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체
육체
육신
인체
몸통
동체
바디
d라이브러리
"
몸
"(으)로 총 5,758건 검색되었습니다.
눈먼 두더지 길잡이는 지구 자기장
과학동아
l
200402
대상으로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길을 찾는 실험이 여러번 이뤄졌다. 이들은
몸
의 균형을 잡는 전정기관이나 반사작용을 이용해 길을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이는 이동거리가 짧을 때 가능한 일이었다 ... ...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02
없기 때문에 대신 박테리아의 것을 이용한다. 박테리아 체내에서 바이러스는 자신의
몸
을 구성하는 물질들을 합성한 다음 박테리아를 파괴하면서 밖으로 나간다. 벤터 박사는 박테리아에 이렇게 만든 인공DNA를 집어 넣었더니 자연 상태와 마찬가지로 바이러스의 구성성분들을 합성해냈다고 밝혔다. ... ...
역사 속에서 걸어나온 과학기술자들
과학동아
l
200402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그것을 들여다보고자 하는 더 큰 욕심을 냈다. 그래서 인간의
몸
에 대해 가장 자세하게 다룬 의학서부터 연구하기 시작했다.궁중비법 실험도 직접해봐‘허준의 동의보감 연구’ ‘정조대의 예술과 과학’ ‘신주무원록’ ‘살인의 진화심리학’ 등 그동안 김호 박사가 낸 ... ...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02
낙하산으로 지상에 안전하게 도달할 수 있는 고도인 1.5km까지 기구 위에 풍선과 함께
몸
을 실었다. 그 다음에는 기구에서 내려 1분에 약 3백m의 속도로 3.34km까지 올라갔다.풍선을 타고 오를 수 있는 고도의 한계는 풍선이 얼마나 버텨주느냐에 달렸다. 그는 당초 4.5km까지 오르기를 기대했지만 풍선은 ... ...
광우병 그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02
그랬더니 자라는 속도가 빠르고 털이 긴 양이 태어났다. 그러나 그 중 몇몇 양들이
몸
을 자꾸 긁어대고 비틀거리며 이상하게 걷다가 결국 사망했다. 그 후 이 병은 스크래피라고 불렸다. 1930년경 한 수의학자는 스크래피에 걸린 양의 뇌조직을 이용해 백신을 개발하는 실험을 하다가 이 병이 ... ...
2. 가정_집이 곧 컴퓨터다
과학동아
l
200402
차이점이 바로 여기에 있다.또한 U가정은 유용성이 극대화된 공간이다. 단말기를 항상
몸
에 착용하고 모든 사물에 센서와 컴퓨터칩이 달려있기 때문에 집안에서 물건이 사라지거나 냉장고가 텅텅 비는 일은 없어진다. 외출 중에도 집안 곳곳을 돌볼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모든 유비쿼터스 ... ...
강물 거슬러 오르는 연어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01
자신을 상류로 밀어주는 방향으로
몸
을 움직였다.이에 비해 소용돌이가 없는 곳에서는
몸
전체의 근육을 사용했으며 움직임도 거의 직선 방향이었다. 근육의 활동 강도는 소용돌이가 없는 곳에서 더 크게 나타나 소용돌이가 무지개 송어의 힘을 덜어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해 1 ... ...
시간의 본질을 파헤친다
과학동아
l
200401
시간을 알았을까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05. [시간과 생체] 우리
몸
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 ... ...
01.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
과학동아
l
200401
시간을 알았을까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05. [시간과 생체] 우리
몸
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 ...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과학동아
l
200401
시간을 알았을까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05. [시간과 생체] 우리
몸
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 ... ...
이전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