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생리의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주변 환경에서 시각, 청각, 촉각 등의 감각 정보를 받아야 하는데 장소세포 혼자서는 이 모든 일을 처리할 수 없다고 생각한 것이다. 오키프 교수에게 전기신호 측정 기술을 직접 배운 모세르 부부는 해마에 정보를 전달하는 기관이 내비피질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2004년에는 내비피질에도 해마의 ... ...
- [hot science] 카톡 정말 믿어도 될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진행되면 텔레그램보다 더 안전한 메신저가 될 수 있을 듯하다. 그러나 이것으로 모든 문제가 해결된 건 아니다. 미래에는 비밀의 방마저 뚫는 기술이 나오지 않을까. 거꾸로 ‘안전해진’ 카카오톡이 범죄에 악용되는 사례가 늘어난다면 이번엔 반대의 목소리가 나오지 않을까. 무엇보다 개인의 ... ...
- [과학뉴스] ‘다단계 점프’로 화성에 간 인도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자체 로켓 기술을 보유한 인도의 강점이 더욱 부각된다. 인도는 화성 탐사에 필요한 모든 부품과 기술도 스스로 개발했다. 다만 이런 성향은 약점이기도 했다. 최기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미래융합연구실장은 “인도의 자립 전략은 인구가 많고 대규모 동원이 가능해야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보안패턴, 입체자성패턴 등 다양한 위·변조 방지 신기술을 공개했다(박스 기사 참조). 모든 신기술은 한국조폐공사가 지금까지 축적해 온 요판(인쇄판) 제작술과 인쇄술, 그리고 스마트폰 앱 기술이 맞물려 개발됐다. 디자인과 IT기술이 만난 융합연구인 셈이다. 남세현 디자인연구센터 ... ...
- Part 1. 테러도 공식을 따른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세빛섬에서 터진 폭탄을 조사한 결과, 11월 5일 국회의사당에서 터진 폭탄과 동일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두 사건 모두 같은 조직의 소행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누가 왜 이런 테러를 저질렀는지 아직까지 밝혀진 게 없다는 겁니다. 세 번째 폭탄 테러가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도 모르는 상황이고요. ... ...
- [생활] 이슬람의 기하학 패턴을 찾아, 말레이시아로!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중심과 일치하고, 원의 중심에서 나온 별의 꼭짓점이 균등한 것과 같이, 세상의 빛 역시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게 퍼져 나간다고 생각했어요.이슬람 사람들은 이렇게 원에서 시작해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십이각형과 별이 결합해 만들어내는 복잡하면서도 조화로운 기하학적 패턴을 ... ...
- [hot science] 전생에 삼엽충이었던 분을 찾습니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언제부터 있었을까요? 지구에 생명이 태어났을 때부터 영혼이 있었을까요? 그렇다면 모든 생물종의 90% 이상이 사라진 페름기 대멸종 때는 갈 곳 없는 영혼이 지구를 떠돌고 있었어야 합니다. 영혼도 사라졌다가 다시 생긴다? 그렇다면 환생이라고 부를 수 없겠지요.전생 체험은 쇼!제가 너무 억지를 ... ...
- [knowledge] 우주멀미는 괴로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쪽이 위쪽이고 어느 쪽이 아래인지 개념이 사라지기 시작했다. 더구나 우주선 내부의 모든 벽면에는 기계 장치가 붙어 있어서 도대체 어디가 바닥인지 구별조차 하기 어려웠다.혼란을 느끼는 우리를 보고 하우스 박사가 이유를 설명해 줬다. 그는 우리가 공간에 대한 감각을 느끼는 것은 다양한 ... ...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당시로서는 너 무 혁명적인 주장이라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지구 전역에서 한 날 한 시에 모든 종이 창조됐다는 창조론이 훨씬 그럴듯하게 보 였다. 하지만 지금 우리는 알고 있다. 어떤 주장이 옳았는지. 활 달한 신종헌터 후커가 발견한 식물 종의 분포는 전 지구적인 기 후변화를 증명하는 유력한 ... ...
- [과학뉴스] 별만 2억1900만 개 우리은하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라 팔마 섬에 있는 구경 2.5m 아이작뉴턴망원경으로 우리은하에 있는 밝기 20등급 이상의 모든 별을 관측했다.20등급은 사람의 맨눈으로 관측할 수 있는 가장 어두운 별보다 약 100만 배 더 희미한 밝기다.연구팀은 그간 축적한 별 데이터를 프로젝트 홈페이지(iphas.org/data)에 누구나 볼 수 있도록 ... ...
이전3713723733743753763773783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