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꿈의 에너지 현실이 되다, 핵융합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살펴봤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핵융합, 꿈의 에너지 현실이 되다Part1. 또 하나의 태양을 지구에 재현하다 Part2.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 [인터뷰] 유석재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장Part3. 50년 인류 프로젝트 ITER, 본격 조립 시작 [인포그래픽 ... ...
- 또 하나의 태양을 지구에 재현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환경에 최소한의 영향을 주며 대량의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다. 1g의 중수소와 삼중수소는 핵융합 반응을 통해 시간당 약 10만kW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중수소 100kg과 삼중수소 150kg으로 전기를 만들면 화력발전소에서 300만t(톤)의 석탄을 태우는 것과 비슷한 수준의 에너지 ...
- Q&A로 풀어보는 핵융합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바위보다 작은 조약돌을 달구기 더 쉬운 것처럼요.물론 아무리 가벼운 물질이라도 1억 ℃로 만드는 건 쉬운 일이 아닙니다. 양성자의 질량은 전자보다 1800배가량 큽니다. 양성자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죠. 그래서 플라스마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중성자의 충돌에너지를 ... ...
- 바다거북 알 도둑, 코끼리 밀렵꾼 과학이 끝까지 잡는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급증했다. 영국 켄트대 연구팀에 따르면 1992년 이후 태어난 암컷 코끼리 중 3분의 1이 상아 없이 태어났다. 암컷 코끼리가 상아 없이 태어날 확률은 본래 4%에 불과하다. 연구를 이끈 도미니크 곤칼브스 켄트대 연구원은 “내전 당시 상아가 없는 코끼리들만 살아남았고 새끼들이 그 유전자를 ... ...
- 2020 이그노블 팩트체크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특히 로메인 상추의 씨앗이나 잎을 먹은 쥐는 대조군보다 수면 지연 시간이 최대 1분 정도 줄었으며, 총 수면량은 최대 15분 이상 늘어났습니다. 3. 우주에 존재하는 별 vs. 지구의 모래 알갱이 수, 무엇이 더 많을까? A. 별의 수 최솟값과 지구상의 모래알 수는 비슷해 천문학 분야 책을 보면 우주에 ... ...
- 2020 과학동아가 만난 과학기술인 258명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방문한 2019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그레그 서멘자 미국 존스홉킨스대 의대 교수는 1월호 인터뷰로 소개했다. 그는 과학동아 독자들에게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도전하라’는 조언을 남겼다. 올해 이슈 중 하나였던 우주탐사와 관련된 과학기술인도 다수였다. 그중에서도 최재동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드디어 발사 성공! 새로운 시작을 열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개발한 75t급 액체엔진의 비행 성능이 확인된 것이다. 시험발사체의 성공 발사는 2021년 예정된 누리호 발사가 순조롭게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을 높였다. 현재는 2단, 3단에 들어가는 엔진을 시험 중이고, 이것이 무사히 끝나면 드디어 75t 액체엔진 4개를 묶은 인증모델(QM)의 연소시험에 들어간다 ... ...
- [독일유학일기] 기말고사에 달린 학점 족보는 필수과학동아 l2020년 12호
- 10점이다. 점수는 과목마다 습득하는 데 드는 시간을 고려해 각 학과에서 정한다. 보통 1학점에 25~30시간 소요된다고 계산한다. 예를 들어 CP가 9점인 과목은 학생들이 이 과목을 습득하는 데 225~270시간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학교에서는 6학기, 즉 3년 안에 모든 과목을 이수하고 졸업하는 것을 ... ...
- [이달의 과학사] ‘ 빛 공해 금지법’을 최초로 도입한 나라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규제라고 생각하고, 의회를 통해 열심히 청원 활동을 벌였어요. 그 덕분에 2002년 6월 1일, 체코는 빛 공해를 막는 법을 도입한 최초의 국가가 되었답니다. 바깥에서 사용하는 불빛은 필요한 방향으로만 비치고 하늘로 향하지 못하게 가리개를 설치해야 했죠. 그로부터 18년이 지난 지금은 세계 각국에 ... ...
- [한장의 과학] 겨울나기 위해 새끼를 먹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외모를 가졌어요. 그 중 이번에 조사된 빗해파리는 ‘Mnemiopsis leidyi’로, 늦여름에 약 1만여 개의 새끼를 낳지요. 과학자들은 새끼들이 성체에 비해 겨울을 나기 어려운데도 늦여름에 새끼를 낳는 이유에 대해 궁금해 했어요. 연구팀은 이런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지난 2008년 8월부터 3개월 동안 유럽의 ... ...
이전3703713723733743753763773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