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즈음
최신
근간
요사이
근래
근대
요즘
스페셜
"
최근
"(으)로 총 4,60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또 독액의 특정 성분이 우리 몸의 생리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도구로도 쓰일 수 있다.
최근
수년 사이 지네 독액 연구가 이를 잘 보여준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네가 큰 문제가 아니지만 하와이에서는 병원 응급 환자의 11%가 지네에 물린 사람일 정도로 상황이 심각하다. 대부분은 별문제 없이 치료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왜 남이 하는 건 항상 쉬워 보일까?
2018.09.01
모습을 보고 그 일 자체가 쉽다거나, 나도 잘 할 수 있을 거 같다고 느끼는 이유는 뭘까?
최근
심리 과학지(Psychological Science)에 실린 한 연구에 의하면 나 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비슷한 현상을 경험한다고 한다. 연구자들은 사람들에게 ‘그릇을 움직이지 않고 식탁보 빼기’를 손쉽게 해내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대사질환이 전체 지방의 양보다 내장지방의 양에 더 밀접한 관계를 보이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비만도를 반영하는 지표로 허리둘레를 쓰는 문헌이 늘고 있다. 허리둘레가 대사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내장지방의 양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 ‘건강 및 피트니스 저널’ 제공 내장지방이 더 ... ...
오늘은 나도 돌고래 연구자! 지구를 위한 과학, 제주 돌고래 탐사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18.08.11
돌고래 연구팀이 지속적으로 추척, 관찰하며 연구를 이어오고 있다. 연구팀은
최근
에 촬영한 사진과 동영상을 보여 주며 건강해진 제돌이가 활발하게 이동하는 모습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하정주 연구원이 현장에서 탐사대원들에게 돌고래 특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드론을 이용한 항공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진짜와 가짜를 구분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2018.08.11
과학동아에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새롭게 연재할 계획이다.
최근
스스로를 돌보는 게 서툰 이들을 위해 를 썼다.현재는 UNC 의과대학에서 연구원을 하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한 성분(중간물질)일 뿐 우리 몸에서 별다른 역할을 한다고 여겨지지는 않았다. 그런데
최근
구연산이나 숙신산 같은 물질이 혈액 중에도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이들이 신호분자 같은 또 다른 역할을 한다는 증거가 나오고 있다. 근육에서 만들어져 혈관을 타고 이동 연구자들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늘 거절이 어려운 당신에게
2018.08.05
과학동아에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새롭게 연재할 계획이다.
최근
스스로를 돌보는 게 서툰 이들을 위해 를 썼다.현재는 UNC 의과대학에서 연구원을 하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아미노산 서열이 94%나 일치한다. 반면 코(후각상피)에서만 발현되는 유전자는 비교적
최근
에 진화한 것들이다. 척추동물의 후각수용체 유전자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바다에만 살던 시절 진화한 1군(class Ⅰ)과 육상으로 올라온 뒤 진화한 2군(class Ⅱ)이다. 1군은 물(바다)에 녹아 있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리의 몸은 조금도 잘못되지 않았다
2018.07.28
과학동아에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새롭게 연재할 계획이다.
최근
스스로를 돌보는 게 서툰 이들을 위해 를 썼다.현재는 UNC 의과대학에서 연구원을 하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12억 마리(털이 주목적), 돼지가 10억 마리에 이르고 닭은 무려 190억 마리가 살고 있다.
최근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지구에서 사람의 생물량(탄소 기준)은 6000만 톤이고 가축 포유류의 생물량은 1억 톤에 이르는 데 비해 야생 육상 포유류는 수천 종을 다 합쳐도 300만 ... ...
이전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