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구장산술 주비산경 완역한, 사회학자 차종천교수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즉 우리 역사로는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직전인 1592년에 나왔는데, 그때 입수한 책은 19
세기
후반 청말에 만들어진 엉성한 목판본의 복사판이었다. 물론 그 길로 한문투성이책이 모두 다 해독되지는 않았으나, 어렴풋이 나마 뜻을 짐작할 수 있는 문제들이 꽤 있었다. 거의 반년 가량 그는 산법통종에 ... ...
왜 양자이론이 암호연구에 이용될까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발전에 결정적으로 이바지했고 현재의 정보통신 혁명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그래서 21
세기
를 시작하는 2000년도 노벨물리학상을 집적회로와 반도체기술 분야에 수여하지 않았던가.0과 1 두값을 동시에 가진다지금은 더욱 발전해 1미크론(${10}^{-6}$m) 보다 작은 논리 게이트나 회로를 실리콘칩의 표면에 ... ...
3. 왜 포스트PC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전부분에 적용될 기술과 제품을 만드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전문가들은 포스트PC가 21
세기
IT산업의 전면에 부상하게 된 것은 인터넷을 축으로 한 네트워크의 급속한 발전으로 기존 PC와는 다른 다양한 형태의 정보교환도구가 가능해지고, 이에 따른 기술이 발전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한다. ... ...
궁정화가 벨라스케스의 시녀들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여자 둘이 시녀다. 제목 ‘라스 메니나스’는 포르투갈말로 ‘계집아이들’이지만, 17
세기
스페인에서는 왕궁에서 시중하는 ‘시녀들’이라는 뜻으로 쓰였다.그림 왼쪽에는 커다란 캔버스가 거의 천장 높이로 서있다. 그 뒤에 까만 옷을 입은 사람이 이 그림을 그린 화가다. 디에고 벨라스케스. ... ...
리프킨의 엔트로피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저술로 ‘노동의 종말’(The End of Work) ‘등장하는 질서’(The Emerging Order) ‘바이오테크의
세기
’(The Biotech Century) 등이 있다. 이 책들은 대부분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됐다. 지난 25년간 20여개국을 순회하면서 5백개가 넘는 대학에서 강연한 그는 미연방 정부의 정책에 가장 영향력을 많이 미친 ...
고인돌 유적에서 발견된 별자리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돌판에 구멍이 새겨질 당시 밤하늘을 생각해볼 수 있다. 당시 별들의 분포는 기원전 5
세기
로 가정해(우리나라 고인돌이 건설된 시기는 기원전 약 3천년부터 서기 2
세기
사이로 알려져 있다) 컴퓨터로 재현했다. 이때 지구의 자전축이 2만6천년을 주기로 회전하기 때문에 별들의 위치가 바뀌는 점을 ... ...
소음이 있어야 더 잘 들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바람이 구슬을 살짝 밀어준다면 구슬은 옆구덩이로 넘어갈 수도 있을 것이다. 바람의
세기
가 너무 약하거나 너무 세지 않고 적당하다면 구슬이 양쪽 구덩이를 오가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는 얘기다. 이처럼 두개(또는 그 이상)의 안정된 모드와 두 모드 사이에 존재하는 역치값, 미약한 진동신호와 ... ...
좀생이별이 들러리 선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쓰는 태양역법을 제대로 이해한다면 2001년이 새천년의 시작이다. 어떻게 보면 다시금 한
세기
를 정리할 수 있는 기회가 온 것이다.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을 바라보며 차분하게 올해와 함께 천년을 뒤돌아보면 어떨까.V자와 ?모양인 별무리동쪽 하늘에서는 변함없이 오리온자리를 시작으로 하는 ... ...
세계7대 불가사의 탄생 과정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필론이 직접 7대 불가사의의 목록을 정리했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다. 물론 기원전 2
세기
에는 이미 많은 불가사의가 파괴됐기 때문에 당시 전해 내려오던 불가사의의 목록을 인용 또는 참고했다는 것이 옳은 이야기다. 그러나 필론이 불가사의에 대해 기록한 이유는 제자들을 가르치기 위해서라는 ... ...
6. 밤을 밝히는 30층 규모의 등대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이해되지 않기 때문이다.실제로 인류가 고층 건물을 본격적으로 세우기 시작한 것은 19
세기
말부터다.그러므로 르네상스 시대를 걸쳐 과학기술이 발전하자 고대에서 가장 높다는 건물을 어떻게 건설했을까 하는 호기심이 절로 일어난다.파로스 등대를 건설할 때 1백m나 되는 건물을 건설할 수 있는 ... ...
이전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