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❺ 수리생물학 - 수학과 생물학 아무도 예상 못한 커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비율로 남는 이유’를 정확히 모르겠다고 토로하자 그 자리에서 이를 수학적으로 증명해 줬다.방법은 간단하다. ‘몇 가지 조건’을 가정할 때, 우성과 열성이 다음 세대에 나타날 확률은 이항정리를 따른다. 이를 이용해 무한한 세대까지 계산해보면 우성과 열성의 비율이 항상 일정하다는 것을 알 ... ...
- 인류와 데니소바인의 ‘결혼’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세계의 지붕’ 히말라야에 사는 티베트인들은 고산병에 걸리지 않는다. 고산병은 높은 지대에서 산소가 부족해 고통을 겪는 병인데, 티베트인은 ... 멸종한 인류의 유전자를 받아들여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진화했음을 보여주는 매우 명백하고 직접적인 첫 번째 증거”라고 말했다. ... ...
- 장기 괴담, 모조리 씹어먹어 줄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오염되면, 그 장기는 쓰지도 못하고 버려야 할 겁니다. 범죄에 가담한 사악한 의사 한 명이 뚝딱 해낼 수 있는 일이 아니죠. 그런 걸 모두 갖출 능력이 있다면 왜 범죄자가 됩니까. 저 같으면 병원 차립니다. 아니면, 병원과 의사가 조직적으로 범죄에 가담해야 한다는 소리인데,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 ...
- [Knowledge] 녹색식물도 키우는 ‘ 화성 호텔’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물이 풍부한 행성이었다는 사실을 새삼 떠올렸다. 믿어지지 않았다. 정말 화성에는 생명체가 존재했을까. 내가 그 비밀을 밝혀낼 수 있을까.홈, 마이 스위트 홈(Home, My Sweet home)지는 해를 뒤로 한 채 기지에 돌아왔다. 긴 그림자가 나보다 먼저 기지로 뛰어드는 기분이었다. 모듈에 들어가기 전, 수집한 ... ...
- 다시 읽는 난중일기 거북선 정말 철갑선이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문헌적 증거가 없다.이순신의 조카인 이분(李芬)이 쓴 이순신 전기에서 거북선에 대한 설명이 나와요. ‘(중략) … 크기는 판옥선과 같으며 상부는 목판으로 덮었는데 판상(板上)에는 십자형 … (중략)’배 윗 부분을 목판으로 덮었다고 쓰여 있으며, ‘판상’의 판(板)은 ‘널빤지 판’ 자로 나무로 ... ...
- Intro. 2014년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일까?수학동아 l2014년 08호
- 필즈상 수상자인 그리고리 페렐만의 연구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더해 ‘로손 추측’을 증명했다.8 Alexei Borodin “필즈상을 받은 확률은 계산하기 어렵네요.”알렉세이 보로딘 ♂국적 | 러시아생년월 | 1975년 6월(만 39세)연구 분야 | 적분 시스템, 확률적 표현론소속 | 매사추세츠공과대보로딘 교수의 ... ...
- [시사] MARVEL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영화는 모두 10편이다. 2008년 대망의 첫 영화는 이었다. 억만장자이자 천재발명가인 토니 스타크가 지구를 위기에서 구하는 내용을 담은 이 영화로 아이언맨은 세계적인 슈퍼히어로로 인기를 얻었다.그 인기가 식기도 전인 아이언맨 개봉 두 달 후, 마블은 두 번째 영화 를 ... ...
- 사과 2개를 5명이 나누려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2개를 모아 마지막 사람이 갖는다고 하자. 다시 말해, 네 명은 2/5조각을 1개씩 갖고 한 명은 1/5조각을 2개 갖는다. 공평하게 나눈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최종적으로 갖게 되는 ‘양’은 2/5로 동일하지만, 2/5조각 1개와 1/5조각 2개의 ‘질’은 같지 않기 때문이다.그런데 이를 ...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알고리듬 등이 있다. 간혹 이런 무리지능 알고리듬을 군집로봇 제어와 동일하게 설명하는 글을 볼 수 있는데, 꼭 그렇지는 않다. 무리지능 알고리듬은 통신/물류 최적화, 조합최적화 등 군집로봇 외 각종 시스템에 대한 최적 제어에 광범위하게 쓰인다.최적화 기법엔 크게 결정론적 방법과 확률론적 ... ...
- ❶ 행성의 타원궤도 - 뉴턴 미적분, 죽은 케플러를 춤추게 하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원리를 밝혀냈다. 수학적인 계산을 통해 행성이 타원 궤도를 그린다는 사실도 증명했다. 그런데 실제 우주는 좀더 복잡하다. 예를 들어 지구의 궤도를 계산할 때 태양뿐 아니라 달도 고려해야 한다.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변수가 세 개 이상일 때 행성의 궤도는 어떻게 되는가’이다.이를 ‘3체 ... ...
이전3683693703713723733743753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