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핵융합에너지 분출하는 변화무쌍한
태양
표면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26.7일이며 위도 40˚ 근처에는 29.3일 정도다.흑점이
태양
면 위에 나타나는 장소는
태양
면 위도 약 ±40˚ 사이의 띠 부분으로서 그 바깥쪽에 나타나는 일은 드물다. 흑점의 극소기를 지난 직후에는 흑점이 위도 25-30˚ 부근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그 후 시일이 지나면 차차 낮은 위도에 생기게 되어, ... ...
(1) 다목적 임무 수행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우주왕복선의 궤도보다 더 높은 궤도에 정착시켜야할 위성이나 과학관측기구 또는
태양
계 행성 탐색에 보낼 관측용기를 운반하는 일이다. 이런 더 높은 궤도나 지구궤도 밖의 궤도로 보내질 우주비행체는 물론 자체 추진기관을 정착하고 있다. 우주 왕복선은 이 우주비행선을 화물탑재공간에 싣고 ... ...
목성은 정기적으로 먼지를 방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25km의 고속으로 궤도운동 반대방향으로부터 행성에 다가오는 비교적 큰 먼지다. 이는
태양
계를 관통하는 성간물질의 기원이 되는 우주먼지로 파악되고 있다. 또 하나는 약 1개월 간격의 주기를 가지고 몇시간에서 이틀 정도 계속되는 매우 미세한 먼지의 폭발이다. 이는 목성의 기원으로 여겨지고 ... ...
물병자리 델타 유성군의 장관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정도의 굴절망원경만 갖고도 효과적으로 광도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에로스는
태양
과 지구 근처를 지나갈 때 맨눈으로 볼 수 있는 한계등급보다 단지 한단계 어두운 7등급까지 밝아지기 때문이다. 소행성의 광도 측정은 매우 중요한데, 이것의 목적을 한가지만 들어보면, 광도변화를 ... ...
물리- 엔트로피는 시간이 갈수록 증가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눈이나 비가 오는 것을 포함해 이 세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은 물리적으로 보면 에너지 변환과정에 불과하다.우리는 보통 사무실에서 ... 약간의 원료만 있어도 막대한 에너지가 나오는 것이므로 앞으로 50억년 이상은
태양
이 다 타서 없어지면 어쩌나 하는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 ...
(2) 블랙홀·별들의 잔해가 어둠 속에 가득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일각에 불과한 양이 된다.
태양
하나를 예를 든다면, 한개의
태양
에 거의 1백여개의
태양
질량을 합친 정도의 물질들이 우리 눈에 보이지 않고 어디에 숨어있는 것이다.바로 이런 이유로 현대 우주론에서는 우리가 암흑물질을 말할 때 두가지로 나누어 분류한다. 첫째는 이 글에서 주로 다루었던 ... ...
소백산천문대 관측계기로 살펴본 초신성폭발의 의미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망원경으로 살피면 아직도 폭발의 여진으로 바깥 부분은 계속 팽창하고 있다.질량이
태양
보다 30배 이상 무거운 별들은 아주 짧은 수명(1천만년 정도)을 가지지만 마지막 순간에는 상상할 수 없는 엄청난 힘으로 대폭발을 일으키면서 빛조차 빨아들인다는 블랙홀을 만든다. 우리가 블랙홀을 관측하는 ... ...
그랜드캐년을 방불케하는 장엄한 아페닉 산맥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붉은 색을 띠게 된다. 이것은 달과 반대 방향에 있는
태양
에 의해
태양
빛이 지구의 대기와 부딪치며 굴절하여 달이 그늘 속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측자에게 월식에 의한 달의 그림자는 불그스름하게 보인다. 빛과 밝기의의 관측에는 보는 사람의 주관에 따라서 그 ... ...
인체시계는 하루가 25시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이 문제는 생물학자들의 실험과 생각을 통해 알아보기로 하자.
태양
은 생체개일시계의 계시원생물학자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완전히 시간과 무관한 환경을 조성했다. 즉 참호을 만들고 유럽과 미국에서 지원자를 모집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곳에서 지원자들이 ... ...
서울대 물리학과 김제완 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모습을 보여주면서 중성미자 연구가 활성화된다면 우리가 지금까지 전혀 볼 수 없었던
태양
내부의 모습도 알아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도 수십억개의 중성미자가 우리 몸을 통과하고 있지만 우리는 그것을 전혀 느낄 수 없다는 설명도 덧붙였다.김교수가 중성미자 연구를 하게 된 동기는 1978년 ... ...
이전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