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부
노천
겉
표면
야외
옥외
d라이브러리
"
밖
"(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달밤에 체조' 병을 키운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K씨는 고민 끝에 운동을 하기로 결심했다. 그런데 K씨가 낼 수 있는 시간은 퇴근 후
밖
에 없었다. 그는 매일 집 근처 헬스클럽에서 밤 10시부터 1시간씩 런닝머신 위에서 달리기 운동을 했다.문제는 이렇게 밤운동을 시작하고 나서도 K씨의 스트레스 증상은 별로 좋아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게다가 ... ...
아프리카를 떠난 최초 인류의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그루지아, 독일, 프랑스, 미국 공동발굴팀이 동유럽 그루지아공화국 드마니시에서 약 1백70만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인류의 두개골 화석을 거의 완벽 ... 화석과 2천명의 현생 인류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비교한 결과 서로 다른 종으로 볼 수
밖
에 없다는 1997년의 연구와도 일치한다 ... ...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왜그럴까?종이 양끝을 강하게 잡아당기면 두 개의 클립이 서로 맞물리면서 하나가 돼
밖
으로 튀어나간다.S자를 두번 만들어 세 군데에 클립을 끼운 뒤 종이 끝을 잡아 당겨 보자. 클립 세개가 하나로 돼 튀어 나간다.손수건 정수기흙탕물이 들어있는 컵 속에 손수건의 한쪽 끝을 담그고 흙탕물을 ... ...
우리별3호, 강원도 산불지역 촬영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개발된 최초의 우리나라 고유의 위성모델로 지난해 5월 발사됐다.우리별3호는 지구
밖
7백30km지점에서 하루에 14번 정도 지구를 돌면서 각종 지구관측과 우주과학실험을 수행하고 있다 ... ...
디지털 가정으로의 초대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어떤 변화를 줄까. 우선 가정 안과
밖
의 경계를 사라지게 할 전망이다. 미래에는 집
밖
에서 들어가기 전 미리 집 안 온도를 적정하게 하기 위해 냉·난방 기기를 조종할 수 있다. 또한 오랫동안 집을 비워도 안심할 수 있다. 어느 곳에 있든지 정보망에 연결된 기기로 집 안에 설치된 디지털 비디오를 ... ...
3. 우리은하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그런데 1970년대에 우리은하의 외곽부분의 운동이 그동안 생각해왔던 것과 달리
밖
으로 갈수록 속도가 크게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렇게 속도가 떨어지지 않는 것은 결국 외곽에도 물질이 많이 있다는 것을 뜻한다. 때문에 천문학자들은 은하의 외곽부에 관측되지 않는 암흑물질(dark ... ...
고인돌과의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옮길 수 있는 인력이 존재했다는 이야기도 된다.물로 돌을 쪼갠다고인돌의 형태는
밖
으로 드러난 덮개돌을 받치고 있는 굄돌에 따라 탁자식(북방식)·바둑판식(남방식)·구덩식(개석식)으로 나누어진다. 덮개돌 밑에 있는 무덤방의 짜임새도 만든 방법과 재료에 따라 구덩·돌널·돌덧널 등 여러 ... ...
오래 쓰고 전기료 싼 3파장 전구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수 없는 자외선. 형광등 내부 표면에 도포된 형광물질은 이 자외선을 가시광선으로 바꿔
밖
으로 방출한다. 따라서 열로 인한 손실이 적어 가시광선으로 나오는 에너지의 양이 25% 이상으로 효율이 높고 최대 1만6천시간 이상으로 수명도 길다.일반 형광등과 원리가 같기 때문에 오래 쓰고 전기가 적게 ... ...
동물의 아비사랑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입구는 닫힌다. 그 속에서 새끼는 4-5주를 머물며 2cm 크기로 자란 후 주머니를 열고
밖
으로 나온다. 자식을 품에 안고 보호하는 아비의 의무가 마쳐지는 순간이다.해룡 수컷은 왜 이다지도 자식 돌보기에 바쁠까. 아마도 해답은 해룡의 ‘무력함’에서 찾을 수 있을 듯하다. 워낙 약하디 약한 개체이다 ... ...
만약 산소 반응성이 두배 높아진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아르곤의 원자량은 40으로 질소의 분자량(28)이나 산소의 분자량 (32)보다 많기 때문에 1%
밖
에 들어있지 않지만 공기로부터 얻은 질소와 암모니아로부터 얻은 순수한 질소의 밀도 차이를 만들었던 것이다.1894년에 레일리와 램지는 아르곤의 발견을 발표했다. 그 다음 해에 태양의 스펙트럼에서 처음 ... ...
이전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