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트랜스지방이 안 좋은 이유 밝혀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피부세포가 노화하고 배아가 죽거나, 살아남은 배아도 발달이 지연되는 것을 발견했지요. 연구팀은 혈청 안에 들어 있는 ‘고밀도지단백질’이 변형돼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어요. 고밀도지단백질은 혈관 속에 쌓인 콜레스테롤과 노폐물을 모아 몸 밖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하거든요 ... ...
- 송이버섯 VS 양송이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비슷하게 생긴 ‘독우산광대버섯’(오른쪽)이 대표적인 예이지요. 숲이나 산에서 버섯을 발견했을 때 식용버섯처럼 보이더라도 함부로 먹지 마세요~! 양송이버섯주름버섯과의 버섯으로 여름철에 풀밭에서 자라나요. 하지만 우리가 시장이나 마트에서 보는 양송이는 모두 볏짚을 잘 숙성해 만든 ... ...
- 사슴벌레 VS 장수풍뎅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발톱이 있어요. 성충이 되면 참나무에서 나오는 나무액을 먹고 살기 때문에 참나무에서 발견하기 쉽지요. 뒤집어지면 주변에 나무나 다른 것을 붙잡고 일어나는데, 붙잡을 물건이 없으면 혼자서 일어나지 못해 죽는 경우도 많답니다. 일본에서는 ‘투구벌레’라고 불러요 ... ...
- 달에 까만 토끼가 살고 있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결과 달의 운석에는 지구에 있는 암석과는 전혀 다른 물질이 약 50%나 들어 있다는 것을 발견했지요. 연구팀은 이 물질이 테이아의 파편이라고 설명했어요.들으면 들을수록 매력적이구나! 당장 달을 정복하러 갈래!안타깝지만 닥터 그랜마. 달에 온다면 단 1분도 버티기 어려울 거예요. 달은 대기가 ... ...
- 2014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서울 숲의 진짜 주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포함된 균류를 얼마 발견하지 못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생각보다 많은 26종의 버섯을 발견했어. 국립수목원 한상국 박사는 “서울숲이 건강하고 성숙해지고 있다”고 말했어. *방형구 조사는 일정 지역에 자라는 나무와 풀의 종류, 크기와 생김새, 개수 등을 조사해서 기록한다.생물다양성에 대한 ... ...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보낼 수밖에 없다. 김 그룹장은 “케플러우주망원경이 발사된 뒤 외계행성이 7000~8000개나 발견됐지만 행성의 구성성분이 제대로 밝혀진 것은 10개가 채 안 된다”며 “앞으로 25m 거대 마젤란 망원경이 완성되면 외계행성에 대한 정보도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인터스텔라는 아무리 잘 ... ...
- [과학뉴스] “나 박쥔데, 시끄러워서 살 수가 있어야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시끄러운 지역에서 일부 종(브라질 큰귀박쥐)의 활동량이 40% 가까이 줄어든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박쥐가 내는 초음파의 주파수대에 따라 활동량에 차이가 나는지도 조사했는데, 주파수가 낮은(35kHz 미만) 박쥐 종의 70%가 활동량이 떨어졌다.연구팀은 또 채굴장 주변에서 박쥐가 내는 초음파가 ...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유명한 것은 목성과 토성이다. 목성 오로라는 보이저 1호가 지나갈 무렵인 1979년 처음 발견됐다. 당시에는 그저 목성에서 발생하는 특이한 현상으로 취급했지만, 시간이 흘러 허블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정밀한 관측을 한 뒤에야 목성에서 발생하는 오로라 현상으로 밝혀졌다. 특이하게도 목성은 ...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보면 재미있는 사실을 많이 알 수 있게 된답니다. 그러다 보면 친구들이 새로운 것을 발견하거나 밝혀낼 수도 있을 거예요.”펜으로 공부하자! 전자펜야! 요즘이 어떤 세상인데 그냥 필기구로 공부하려고 그러니? 최첨단 디지털 펜으로 공부를 하는 건 어때? 네가 공부한 내용을 그대로 컴퓨터에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년 12호
- 하지만 19세기에서야 공리 1, 2, 3, 4를 만족하면서 5번은 성립하지 않는 새로운 기하가 발견되면서 1, 2, 3, 4로부터 순수 논리 전개로 5를 유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밝혀졌다.유클리드 기하학은 과학의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아마도 현대 물리학의 창시자라고 할 만한 영국의 수학자이자 ... ...
이전3683693703713723733743753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