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박
복부
범선
돛단배
선
용기
기량
d라이브러리
"
배
"(으)로 총 8,483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의 시작과 끝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배
우며,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성과 위주로 평가받는다. 그러다보니 정작 기본 능력을
배
양할 기회는 드물다. 개발자나 개발자를 꿈꾸는 학생들은 인터넷이나 블로그에서 다양한 정보를 얻고 있지만 그 정보들을 ‘재생산’하는 경우는 드물다. 그들은 많은 것을 익히고 많은 생각을 하고, 많은 것을 ... ...
별이 튕겨져 나간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우주먼지나 태양풍 등과 부딪혀 노란 빛을 내뿜고 있어요. 제타 오피유키는 태양보다 20
배
무거운 질량의 별로, 더 큰 별의 주변을 공전하고 있었지요. 그런데 큰 별이 폭발하면서 총알처럼 튕겨져 나가게 됐답니다.*광역적외선탐사망원경 : 적외선을 이용해 열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천체를 찾아 ... ...
첨단 기술로
배
를 띄워라! 선박저항성능연구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걸 확인한다.이제 알겠다! 그 커다란
배
가 자유롭게 떠다닐 수 있었던 건 바다에서
배
가 받는 힘을 잘 연구해서 이용한 덕분이구나. 게다가 파도를 만들어 전기를 생산한다니 정말 놀라워! 내 궁금증을 풀 어 준 명예기자 친구들, 정말 고마워!잠깐! 인공 파도는 어떻게 만들까?선형수조에서 출렁이는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8.8로 알려졌다가 이틀 뒤 9.0으로 상향 조정됐다. 불과 0.2의 차이지만 지진의 에너지는 2
배
가 커진 셈이라는 설명이 덧붙었다. 지진의 규모와 에너지는 어떤 관계가 있는 걸까?지진의 규모는 지진계가 관측한 자료를 수학적으로 분석해 알 수 있다. 땅속에서 진동이 발생하면 지진계는 그 움직임을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담은 ‘지진해일대응시스템’을 2014년까지 구축해 해당 자치단체와 주민들에게
배
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전문가들은 지진해일 경보가 울리면 무조건 높은 곳으로 이동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조언한다. 이호준 수석연구원은 “일본은 지진이 바로 해안가 근처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지진 후 바로 ... ...
현장점검-구제역 지하수 3년 뒤 진짜 위기 온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방향으로 나이테처럼 긴 동심원을 그리며 확산되는데, 좌우 폭보다 앞뒤 방향으로 10
배
더 길게 확산되는 특성이 있어 어디로 퍼질지 예측이 가능하다. 만약 오염물질이 지하수에 들어갔더라도 지형 등 환경 조건과 물의 흐름을 잘 조사해 대응하면 확산을 막을 수 있다는 뜻이다. 박 교수는 ... ...
The Return of the New Margarine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버터-마가린이 엎치락 뒤치락하는 과정에서 뭔가를 잃어버린 것을 느낀다. 마가린의 지
배
적 형태는 단단한 막대 모양이었으나 이젠 이를 보기가 힘들다. 지방을 수소로 경화시켜서 만든 모양이었기 때문이다. 미국 식약청(FDA)이 2006년부터 모든 음식물의 영양분 분석표에 트랜스지방 함유량을 ... ...
Intro. 2040년, 하늘길이 바뀐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방법은 역시 초음속 여객기다. 지구 반대편까지 서너 시간 만에 오고갈 수 있는, 음속의 4
배
가 넘는 극초음속 여객기를 개발해 지구 전체를 일일 생활권으로 묶겠다는 것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최근 미래형 여객기가 될 후보 비행기 3종을 선정해 발표했다.미래의 하늘길은 지금과 얼마나 ... ...
생명의 밥상 vs 재앙의 밥상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부를 때까지 피를 빨아 먹는다. 다행히(?) 이 주둥이는 가장 가느다란 주사 바늘보다 100
배
는 가늘어서 하루에 서너번씩 찔러대도 아무 느낌이 없다. 이 조그맣고 귀찮은 흡혈귀는 바로 빈대(Cimex lectularius)다.이 책은 우리와 한 집(또는 한 몸)에 사는 귀찮은 가족에 대한 은밀한 에세이다. 빈대와 ... ...
가축 안 키우고도 고기 먹는 법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교수.][앞으로 우리는 훨씬 더 다양한 단백질 공급원을 갖추게 될 것이다.] [세포를
배
양해 고기를 만들면 좁은 공간에 가둬 놓고 소를 사육할 때보다 더 깨끗하고 인도적으로 고기를 먹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이렇게 실험실에서 만든 고기는 맛이 진짜 고기와 똑같을까. 미로노프 교수는 ... ...
이전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