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초
토대
기반
근본
근거
밑바탕
베이직
d라이브러리
"
기본
"(으)로 총 4,883건 검색되었습니다.
퍼지이론, 인간두뇌 같은 컴퓨터 꿈꾼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퍼지이론에서는 퍼지(Fuzzy)를 '애매하다'는 뜻으로 여기고 사용한다. '이론'은 명쾌한 논리로 일관돼 있는 체계다. 따라서 '퍼지이론'을 '애매한 이론'이라고 하면 말 ... 것이다. 기계와 인간의 관계를 퍼지이론으로 조정하면서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철학의
기본
문제가 재검토될 것이다 ... ...
원자로 기술자립의 표본 한국형 경수로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했다. 그렇다면 러시아형 경수로와 한국형 경수로는 어떻게 다른가.러시아형과 한국형은
기본
구조는 차이가 없으나 세부설계에서 몇가지 다른 점이 있다. 60년대 핵잠수함용을 발전용으로 전용한 러시아형은 증기발생기가 수직이 아니라 수평으로 설치돼 있으며 냉각재관이 4-6개(한국형은 2개)인 ... ...
2. 4대 PC통신 서비스 집중비교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시스템이 바로 도입되었다는 점이 첫 번째 패착으로 보인다. 단적인 예가 대형 BBS의
기본
적인 서비스인 채팅 서비스가 불편하며, 두번째로 게시판 기능이나 동호회 기능이 여타 서비스에 비해 너무 빈약하다. 이는 우리나라 기존 서비스 업체들의 제공 방향에 대한 연구가 빈약했던 것에 기인한 ... ...
달착륙 4반세기 새로운 도전 NASA 우주센터를 가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을 실현하는 기기도 갖추고 있다.항공파트도 흥미와 공포가 뒤범벅이 된 훈련. 항공기의
기본
원리와 구조를 설명하는 강의와 직접 조종대에 앉아서 시뮬레이션 조종간을 잡고 신나게 이륙하는 것은 매우 흥미롭지만, 물 속에 세워진 탑에서 밧줄만을 의지한채 물속으로 슬라이딩해 들어가는 ... ...
(1) 생체합성의 사슬 아미노산 세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세계생물체에서 단백질이 하는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백질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아미노산의 화학적 성질을 먼저 이해해야 한다.생명체가 생명을 유지하고 번식하는 과정에는 수많은 종류의 단백질이 필요하다. 자연의 섭리가 오묘한 것은 단지 20개의 비교적 간단하고 독특한 화학구조를 ... ...
3. '통신 천국' 미국 온라인 서비스망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놓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쇼핑이나 스포츠, 각종 이벤트 정보로 안방을 공략한다는
기본
전략은 컴퓨터를 조금도 다를 줄 모르는 가정 주부라도 마우스만 가지고 각종 정보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처음부터 아예 모든 정보를 비디오텍스(그래픽)로 서비스하기에 이르른 것이다.사업 초기에는 ... ...
한국곤충-삶의 신비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등과 같은 곤충은 나비 딱정벌레 풀잠자리 등과 같은 번데기의 단계를 거치지 않는다.
기본
적으로 성충과 별로 형태적으로 차이점이 없다. 날개의 싹도 애벌레의 몸에 노출되어 최종 탈피시에 급격히 커져 훌륭한 날개로 변형될 뿐이다. 이런 변태의 곤충군을 외시류라고 한다.그에 비해 ... ...
북한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연구소 등이 있다. 북한의 과학기술정책 평가 방법은 소련방식을 일부변형해
기본
체제로 삼고 있지만 정책 결정과정과 통제가 지나치게 당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각종 과학원이 있어도 이에 대한 종합조정기능은 미약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연구의 자율성이 결여돼 의욕적인 자기 향상을 위한 ... ...
컴퓨터 첨단 영상기법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치우쳐 상대적으로 내용이 빈곤했기 때문이라는 평을 들었다. 결국 영화라는 매체의
기본
적인 목적을 이루지 못했기에 어느 한부분에서의 대단한 충격만으로는 영화사에 그저 작은 이름을 올리게 되었을 뿐이다. '트론'은 컴퓨터 그래픽과 영화와의 상호 관계를 시작부터 극명하게 드러내준 훌륭한 ... ...
밤하늘의 길잡이 쌍안경 선택법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아이 릴리프)는 충분한가?광고용 팸플릿을 보면 그 쌍안경의 눈거리가 얼마인지는
기본
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것만 믿지말고 직접 확인해보기 바란다. 멀리 있는 물체를 관측할 때 눈을 접안렌즈로부터 조금씩 움직여보라. 시야가 가장 넓고 선명하게 보이는 지점이 있을 것이다. 이 위치가 자기 ... ...
이전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