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학
응용과학
d라이브러리
"
과학기술
"(으)로 총 8,40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땅 독도 과학으로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독도를 노리는 일본의 야욕은 그만! 이제 독도는 우리가 과학으로 지킨다. 정부가 독도에 종합해양과학기지를 지어 해상과 기상, 그리고 지진 자료를 수집하는 최첨단 관측소로 활용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곳에 과학기지를 세우면 귀중한 해상정보를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독도 ... ...
황사보다 위험한 에어로졸 감시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요오드, 세슘이 발견되고 있다.이런 방사성 물질이 어떤 경로로 한국에 날아왔을까. 광주
과학기술
원 환경공학부 김영준 교수는 방사성 물질과 같은 오염물질의 이동 경로를 정확하게 알려면 끊임없이 대기를 관측해야 한다고 말한다.“현재는 지상에 있는 측정소에서 방사성 물질을 측정하지만, ... ...
Part 2. 과학으로 다시 보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후쿠시마 원전 사태는 한반도에서 수백~1000km 떨어진 지역에서 일어난 일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고선량 방사선 위험은 없다. 하지만 저선량(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1mSv보다 적은 방사선량) 위험에 대한 논란은 여전하다는 것이 파트 1의 결론이다. 하지만 어떤 경로로 저선량 방사선이 도달하는지, 그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일본 동북부 지각판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강진이 일어난 지 한 달이 넘었지만 여진의 울림은 계속되고 있다.한편 백두산 분출에 대한 우려도 높아가고 있다.하지만 지진과 화산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부족하다.지진과 화산이 일어나는 원리는 무엇이고이 둘의 연관성을 살펴보는 코너를 마련했 ... ...
맥스웰의 도깨비를 찾아서 “아는 것이 힘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고립계에서 엔트로피가 줄어들 수 있을까. 물리학자들은 이런 일이 가능한지 오랫동안 고민해 왔다.이론적으로는 원자의 속도를 측정해 골라내는 ‘맥스웰의 도깨비’가 있다면 엔트로피가 줄어드는 게 가능하기 때문이다.최근 이 가상의 존재를 실제로 구현할 수 있다고 제시된 ‘질라드 엔진’ ... ...
에너지 해결책 찾아 지구 한바퀴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블랑딘과 엘로디라는 두 명의 여성 과학자가 있다. 둘 다 프랑스의 명문 공대인 에콜 폴리테크니크를 졸업했고 각각 미국과 러시아에서 핵 에너지와 전기, 가스, 경제학을 공부했다. 물리학과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은 두 친구는 세계가 마주친 에너지 문제를 해결해 보기로 의기투합했다. 1년에 걸 ... ...
과학기자, PD는 어떤 사람이 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저술가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했어요. 지구환경과학과를 나와서 환경보호와 연관된
과학기술
을 더 배우고 싶어요. 입학사정관제를 준비하고 있는데 포트폴리오에 다양하게 쓸만한 내용이 없어서 고민이에요. 또 소극적인 성격에 말하기도 자신이 없고요. 부디 저를 도와주세요.” 과학동아 ... ...
Intro. 화학-지구촌 구할 녹색 해결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지식과 기술은 생명과학의 발전에도 밑거름 노릇을 하고 있다. 바야흐로 화학은 현대
과학기술
의 중심을 차지하면서 그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2011 세계 화학의 해’는 퀴리부인의 노벨화학상(1911년) 수상 100주년을 기념해 선정됐다.] 한국도 1999년부터 책임보호운동 참여그러나 지난 세기 ... ...
천리안은 왜 일주일에 한 번 궤도를 바꿀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궤도조정은 정밀하고 까다로운 조작이다. 3년 전인 2008년 2월 10일.
과학기술
부(현 교육
과학기술
부)와 항우연은 1999년 발사했던 과학실험 및 지상관측용 소형 인공위성 ‘다목적실용위성 1호(아리랑 1호)’의 수명이 공식 종료됐다고 밝혔다. 직접적인 원인은 직원의 조작 실수로 밝혀졌는데, ... ...
글로벌 벤처 내 손으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스마트폰 보급대수가 1000만 대 가까이 되면서 제2의 벤처 바람이 불고 있다. 성공 사례도 심심찮게 나오고 있지만 벤처 환경은 여전히 척박하다. 하지만 명문대 프리미엄을 버리고 도전에 나선 이들이 있다. 바로 서울대 벤처동아리인 ‘학생벤처네트워크’. 이들은 최근 미국 MIT와 함께 ‘MIT-글로 ... ...
이전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