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같은시간"(으)로 총 9,560건 검색되었습니다.
- “남 배려하는 따뜻한 학생 뽑겠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2011년 9월 발표된 QS 세계대학평가에 따르면 서울대 공학 분야는 학계 평판에서 세계 33위를 차지했다. 2020년 20위를 목표로 치열하게 달려가고 있는 서울대 공대의 이우일 신임학장을 만나 비전을 들어봤다.“서울대 공대는 공부만 잘하는 사람보다는 생각이 자유로운 학생, 그리고 남을 배려하고 균 ... ...
- 비전을 솔직하게 쓰고 말하라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인터뷰를 위해 찾아간 인창고 곳곳에서는 3학년 학생들이 졸업사진을 찍느라 분주했다. 저마다 머리를 매만지고 포즈를 취하는 모습에서 졸업을 앞둔 학생들의 설레임이 느껴졌다. 현종 군도 마찬가지였다. 인터뷰 장소로 온 현종 군은 동아리 친구들과 사진을 찍고 왔다며 활짝 웃었다. 2012학년도 ... ...
- 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이 프롤로그에 이어지는 1파트의 본문은 인포그래픽만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아래 주소로 들어가 보세요.http://science.dongascience.com/articleviews/article-view?acIdx=11324&acCode=7&year=2012&page=7“한 끼의 양식을 위해/ 집채만한 파도를 넘고/ 죽음을 넘고/ 섬으로 섬으로 무인도로” ...
- Part3. 2150 지구로 보내는 편지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지구의 친구들아, 안녕? 난 화성에서 살고 있는 고등학생이야. 올해로 10살, 아 참, 지구 나이로 치면 18살이구나. 우리 부모님은 한국이라는 나라에서 살다가 결혼한 뒤 화성으로 이주하셨어. 나는 화성에 온 뒤에 태어나서 한국은 물론이고 지구에도 가본 적이 없어. 영화나 텔레비전에서 본 게 다지 ... ...
- 햇볕에 널기만 해도 깨끗해지는 옷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냄새나는 양말, 음식물 얼룩이 묻은 티셔츠를 공들여 빨지 않고 햇볕에 널어두기만 해도 알아서 빨래가 될까. 아주 특별한 섬유라면 가능한 이야기다. 데용 우 중국국립자연과학재단 박사팀이 ‘어플라이드머티리얼’지에 최근 발표한 섬유 소재는 햇볕에 널어 두면 스스로 세균이나 얼룩을 없애 ... ...
- 황당맨의 취재수첩과학동아 l2012년 01호
- #1수백 가지 진단을 한 번에우리 몸에 침입해 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한두 개가 아니다. 보통은 배양 검사로 어떤 병원체에 감염됐는지 확인하는데, 이 과정이 쉽지 않다. 환자에게서 병원체를 뽑아내 시험관에서 배양한 뒤 진단을 내리는데, 3일에서 길게는 몇 주가 걸리기도 한다. 변종 바이러스 ... ...
- 근육로봇의 탄생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로봇을 한번 떠올려 보자. 사람처럼 뚜벅뚜벅 걷는 휴머노이드, 강물 속을 헤엄치는 물고기로봇, 지그재그로 기어가는 뱀로봇 등 가지각색의 로봇이 생각난다. 혹시 문어처럼 흐느적거리는 로봇을 상상한 독자가 있는지. 최근 문어 같은 연체동물은 물론이고 벼룩로봇, 식물을 닮은 로봇 등 새로운 ... ...
- 나노갤러리과학동아 l2012년 01호
- 화장품에서 세제까지, 나노는 이제 익숙한 단어가 됐다. 그러나 어렵고 심오하다는 선입견 때문에 아직 나노는 과학자들만의 영역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눈으로 보면 조금 더 가까워질까. 나노의 신기한 세계를 사진으로 준비했다.보라색 꽃이 활짝 피었네사진 속 보라색 꽃은 아연산화물을 지름 ... ...
- 겨울의 DMZ에서 독수리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와, 독수리다!”기자가 타고 있는 버스를 향해 독수리가 두 날개를 활짝 펴고 날아왔다. 창문이 없다면 손이 닿을 것 같았다.“진짜 크다!”탄성이 터져 나왔다. 독수리가 양 날개를 활짝 편 길이는 무려 3m나 된다.여기는 경기 파주시 장단면에 있는 장단반도. 독수리의 대표적인 월동지다. 지난 12 ... ...
-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과학동아 l2012년 01호
- 1982년 10월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FDA)은 재조합 DNA 기술로 만든 최초의 의약품 휴물린(Humulin)의 판매를 승인했다. 휴물린은 인(human)과 인슐린(insulin)의 합성어로 박테리아인 대장균이 만든 인간 인슐린이다. 올해는 생명공학(BT) 기술이 본격적으로 상업화 된 지 30주년이 되는 셈이다.휴물린 개발의 ... ...
이전3693703713723733743753763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