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1) 다목적 임무 수행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우주왕복선의 궤도보다 더 높은 궤도에 정착시켜야할 위성이나 과학관측기구 또는
태양
계 행성 탐색에 보낼 관측용기를 운반하는 일이다. 이런 더 높은 궤도나 지구궤도 밖의 궤도로 보내질 우주비행체는 물론 자체 추진기관을 정착하고 있다. 우주 왕복선은 이 우주비행선을 화물탑재공간에 싣고 ... ...
핵융합에너지 분출하는 변화무쌍한
태양
표면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26.7일이며 위도 40˚ 근처에는 29.3일 정도다.흑점이
태양
면 위에 나타나는 장소는
태양
면 위도 약 ±40˚ 사이의 띠 부분으로서 그 바깥쪽에 나타나는 일은 드물다. 흑점의 극소기를 지난 직후에는 흑점이 위도 25-30˚ 부근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그 후 시일이 지나면 차차 낮은 위도에 생기게 되어, ... ...
물병자리 델타 유성군의 장관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정도의 굴절망원경만 갖고도 효과적으로 광도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에로스는
태양
과 지구 근처를 지나갈 때 맨눈으로 볼 수 있는 한계등급보다 단지 한단계 어두운 7등급까지 밝아지기 때문이다. 소행성의 광도 측정은 매우 중요한데, 이것의 목적을 한가지만 들어보면, 광도변화를 ... ...
(1) 생성 및 광채의 신비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변종인 알렉산드라이트는 어떤 광선 아래서 관찰하느냐에 따라 색이 달라져
태양
광선 아래서는 에메랄드 녹색을, 촛불이나 텅스텐 전등 하에서는 루비 적색을 나타낸다. 이를 변색효과라고 하는데 이 같은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불순물로 함유된 크롬 때문이다.장석이나 흑요석 내부에 굴절률이 ... ...
지구과학- 수소폭탄보다 강력한 거대한 에너지 덩어리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있다. 이는 대기 순환과 북태평양 고기압의 배치와 깊은 관련이 있다.북반구에서 하지에
태양
의 고도가 최대가 되므로 대기 순환은 계절에 따라 변하여 편서풍과 무역풍의 풍계가 저위도 지방으로 낮아지게 된다. 한편 아열대지방에서 발생한 태풍은 편동풍과 북으로 향하는 힘에 의하여 북동쪽으로 ... ...
그랜드캐년을 방불케하는 장엄한 아페닉 산맥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붉은 색을 띠게 된다. 이것은 달과 반대 방향에 있는
태양
에 의해
태양
빛이 지구의 대기와 부딪치며 굴절하여 달이 그늘 속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측자에게 월식에 의한 달의 그림자는 불그스름하게 보인다. 빛과 밝기의의 관측에는 보는 사람의 주관에 따라서 그 ... ...
(2) 블랙홀·별들의 잔해가 어둠 속에 가득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일각에 불과한 양이 된다.
태양
하나를 예를 든다면, 한개의
태양
에 거의 1백여개의
태양
질량을 합친 정도의 물질들이 우리 눈에 보이지 않고 어디에 숨어있는 것이다.바로 이런 이유로 현대 우주론에서는 우리가 암흑물질을 말할 때 두가지로 나누어 분류한다. 첫째는 이 글에서 주로 다루었던 ... ...
보름달이 사라지는 개기월식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동방최대이각이달 18일 2시에 수성과
태양
과의 이각이 25도나 되는 동방최대이각이 된다.
태양
이 북쪽으로 많이 치우쳐 있기 때문에 아주 캄캄한 하늘에서 수성을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 밝은 하늘에서 0.7등급밖에 안되는 이 행성을 찾으려면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도전해보라. ... ...
(1) 우리은하 중심부는 거대한 알코올공장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우주공간의 별들 사이에 존재하는 물질들은 별이나 은하계의 형성이나 진화뿐만 아니라
태양
계의 형성과 지구의 생명체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다.별들 사이에 존재하는 가스나 먼지에 대한 여러 다양한 연구들은, 새로운 관측기술들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알려지지 않았던 많은 ... ...
소백산천문대 관측계기로 살펴본 초신성폭발의 의미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망원경으로 살피면 아직도 폭발의 여진으로 바깥 부분은 계속 팽창하고 있다.질량이
태양
보다 30배 이상 무거운 별들은 아주 짧은 수명(1천만년 정도)을 가지지만 마지막 순간에는 상상할 수 없는 엄청난 힘으로 대폭발을 일으키면서 빛조차 빨아들인다는 블랙홀을 만든다. 우리가 블랙홀을 관측하는 ... ...
이전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