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수학동아 l2015년 11호
- 0 사이의 차이가 100만보다 큰 경우를 찾았다면 가정에 모순이 돼 문제가 해결된다. 만약 찾을 수 없다면, 수열을 더 길게 자르고 1부터 1000번까지 부분의 엔트로피보다 1000번 이후 부분의 엔트로피가 어떤값 이상 차이나게 작다는 것을 증명한다. 이 과정을 계속 반복하면 엔트로피는 점점 작아지지만 ... ...
- [PART 2]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 진화의 5가지 KEY수학동아 l2015년 11호
- 교수와 마찬가지로 식물의 광합성을 이용한 것이다. 그 결과 당시 지구는 대기 중 산소가 약 10~15%로 지금(약 21%)보다 훨씬 옅었다.중생대에는 산소 농도가 옅었기 때문에 공룡이 온몸에 산소를 보내기 위해 뼛속에 공기구멍이 생기게끔 진화했다는 공룡학자들의 주장과 일맥상통하는 연구 결과다. 이 ... ...
- 반짝이는 점을 가진 왜소행성 세레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소금이나 얼음이라고 생각하고 있지요.돈 탐사선은 6월 6일에 궤도를 바꿔 세레스에 약 4400km 거리까지 접근할 계획이에요. 아직까진 과학자들도 밝은 부분의 정체를 정확히 알지 못해요. 앞으로 돈 탐사선이 세레스에 더 가까이 다가가면 빛나는 점들의 정체를 자세히 밝힐 수 있을 거예요 ... ...
- 스마트폰 화면이 피부 위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두께가 약 2.6㎛(마이크로미터, 1㎛는 1m의 100만분의 1) 정도로, 머리카락 두께의 약 40분의 1밖에 안 돼요. 게다가 유연성이 좋아 마음대로 구부리거나 늘릴 수도 있답니다. 또 해상도가 최신 스마트폰의 4~7배, 고해상도 텔레비전의 42배나 되지요.연구팀은 양자점 발광다이오드(QLED)를 사용해 이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방패 역할을 해서 부식 속도가 아주 느려요. 그 결과 금속입자가 달라붙어 있는 곳이 약 100nm 지름의 돌기가 된답니다.문명운 박사는 “기존 김서림 방지 유리는 일반 유리에 6~7겹으로 코팅을 해서 만들었는데, 표면이 잘 벗겨져서 수명이 짧았다”며, “이번에 개발된 유리는 간단하고 ... ...
- [지식] 길쭉한 고양이 눈, 네모난 소 눈, 동그란 사자 눈 눈동자의 법칙수학동아 l2015년 11호
- 고양잇과 동물은 시축과 광축이 거의 비슷하다. 그런데 초식동물은 광축보다 시축이 약 87°나 컸다. 앞을 보고 있어도 양쪽 눈이 각각 87° 만큼이나 넓게 보고 있는 셈이다. 그래서 초식동물눈에는 마치 카메라의 파노라마 버전으로 촬영했을 때처럼 풍경이 길고 넓게 펼쳐져 보인다.소나 양이 풀을 ...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채 달리는 모습이 보였다. 전술가의 예측 능력이 아쉬운 상황이었다.기자의 데뷔 경기는 약 한 시간 반 만에 끝이 났다. 바람의 힘, 용골의 묵직함, 바람을 가르는 선수의 전략을 눈으로 보고 느낀 경험이었다. 경험을 토대로 말하건대 요트 설계 부터 경기 전략까지, 요트 경기는 여느 스포츠보다도 ... ...
- 세계의 지붕이 흔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밖으로 뛰어나갈 수 있으니, 단 몇 초 단위로 생명이 오갈 수 있는 것이지요.우리나라는 약 140개의 지진계가 전국에서 지진을 감시하고 있어요. 우리나라가 판의 경계와 멀리 떨어져 있어 실제로 사람에게 위협이 될 정도로 지진이 일어나는 일은 드물어요. 하지만 지하 깊은 곳에서 언제 무슨 일이 ... ...
- [PART 1] 화석이 알려주는 인류의 진화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나타난다.]버거 박사팀은 이와 마찬가지로 호모 날레디의 대뇌화 지수를 계산했더니 약 2.4였다. 신체적인 생김새는 호모 속에 속하지만 지능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견줄 만큼 낮은 셈이다.연구팀은 지능이 낮은 호모 날레디가 도구를 사용했을 가능성에 흥미로워했다. 또 다른 전문가들은 시신을 ...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프랑스와 달리 우리의 곤충연구 역사는 60여 년에 불과하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곤충은 약 1만4000여 종이 밝혀졌지만 아직도 발견하지 못해 이름을 붙이지 못한 곤충들이 무수히 많다.앞으로 파브르처럼 신비로운 곤충에 흠뻑 빠진 미래 세대의 주인공들이 대한민국의 특별한 곤충에 관심을 갖고 ... ...
이전3703713723733743753763773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