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289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 우울했니? 휴대전화에 물어봐
2015.07.16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데이비드 무어 미국 노스웨스턴대 의과대학원 행동
조절
기술센터 박사팀은 우울한 감정을 느끼는 사람은 평소보다 휴대전화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학술지 ‘의학인터넷저널(Journal of Medical Research)’ 1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평균 ... ...
"휴보 아빠, 25일 사이언스바캉스 온다"
동아일보
l
2015.07.13
안배하는 기술이에요. 기술적으로 말하면 중력이나 마찰계수에 맞춰 미세하게 힘을
조절
하는 거죠.” 오 교수는 이와 함께 앉았다 일어나면서 휴보가 두 발과 바퀴를 자유롭게 이용하도록 한 변신 기술을 가장 스마트한 기술로 꼽았다. 그러나 오 교수는 휴보가 세계 1등 로봇이냐는 질문에는 고개를 ... ...
종이 판다 아닌 야생 판다가 풀밭에 있다면?
2015.07.12
초점을 맞춰 판다의 낮은 에너지 대사 원인을 설명했다. 갑상선호르몬은 대사를
조절
하는 주요 호르몬인데, 판다는 이 호르몬을 합성하는 데 필요한 유전자인 ‘DUOX2’에 돌연변이가 생겼다. 팡 교수의 말처럼 판다는 진화적 딜레마에 빠진 것이 아닐 수 없다. 다행히 이런 판다를 돕는 손길이 ... ...
[수도권]서울대공원 “도전! 멸종위기 금개구리 복원”
동아일보
l
2015.07.10
금개구리 올챙이의 입이 다른 올챙이보다 작은 것을 고려해 먹이 급여도 성공적으로
조절
하고 있다. 금개구리 올챙이는 작은 열대어 사료와 배춧잎을 주로 먹는다. 이 주무관은 “다른 개구리도 몇 차례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증식에 성공했다”며 “방사 시기는 금개구리 올챙이가 성체가 되는 8월 ... ...
원전 핵심부품 검사, 37년간 엉뚱한 곳 체크
동아일보
l
2015.07.10
사실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문제가 된 부품은 원자로에 넣었다 빼는 식으로 출력을
조절
하는 제어봉을 둘러싼 원통 형태의 함이다. 이런 사실은 한국수력원자력이 최근 신고리 3호기에 대한 가동 전 검사를 하는 과정에서 드러났다. 검사 기준에 따르면 하우징의 맞대기용접 부위를 검사해야 하지만 ... ...
사람 손 필요없는 ‘스마트 공장’ 실현 성큼
2015.07.09
스마트폰으로 정보가 전달된다. 미세한 문제는 센서가 스스로 컨트롤러를
조절
하며 해결하기 때문에 불량품 생산율을 줄일 수 있다. 금형을 더 오래 쓸 수 있기 때문에 비용도 절감된다. 또 금형 교체나 수리가 필요한 정도의 큰 사안은 사용자에게 알려 적시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 ... ...
전기 잘 통하는 ‘나노시트’ 얼음으로 만들었다
2015.07.07
막을 형성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실험 결과 폴리아닐린과 수산화이온의 반응 시간을
조절
하는 방법을 통해 원하는 두께를 가진 전도성 플라스틱 ‘나노시트’를 만들 수 있었다. 이 나노시트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기존에 보고된 폴리아닐린의 전도성보다 40배 이상 뛰어났을 뿐 아니라 ... ...
헉! 신체 노화 26세부터 시작
2015.07.07
심폐기능, 치아 상태 등을 지표로 사용했다. 또한 염색체의 끝 부분에서 세포분열을
조절
해 노화를 결정하는 텔로미어의 길이와, 눈 뒤쪽 모세혈관의 상태를 포함해 총 18가지 항목으로 신체나이를 측정했다. 연구팀은 18가지 항목에 대해 참가자들의 나이가 26세, 32세, 38세일 때 각각 측정하고, ... ...
인슐린 생산량
조절
하는 물질 찾았다
2015.07.05
유권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왼쪽)과 서윤석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박사과정생.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 억제한 경우 개체와 날개 크기가 모두 커지는 현상을 확인했다. 이는 인슐린 분비량이
조절
되어 나타난 결과다.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 ...
자일리톨 만드는 ‘슈퍼 미생물’ 개발
2015.07.02
발효 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 교수팀은 대장균의 유전자 발현 시스템을
조절
해서 여러 종류의 탄수화물을 동시에 발효시키면서 안정적으로 생명활동을 유지하는 미생물을 만들었다. 이 미생물을 이용해 실험한 결과 다양한 비율로 섞여 있는 탄수화물이 동시에 발효되면서 자일리톨이 ... ...
이전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