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많으면 많을수록 더 좋을까?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가지만, 몇 접시 먹지 못하고 안타깝게 뷔페를 나선 경험이 있을 것이다. 어느 정도 먹은
이후
에는 한 접시를 더 먹을수록 만족감이 떨어져 더 이상 먹을 수 없기 때문이다.그렇다면 뷔페에서 어떻게 먹어야 가장 큰 만족감을 얻을 수 있을까? ‘한계효용 균등의 법칙’에서 답을 찾을 수 있다. 각 ... ...
레이저 선배 ‘메이저’ 상온 첫 성공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메이저는 금세 빛(가시광선)의 파장을 중첩한 ‘레이저(1960년)’에 자리를 내주고,
이후
50년 이상 묻혀 있었다.영국 국립물리연구소(NPL)의 마크 옥스버로우 박사팀은 메이저 작동에 필요한 크리스탈 광학 장비의 재료를 바꿨다. 기존의 무기물(루비 보석) 대신 벤젠고리 5개로 이뤄진 유기물인 ... ...
2012 한반도를 습격하다! 말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나타났다고 들어온 신고는 분봉을 하는 꿀벌무리를 착각한 것”이라며 “말벌무리는 6월
이후
에나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Q3 말벌 독 얼마나 독한가꿀벌처럼 말벌 역시 몸통 끝에 있는 독침이 무기다. 원래는 알을 낳는 산란관이었으나 독침으로 진화했다. 따라서 암컷만이 독침이 있는데 어차피 ... ...
[합체] 비슈누의 머리와 키클롭스 눈의 정체는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같은 알을 낳는 조류는 두머리증이 적어. 파충류와 달리 배아가 민감한 낭배형성기
이후
에 알을 낳고, 낳은 후에도 몸에 품어서 온도를 일정하게 하기 때문이야. 하지만 오리는 자궁 속에서 알이 회전하기 좋은 구조라 개구리처럼 두머리증이 종종 생겨. 전체의 2% 정도라니까 꽤 높지.”산해경을 쓴 ... ...
[화성탐사 특별기획 2] 성큼성큼 화성 누비는 문어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갔고, 그해 10월 처음으로 무중력 상태의 우주공간에서 작동하기 시작했다.
이후
로보너트2는 우주정거장에 남아 실내에서 필터 청소 같은 허드렛일을 하고, 외부에서 우주인을 도와 수리하거나 장비를 옮기는 임무를 맡는다. 4개의 바퀴가 달린 다른 로보너트인 켄타우루스도 신형 충격흡수장치, ... ...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1초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이 안에 있었다. 태양이라고 했지만 실제로는 지구의 자전 속도가 1초를 책임졌다. 1967년
이후
1초의 책임자는 세슘 원자로 바뀌었다. 국제도량형총회는 1초를 ‘바닥상태의 세슘 133 원자에서 나오는 복사선이 91억 9263만 1770번 진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정의했다. 물질의 고유진동수는 지구의 ... ...
상어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비해 최근 수십 년은 오히려 인간이 상어에게 공포의 대상이 되고 있다. 20세기 중반
이후
원양어업이 증가하고 어업 기술이 발전하면서 세계적으로 상어가 많이 잡히고 있다. 특히 중국인이 좋아하는 샥스핀이란 요리에 상어 지느러미가 쓰이는데, 이 때문에 수많은 상어들이 잡혔다가 지느러미가 ... ...
라이벌 보며 채찍질, 멘토에게선 당근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과학을 하고 있더라”며 “과학고에 가려고 과학을 공부한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후
자연스럽게 과학고를 꿈꾸면서 생물올림피아드를 준비했다. “올림피아드를 준비할 때 처음으로 공부가 재미있다고 느꼈어요. 생물학자를 꿈꾸게 됐죠. 그런데 요즘 후배들은 재미가 없는데도 남들이 ... ...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아라비아 수말 사이에서 태어난 말을 출발점으로 품종을 확립한 서러브레드는 1791년
이후
지금까지 족보가 완벽하게 작성돼 있을 정도로 혈통을 잘 보존하고 있다. 키가 160~170cm로 다리가 길고 시속 60km에 이르는 순간 스피드를 내는 서러브레드는 근육이 대부분 속근이어서 단거리 경마에 최적화돼 ... ...
말랑말랑 젤리 방탄복 나온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총탄을 직접 막기보다는 폭탄 파편을 막는 의미가 컸다. 제2차 세계대전(1939~1945)
이후
에는 석유화학공업이 발달하면서 강화플라스틱과 나일론 등으로 총알을 막는 방탄복이 등장했다. 하지만 충분한 방탄성능을 얻기 어려운 것은 매한가지였다. 미군은 1950년 한국전쟁에서 이런 기술로 ‘M1951’ 이란 ... ...
이전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