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d라이브러리
"
백
"(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1) 최신이론 플룸구조론이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80년대 중반 이후로 맨틀의 보다 깊은 곳의 조건도 흉내낼 수 있게 되어(맨틀 최하부 2천9
백
㎞까지) 우리의 지식을 넓혀주고 있다.이러한 최근 연구에 의하면, 섭입대에서 상부맨틀로 내려가는 판은 상부맨틀-하부맨틀의 경계부인 6
백
50㎞ 깊이에서 하부맨틀 물질의 밀도보다 가볍기 때문에 ... ...
(1) 우주탄생 비밀 캐는 새방법 제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희귀한 존재로 전자파로 발견하는 것이 쉽지 않다. 천문학자가 작성한 카달로그에는 약 4
백
개의 중성자별이 기록돼 있지만 우리 은하 내에서 확인된 쌍둥이는 4개밖에 안된다. 천체물리 학자들은 이 4개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우주 공간에서 매년 몇개의 쌍성펄사가 충돌하는지를 예측하고 있다 ... ...
20년 넘도록 과부로 지내는 황새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科)의 한 종으로 대형이며 겨울철에 일정기간 머무르다 가는 겨울새인데, 천연기념물 제 1
백
99호로 지정 보호받고 있다. 암수 모두 흰색이나 날개 하단부위는 검은색의 깃을 가지고 있으며 나출된 부위인 눈꺼풀과 다리 부분은 붉은 빛을 띈다.한쪽 다리를 들고 서 있기를 즐기며 목은 S자형으로 ... ...
공룡 절멸시킨 충돌소행성 크기에 새 가설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천체가 충돌했다는 말이 된다. 이는 헬리혜성과 마찬가지 정도의 크기가 된다. 실제로 3
백
㎞나 되는 크레이터라고 하면 지난 10억년간 가장 큰 것. 이 학설이 사실이라면 공룡절멸의 원인이 천체충돌에 의한 것이라는 가설은 더욱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 ...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것을 '자동가이드'라고 한다.수동가이드에 의한 촬영은 한계가 있어 보통 초점거리가 3
백
㎜이상에서는 어렵다. 필름 상의 한 곳에 별빛이 머물게 하여 장시간 감광시켜 어두운 곳까지 나오게 하려면 일주 운동으로 움직이는 별을 추적 촬영하는, 즉 가이드 촬영방법을 써야 한다.가이드란 적당한 ... ...
카오스와 퍼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최적의 상태를 선택하는 것이다. 우수한 퍼지세탁기는 인식된 세탁물의 상황에 따라 수
백
가지나 되는 세탁방법을 터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퍼지제품이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무엇일까. 국내에서 개발된 퍼지엘리베이터는 전력소비량이 기존제품보다 15% 가량 줄어들고 승객들의 대기시간도 ... ...
지구과학 - 우주의 중심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우주관은 불과 4
백
여년 전만 해도 이해되기 어려운 것이었다.지구와 우주의 실체를 밝히려는 노력은 인류가 지상에 탄생하면서부터 시작됐을 것이며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태양중심체계 행성들의 운동에 대한 설명도 이미 ... ...
(2) 판구조론 통해본 지구의 과거와 미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엔더슨(Don L. Anderson)과 버클리의 진로즈(Raymond Jeanloz)는 지구가 과거 수십억년 동안 2
백
℃ 밖에는 식지 않았기 때문에 지구의 판운동은 지구가 태양으로 흡수되는 약 50억년 후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주장한다.앞으로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해 명확한 해답을 얻기 위해서는 지질학자들, 특히 지구내부를 ... ...
베들레헴별은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화성이 물고기자리에서 약 3° 사이를 두고 접근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이 현상은 수
백
년에 한번 나타난다.한편 고래자리에서 빛나는 미라가 예수탄생별이라는 주장도 있다. 미라는 평균 3
백
31일을 주기로 3-9등급 사이의 밝기를 반복하는 변광성이다. B.C.4년 9월29일 미라의 극대기가 바로 ... ...
동물들의 의사교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다소 당황하게 했다. 하지만 악어의 초저주파 음파에 기인한 진동은 너무도 명
백
하다. 가끔 텔레비전의 동물프로에서 볼 수 있는, 악어의 몸통 위로 물방울이 분출되는 장면이 그 진동을 포착한 것이다.악어는 공룡의 후손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따라서 고대 생물들은 초저주파 음파를 통신 수단으로 ... ...
이전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