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까닭
사유
근거
동기
원인
사연
연고
d라이브러리
"
이유
"(으)로 총 11,282건 검색되었습니다.
명태가 사라졌다?! 新바다밥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1호
어미 물고기는 물론 어린 물고기까지 모조리 잡아들인 게 일부 어종이 사라지게 된 큰
이유
가 됐답니다.명태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예요. 우리나라에서는 1975년부터 1997년까지 어부들이 잡은 전체 명태 수의 91%가 어린 명태인 노가리일 정도였어요. 노가리는 술안주로 인기가 많았거든요. 그 결과 점점 ... ...
알록달록, 카멜레온처럼 변하는 전자피부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0호
서울대 안용준 교수와 권형욱 교수팀이 모기가 재빠르게 피를 찾아 빨아먹을 수 있는
이유
를 밝혀냈어요. 지금까지 사람들은 모기가 사람이 내뿜는 이산화탄소나 동물의 체취를 느껴 피를 빨아먹는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이번 연구를 통해 모기가 동물의 냄새보단 피 냄새를 기가 막히게 맡아서 ... ...
가장 번성한 동물 사회의 비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찾고 있지요. 이것이 바로 이들 사회가 지구상에 번성하고 있는
이유
랍니다.※ 이번 호로 연재를 마칩니다. 그동안 ‘동물은 왜’를 사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생체모방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발라져 있어 진짜 소금쟁이처럼 물 위에 뜰 수 있답니다.이 로봇이 주목받은 더 큰
이유
는 물 위를 폴짝폴짝 뛰는 소금쟁이의 행동까지도 그대로 따라했기 때문이에요. 연구팀은 1초에 500장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카메라로 소금쟁이가 물 위에서 도약하는 과정을 관찰했어요. 그 결과 넓게 벌렸던 ... ...
곤충으로 삼시세끼? 미래식량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마리 정도일 거라고 해요. 이렇게 강한 생명력과 번식력은 곤충이 미래식량 유망주가 된
이유
이기도 해요. 언제 어디서든 쉽게 구할 수 있는 식재료가 될 테니까요.실제로도 이미 곤충은 세계 곳곳에서 식량으로 이용되고 있어요. 약 20억 명 정도가 1900종의 곤충을 먹으며 살고 있죠. 그 중에서도 ... ...
지렁이 소화 능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룡(龍)’에 접미사인 ‘이’가 붙어서 지렁이라는 이름이 된 거예요.제가 땅속에 사는
이유
는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서예요. 저는 피부로 호흡을 하거든요. 너무 뜨거운 햇볕을 쬐거나 건조한 환경이 되면 피부가 말라서 숨을 쉴 수가 없답니다. 어둡고 적당하게 축축한 땅속이 제가 가장 살기 좋은 ... ...
개가 주인 보고 꼬리치는
이유
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강아지는 가족이나 익숙한 사람을 보면 꼬리를 치며 좋아해요. 하지만 그동안에는 이런 강아지의 행동이 사람을 알아보고 반가워서인지, 먹이를 달라는 행동인지 알 수 없었지요.이에 미국 에모리대학교 심리학부 그레고리 번스 연구팀은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를 이용해 실험을 진행했어 ... ...
나보다 남이 먼저! 동물의 이타행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아버지가 같은 일개미끼리는 유전자를 75%나 공유하지요. 이렇게 높은 비율로 공유하는
이유
는 수개미, 즉 아버지가 한 벌의 염색체만 가지고 있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일개미는 아버지에게 받는 한 벌의 염색체(50%)를 공유하고, 나머지 한 벌은 여왕개미가 가지고 있는 두 벌의 염색체 중에서 ... ...
[교과연계수업] 곤충, 미래 식량이 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질문을 통해 수업에 대한 관심을 유도한다. ▶ 미래에 식량이 부족해질 수 있다는데 그
이유
에 대해 설명한다. ▶ 미래 식량의 대안 중 하나인 곤충 식량에 대해 설명한다. 어떤 곤충을 먹을 수 있는지, 또 곤충이 왜 미래 식량의 대안인지 설명한다. ▶ 또 다른 미래 식량 후보인 배양 고기에 대해 ... ...
10년의 대탐험 뉴호라이즌호, 명왕성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6호
방향이 아닌 다른 쪽으로 비행 경로를 바꿨지요.과학자들이 카이퍼 벨트에 관심을 갖는
이유
가 또 있어요. 태양과 멀리 떨어져 있는 카이퍼 벨트에는 태양계 생성 초기 상태를 그대로 보존하고 있는 물질들이 존재할 수 있거든요. 또한 태양계에서 발견되는 혜성들은 대부분 카이퍼 벨트에서 온 ... ...
이전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