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레벨
규격
표준
계급
d라이브러리
"
수준
"(으)로 총 5,615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버 세계의 저항문화 안티사이트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좀더 발전적으로 변모했으면 합니다”라고 이 사이트 개설자는 말한다.일회성 발언
수준
벗어나야소비자의 처지에서 욕을 하고 자신의 생각을 마구 쓴다고 그것이 어떤 해결점을 제시해주지는 않는다. 개선을 바란다면 좀더 진지하게 노력할 필요가 있다. 즉 일회성 발언에서 벗어나 한마디에도 ... ...
Ⅳ. 우주의 시작과 끝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지상 망원경의 건설은 당분간 어려울 전망이지만,외국과의 협력 연구를 통해 꾸준히
수준
향상을 꾀한다면 수십년 이내에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면서 첨단의 천문학 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선진 외국들이 예외 없이 천문학에 아낌없이 투자하는 것은 직접 우리의 생활에 기여하는 것은 ... ...
투명음료 광고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열량이 낮다는 점인데, 과연 칼로리가 얼마나 될까. 미과즙음료는 스포츠음료와 비슷한
수준
으로 1백mL당 20-35kcal가 포함돼 있다. 대부분 미과즙음료는 저열량 기준(국내 식품기준에 따르면, 저열량으로 명명할 수 있는 액체상태의 제품은 1백mL당 20kcal 이하인 경우에 해당된다)을 넘는다. 사실 ... ...
4. 21세기를 여는 통합물리학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수 없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실험에서 이와 같은 끈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은 현재의 기술
수준
으로는 불가능한 일이다.하지만 끈이론에서는 놀랍게도 점입자에 대한 이론에서 나타나는 많은 무한대의 양들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또한 이 끈이 페르미온과 보존 사이의 대칭성인 ... ...
화성 최근에도 물이 흘렀다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물과 ‘화성인’에 대한 접근 방법이 좀더 과학적으로 바뀌었다. 또한 운하를 건설하는
수준
의 고등생명체가 아니라 물을 바탕으로 살았을지도 모르는 미생물을 찾으려는 노력이 새롭게 전개됐다.1976년에는 미국의 쌍둥이 화성탐사선 바이킹 1, 2호가 화성에 도착했다. 이들은 각각 궤도선과 ... ...
선마이크로 시스템즈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로 늘었다.초창기에 컴퓨터비전과 맺은 계약은 선의 도약에 큰 도움을 주었다. 당시 최고
수준
의 CAD업체였던 컴퓨터비전이 미니컴퓨터를 버리고 가격이 저렴한 워크스테이션으로 전환하겠다고 선언하자 워크스테이션업체들은 컴퓨터비전과 손잡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신생기업이던 선도 ... ...
미국인의 과학지식
수준
기대 이하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대해서는 2/3 이상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일반인의 과학지식
수준
이 심각한 것으로 밝혀졌다.하지만 미국인들은 대부분 과학적 발견과 진보에 대해서는 상당한 관심을 갖고 있으며, 과학기술이 삶을 더욱 윤택하고 편리하게 해줄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갖고 있다. 때문에 ... ...
손목시계 크기의 화상전화기 실현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손목시계를 보며 화상전화가 가능한 시대가 곧 열린다는 의미다.물론 배터리 기술이 이
수준
에 따라온다는 전제에서 말이다.현재 마이크로전자패키징연구실에는 박사과정 6명과 석사과정 3명이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현재보다 크기와 무게가 절반 정도인 가벼운 휴대폰을 '부담없이' 목에 걸고 ... ...
과학에서 이뤄야 할 남북통일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실체'에서 북한의 전문기술가(테크노크라트)체제와 과학교육의 실태,정보통신 분야의
수준
을 소개하고,과학기술용어를 하루빨리 통일시켜야 한다는 점을 지적한바 있다.이번 방북을 계기로 과학에서 시급히 남북통일을 이뤄내 시너지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분야를 선정해 소개한다 ... ...
① 기상 : 날씨 첫 교신 '쾌청'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쉽게 해결된다고 기대하기는 어렵다. 현재 북한의 기상관측
수준
은 우리나라의 1960년대
수준
이다. 기상관측 장비가 국내에서는 거의 사용하고 있지 않는 낡은 것들이 대부분이다. 1970년대 중반 우리나라보다 기상예측모델을 먼저 내놓은 북한이지만 거의 모든 관측을 수동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 ...
이전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