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한국"(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 코로나19에 세계 최대 규모 '바이오USA'도 디지털 전환연합뉴스 l2020.04.08
- 최대 규모의 바이오 콘퍼런스다. 지난해에는 전 세계 67개국에서 1만6천개사가 참여했다. 한국에서만 37개 제약·바이오 기업이 참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이오 업계에서는 해외 동향을 파악하고 다국적제약사, 투자자와의 네트워킹을 강화하는 대표적인 자리다.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 ...
- [과학게시판] KAIST, '증강현실 프로그램' 대학원 신입생 모집 外동아사이언스 l2020.04.08
- 화상회의 시스템을 이용해 진행됐다. ■ 정병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은 이달 7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를 방문해 KISTI의 계산과학공학 개방형 플랫폼 EDISON 등 온라인 교육콘텐츠 서비스 현황을 점검했다. EDISON은 전산열유체, 계산화학 등 7개 분야 900개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와 848개 ... ...
- “학교 휴교, 다른 사회적 거리두기와 결합해야 효과 극대화”동아사이언스 l2020.04.07
- 분석한 결과를 6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랜싯 아동 및 청소년 건강’에 게재했다. 한국을 포함해 전세계 각국이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이동제한, 학교 폐쇄 등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를 취하고 있다. 교육·과학·문화 분야 국제연합(UN) 전문기구인 유네스코(UNESCO)에 따르면 전세계 학생들의 90% ... ...
- "무증상 전파가 코로나19 해결 어렵게 하고 있다"동아사이언스 l2020.04.07
- 세였고 15명이 남성이었다. 증상 발현에서 진단까지 걸린 기간은 평균 4.3일이었다. 11건은 한국에서 접촉을 통해 감염됐으며 발견에 시간이 걸려 진단이 지연됐다. 연구팀은 “이런 지연은 임상의가 코로나19를 진단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인 무증상 및 다양한 초기 증상과 관련이 있다”고 ... ...
- 과학기관장들 "과학기술 투자 확대해 코로나19 위기 극복해야"동아사이언스 l2020.04.07
- 간담회에는 이우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장과 한민구 과학기술한림원장, 권오경 한국공학한림원장, 임태환 대한민국의학한림원장, 신성철 KAIST 총장, 김기선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국양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총장, 이용훈 울산과학기술원(UNIST) 총장이 참석했다. 4대 과기원 ... ...
- 이산화탄소 포집시설 필요없는 가스발전 기술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20.04.07
- 15 ppm(100만분의 1)로 떨어졌다. 연구팀이 개발한 케미컬루핑 연소기술의 모식도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연구팀은 케미컬루핑 연소기술을 이용하면 100MW 천연가스발전 기준으로 발전효율은 4% 높아지면서 이산화탄소 포집비용은 30% 절감한다고 추산했다. 이산화탄소는 연간 15만 t 감축할 수 ... ...
- "1천명당 병상 수, 많은 나라일수록 코로나19 완치율 높아"연합뉴스 l2020.04.07
- 'OECD 보건의료통계 2019' 자료를 보면 2017년 기준 인구 1천명당 평균 병상 수는 4.7개다. 한국 병원의 전체 병상 수(총 병원 병상 수)는 인구 1천명당 12.3개로 일본(13.1개)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OECD 평균(4.7개)의 2.6배다. 인구 1천명당 병상 수가 OECD 평균을 크게 웃도는 국내 코로나19 완치율은 60% ... ...
- WHO "마스크 새 사용 지침 준비 중…의료용 마스크, 의료진에 우선 공급해야"동아사이언스 l2020.04.07
- 종합적인 코로나19 대응책 중 하나로 봐야한다”고 조언했다. WHO와의 우려와는 달리 한국 내 의료진에 대한 의료용 마스크 공급은 크게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대학병원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 터지기 전처럼 의료용 마스크를 쌓아 놓고 사용할 정도는 아니지만 의료진들이 사용할 ... ...
- ETRI·SK텔레콤, 데이터센터 전력소모 10분의 1로 줄이는 저전력 AI 반도체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0.04.07
- 고성능 서버와 사물인터넷(IoT) 기기 등에 적용 가능한 신경망처리장치(NPU) AI 반도체를 한국 최초로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NPU는 인간 뇌 신경망을 모방해 대규모 연산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게 만든 AI 프로세서 중 하나다. 인간의 뇌처럼 적은 전력으로 대규모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 ...
- "소변량 줄었어요. 병원 가세요" 네이처가 주목한 한국 연구자들이 만든 'AI 변기' 동아사이언스 l2020.04.07
- 장질환 등 여러 질환을 관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스마트변기’를 미국과 국내 한국인 연구자가 주도해 처음으로 개발했다. 현재는 비뇨기 및 소화기 질환을 중심으로 검진이 가능하지만, 향후 DNA 분석 기술을 접목해 암이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등 바이러스 감염까지 ... ...
이전3683693703713723733743753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