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 [교과연계수업] 내 눈을 지켜줘!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누구나. 2. 제목 : 내 눈을 지켜줘! 시력의 비밀! 3. 수업 목표 ① 눈이 잘 안 보이는 여러 가지 증상에 대해 알 수 있다. ② 양쪽 눈이 경쟁을 하는 원인과, 두 눈이 어떤 작용으로 물체를 보는지 원리를 알 수 있다. ③ 시력을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을 두 가지 이상 알고 설명할 수 있다. 4. 교과 연계초등 5~ ... ...
- [지식] 광케이블 통신망 효율 높이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제시했습니다.사실 L*은 L보다 항상 같거나 작습니다. 그 이유는 바꾼 문제가 더 여러 경우를 포함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답을 L*+1.5D 이내로 찾을 수 있다면 비용을 최소로 하면서 수요를 만족하는 방법을 찾은 게 되지요. 산업계 문제, 수학자가 푼다!올해 초 독일 베를린공대 마르틴 슈쿠텔라 ... ...
- [지식] 최고의 방정식을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아름답게 엮인 오일러의 공식(eπi +1=0)을 최고의 식으로 뽑았다. 전문가의 색다른 선택은?여러 이론을 접하는 학자들은 기타 선택으로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공식을 뽑기도 했다. 박성찬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는 ‘디락 방정식’을 최고의 방정식으로 꼽았다. 박 교수는 “자연의 기본 입자인 ... ...
- [수학동아클리닉] 중등_우봉고로 일차방정식을 요리해볼까?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의사소통, 문제해결 등 학생이 주도하는 수업을 활성화하는 것은 어떨까? 이를 위해 여러 선생님들이 한 수업을 함께 지도하는 협동교수, 학생 간 역할 분담 및 협력 등을 통한 협력학습, 수업을 두세 개 씩 묶어서 운영하는 블록 타임제 등을 활용하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효과를 ...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한 번씩 전세계에 공급할 계획이다. 별의 밝기가 변하는 이유는 초신성, 감마선 폭발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많은 천문학자들은 이 현상들을 이용해 우주 팽창 등을 연구하고 있다. LSST팀은 초신성의 밝기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현상, 별이 움직이거나 맥동하면서 밝기가 변하는 현상 등 매분 1000만 ... ...
- [Knowledge] 이타성을 향한 여정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구역질하며 뱉어낸 뒤 다른 곳으로 가버린다. 운이 나쁜 애벌레는 목숨을 잃었지만 대신 여러 동기의 생명을 구했다. 어떤 행동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동기들이 공유할 확률은 50%다. 그러므로 고약한 맛을 지닌 의로운 애벌레 당사자는 포식자에게 공격 당해 죽을지언정 그 덕분에 유전자를 공유하는 ... ...
- [헷갈린 과학] 바다표범VS바다사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나와 있지 않고 대신 구멍만 뚫려 있어서 겉에서는 보이지 않는답니다. 그 이유에 대한 여러 가지 가설이 있지만, 과학자들은 귓바퀴를 통해 열이 빠져나가 체온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고 보고 있어요. 바다표범의 많은 종이 남극이나 북극처럼 매우 찬 바다에 살고 있기 때문이랍니다 ... ...
- [퍼즐탐정 셜록홈즈] ‘소느로 파머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또 다른 원주민이 나타나는 게 아닌가!“아아아아아~! 방패골라방패골라!”그러더니 여러 개의 방패 중 하나를 고르라는 손짓을 보내는데…. MISSION 4. 보물상자를 열어라!썰렁홈즈가 방패를 제대로 고르자, 이번엔 머리에 파인애플을 얹은 새로운 원주민이 나타나 썰렁홈즈의 손을 잡고 어디론가 ... ...
- 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않는지 관찰하는 방식이다. 실험 결과 연구팀은 애기장대가 꽃을 만드는 데 작용하는 여러 호르몬을 역할이 비슷한 것끼리 묶어 세 그룹으로 나눴다. 이를 ABC모델이라 부른다. 하지만 한 그룹마다 수 개, 많게는 수십~수백 개의 유전자가 들어 있다. 같은 그룹에 속해 있는 유전자끼리도 서로 돕거나 ... ...
- 인공지능, 인간을 뛰어넘은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연구하는 날이 올 수도 있지 않을까? 박형주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소장은 “이미 수학의 여러 정리를 컴퓨터가 증명하게 하는 분야가 있다”며, “아직 사람의 손에 의해 증명된 문제를 시켜보는 단계에 지나지 않지만, 미래에는 사람처럼 새로운 것을 증명해내는 인공지능이 나올 수도 있다”고 ... ...
이전3683693703713723733743753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