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치 있는 기업을 꿈꾸는 컴퓨터 의사 안철수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야구선수로 활동하다가 다시 농구로 돌아온 것은 자신이 하고 싶은 것과 할 수 있는 것의
차이
로 볼 수 있습니다.” 조던은 자신의 적성에 맞는 농구를 버리고 멋있어 보이는 야구로 돌아섰지만 실패했다. 그러나 다시 자신의 길인 농구 코트로 돌아오면서 지금도 나이를 잊은 듯 신들린 경기를 하고 ... ...
동양 공룡 VS 서양 공룡 티라노 필적하는 포악한 싸움꾼 양추아노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깃털로 인해 시조새보다 비행능력이 훨씬 뛰어났던 것으로 보인다. 암수간의 형태학적인
차이
를 볼 수 있는데, 수컷만 쌍으로 된 긴 꼬리 깃털을 갖고 있다. 3개의 손가락은 단순히 움켜쥐기 위한 것이라기보다 나무에 올라가 날기 위한 기능을 한 것으로 보인다. 첫째 손가락과 셋째 손가락에 먹이를 ... ...
②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3인방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에너지 밴드갭 위의 높은 에너지를 가진 전자가 아래의 정공과 재결합하면서 이 에너지
차이
를 빛으로 내보내게 된다. 따라서 빛의 색깔은 에너지 밴드갭의 크기로 결정된다.밴드갭이 크면 짧은 파장을 가진 파란색 쪽의 빛이 나오고, 작으면 긴 파장을 갖는 빨간색 쪽의 빛이 나오게 된다. 만약 ... ...
보지 않고 그린 코뿔소가 세상을 속이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3 원 안)이 있고 중세기사처럼 철갑을 두르고 있으며 다리엔 비늘이 있는 등 실제 모습과
차이
가 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세기 동안 사람들은 당연히 코뿔소가 뒤러가 그린 것처럼 생겼을 것으로 생각했다고 합니다.과학기술자의 고뇌 표현뒤러가 사실적인 화풍을 개척한 데에는 금세공사인 ... ...
새의 날개는 빨리 달리기 위한 것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속하는 날지 못하는 새) 새끼들의 뛰는 양상과 속도를 측정했다. 날개의 유무가 어떤
차이
를 내는지 관찰하기 위해 일부 자고새 새끼의 날개를 잘라냈다. 그 결과 날개가 있는 자고새 새끼가 날개가 없는 자고새 새끼보다 경사진 비탈을 훨씬 더 잘 기어올랐다. 물론 날개는 가파른 비탈을 기어오르기 ... ...
혜성 핵을 향한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정성적(定性的)인 성질에 있어서 보통의 물과 거의 다르지 않지만, 정량적으로는 큰
차이
를 보여 일반적으로 반응성이 적고 염류의 용해도 등도 낮다 생물의 경우 중수의 농도가 적을 때는 생체에 대한 저해작용이 별로 없지만, 농도가 높아지면 정상적인 호흡작용이나 탄소동화작용이 곤란해진다 ... ...
① 일란성 쌍둥이와 복제인간 같은가 다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물려받기 때문에 유전정보가 100% 같지는 않다. 외모도 원본과는
차이
가 날 가능성이 크다”라고 말한다.그렇다면 복제인간을 ‘시간차가 벌어진 일란성 쌍둥이’가 아니라 ‘시간차가 벌어지고, 서로 다른 세포질을 가진 일란성 쌍둥이’라고 불러야 정확할 듯하다 ... ...
현대 남성, 풍만함보다 중성미 선호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그리고 중성화 지수(허리/ $\sqrt{엉덩이×가슴}$ )는 증가했다. 남성과 여성의 특징적인
차이
가 점점 줄어들었다는 뜻도 된다.이들은 자신들의 논문에서 남성이 매력적으로 생각하는 여성은 1950년대 육감적인 영화배우 마릴린 먼로에서 최근의 늘씬한 슈퍼모델 에바 헤르지고바로 변화했다고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염기서열은 사람과 98.77%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고유의 특성은 단지 1.23%의 게놈
차이
에서 나온다는 의미다.이처럼 원숭이는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이기 때문에 2000년 1월 미국 오리건 영장류연구센터와 오리건 건강과학대학 공동연구팀이 ‘테트라’라는 이름의 암컷 원숭이를 복제한 것은 ... ...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말은 단백질 일부의 수소 원자가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런 미세한 질량
차이
를 밝히는 것이다. 또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인산화돼 활성화되는 단백질 90여종도 밝혔다.또한 필자의 연구실에서는 서울대 약대의 김규원 교수팀과 함께 산소농도에 의해 조절되는 ‘HIF-1’ 단백질이 ... ...
이전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