈로아는 1832년 5월 29일에 출옥했는데, 바로 이날 연애사건에 얽힌 결투신청을 받았다. 그 다음 날 아침에 그는 장을 관통당해 ... ...
생명연장을 위한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것도 있었는데 당시 사용했던 재료는 런던의 헌터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헌터가 행한
유명
한 자가이식수술 중에는 닭의 발톱을 같은 닭의 벼슬에 이식한 것도 있다. 발톱은 성공적으로 이식되었을 뿐만 아니라 부리 쪽으로 자라나기까지 하였다. 헌터는 고대 이집트와 아메리카 그리고 16세기에 앙 ... ...
드링크제 만능피로회복제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1위 2위 4위를 비롯 4개(박카스 원비 삼정톤 구론산바몬드)나 차지한다(표 1).
유명
제약회사 매출고의 절반 이상이 드링크판매액으로 충당된다. 정확한 통계는 아니지만 우리나라 사람은 1년에 평균 20~30병의 드링크를 마시고 있는 것이다.과연 드링크제는 어떤 효과가 있길래 이처럼 많은 사람들이 ... ...
새봄 새싹 위에 펼쳐지는 작은 촛불잔치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25배, 밝기는 1백15배 정도인 어마어마한 크기의 별이다.이 별은 고유운동이 큰 것으로도
유명
한데 1718년 영국 천문학자 핼리는 이 별의 위치가 고대 그리스 시대에 관측되었던 위치와 1도(˚)정도 틀린 것을 알아내고 처음으로 고유운동을 발견했다. 현재 이 별은 매년 약 2초(″) 정도 움직이는 것으로 ... ...
위험을 알 권리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위해서는 더욱 중요한 일이다.위험을 모르고 있던 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불구가 된 가장
유명
한 사고는 인도에서 일어났다. 1984년 12월 3일 이른 새벽 대부분의 사람들이 잠든 시각. 인도의 보팔시에 있는 '유니언 카바이드'라는 농약 생산공장에서는 메틸아이소시아네이트(${CH}_{3}$CNCO)라는 ... ...
바퀴벌레와 컴퓨터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크게 틀린 것은 아니었다는 생각이다. 그와 같은 표현은 작가 돈 마키스가 창조한 그
유명
한 아치를 필자가 인상깊게 기억한 데서 비롯됐는데 그 소설속에서 아치라는 이름의 곤충이 지능을 가졌던 이유는 시인이었던 아치의 영혼이 불행하게도 바퀴벌레의 몸으로 다시 태어났던 까닭이었다. 물론 ... ...
이전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