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자제품 연쇄 폭발 원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반면 작은 공기집 속 공기는 열을 받아 운동에너지가 증가하면서 부피도 크게 늘어난다.
결국
껍질이 내부 압력을 이기지 못하는 한계점에 이르면 껍질이 터지면서 폭발하게 된다.이같은 현상은 전자레인지의 독특한 가열방식 때문에 일어난다. 대류현상을 이용해 음식을 데우는 다른 제품과 달리 ... ...
피터팬은 환상이 아니라 실제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이루는 더욱 가치 있는 덕목이 됐다.오랜 세월 환경에 적응해 살아남아야 했던 인간은
결국
대단히 사교적이며, 배우자와의 유대감이 강하고, 창의적인 생물이 됐다. 따라서 현대 사회에서 인간이 보이고 있는 육체적, 정신적 행동은 인간의 유아화 결과물인 셈이다.한편 유아화의 정도는 성별, 인종, ... ...
블랙홀 둘러싼 거장과 신인의 싸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지배적이었다. 빛이 입자가 아니라 파동이라면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결국
두 사람의 생각은 과학적 연구의 대상조차 되지 못했다. 이후 블랙홀은 과학자들의 뇌리에서 잊혀졌다.블랙홀이 다시 과학자들의 관심을 끈 것은 그로부터 1백20여년이 지나서였다. 여기에는 알버트 ... ...
만약 배낭로켓 메고 하늘 난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없어서 밑에 있는 사람이 총을 쏘면 그냥 맞아서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결국
적절한 용도를 찾지 못하고 지금은 ‘아주 화려하게 등장했다가 이제는 사라진 운송수단 13’에 뽑혀 박물관에 보관중이며 특별한 행사가 있을 때만 전시용으로 사용한다고 한다.구름을 산책하고 아파트 21층을 ... ...
02. 심해를 누비는 드림팀, 수중로봇 시스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동안 선박에 음파탐지기와 자력계를 매달고 해저를 샅샅이 뒤졌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결국
그의 선택은 연구소에서 제작한 무인잠수정 아르고였다.자동차 크기에 썰매 모양인 아르고는 음파탐지기와 고성능 카메라를 탑재했고, 6천m 깊이까지 내려갈 수 있었다. 아르고로 탐사를 시작한 지 20일 후 ... ...
성(聖)스러운 시험에서 '세계의 파괴자' 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파괴력을 실감했기 때문이다.하지만 이미 원자폭탄은 과학자들의 손을 벗어나 있었다.
결국
오펜하이머를 비롯해 원자폭탄 개발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자신을 ‘세계의 파괴자’ 라며 자책할 뿐이었다. 특히 연합군이 독일을 점령한 후 밝혀낸 독일 원자폭탄 개발팀의 연구진척 정도는 미국의 ... ...
가장 뜨거운 백색왜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내부 중심만 남은 별이다. 백색왜성은 더 이상 핵융합 반응을 하지 않고 서서히 식다가
결국
갈색왜성으로 바뀐다. 베르너 교수는 “H1504+65의 온도가 이렇게 높은 것은 핵융합 반응이 최근에야 끝났기 때문”이라며 “별의 헬륨 대기는 탄소의 갑작스런 점화로 별 밖으로 흩어져버려 현재는 남지 ... ...
고려청자 비취색의 비밀은 철 이온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이 때문에 철 이온이 ${Fe}^{3+}$이온에서 ${Fe}^{2+}$이온으로 환원된다(Fe₂O₃+CO→2FeO+CO₂).
결국
고려청자의 비취색은 환원불로 구워 철 이온이 환원되면서 ${Fe}^{2+}$가 생성돼 나타나는 것이다.김 교수팀은 광전자 스펙트럼 분석법을 사용해 이런 사실을 증명했다. 고려청자를 굽기 전 태토의 광전자 ... ...
열정과 끈기로 저온의 한계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기체 헬륨을 사용하는데 기체 상태로 헬륨을 저장하면 용기의 부피와 무게가 너무 커져
결국
전체 로켓의 무게가 무거워진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액체 헬륨이 이용된다. 액체 헬륨은 밀도가 높아 작은 저장 용기에도 필요한 양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럽의 아리안 로켓이 대표적인 예다 ... ...
04. 남획 막아야 해양선진국 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하지만 이런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지 못하고 금어기나 산란장 등을 그대로 유지해
결국
남획 위험이 높아졌다. 한국해양연구원 유재명 박사는 “아열대성 어류들의 생태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지역 어민들에게 적합한 어획방법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도 남획의 한 원인”이라고 ... ...
이전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