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는 '구름' 결정
과학동아
l
201101
상태가 초고체성에 영향을 주느냐 여부도 논란거리다. 1977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미국
프린스턴대 물리학과 필립 앤더슨 교수는 초고체가 고체헬륨의 고유한 성질이라고 믿고 있다. 만일 이 주장이 맞다면 초고체 현상은 물리학적으로 의미가 아주 크다.그러나 프랑스 고등사범학교의 ... ...
Part 3. 외계생명체 탐사는 어떻게 바뀔까
과학동아
l
201101
우리가 전혀 상상도 하지 못했던 생명체가 우주 어딘가에 있을 수 있다는 뜻이다. [
미국
의 SF시리즈 ‘스타트렉’의 1967년 3월 9일 방영분 ‘어둠 속의 악마’에는 규소를 기반으로 진화한 생명체가 등장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비소 박테리아 발견 외계생명체의 증거인가, 쇼인가] Part 1. ... ...
NASA, 3D 달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1101
3차원으로 본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과학자들이 달궤도탐사선(LRO)의 관측 결과를 토대로 달의 3차원 지도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지난해 12월 17일 NASA의 고다드 우주항공센터는 레이저빔을 이용해 달의 지형을 정교하게 측정함으로써 세계에서 가장 정확한 달의 입체지도를 만들었다고 ... ...
꼬마 우주왕복선 시험비행 성공
과학동아
l
201101
한 번씩 지상의 특정 지점을 반복해서 관찰하는 정찰위성과 같은 궤도이기 때문이다.
미국
은 “기존 우주왕복선을 대체하는 역할일 뿐”이라고만 밝히고 있다.무인우주왕복선이 시험비행에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1989년 구 소련이 개발해 이착륙 시험비행에 성공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 ...
빛으로 떠오르는 광학 날개
과학동아
l
201101
우주를 항해할 수 있다. 공상 과학에나 나올 법한 이런 우주선을 개발하는 것이 가능할까.
미국
라체스터공대의 그로버 스와츨랜더 교수팀은 머리카락 굵기의 원통형 플라스틱 막대를 만들었다. 이 막대를 세로로 잘라 물속에 집어넣고 레이저로 쬐어주자 중력을 이기고 떠올랐다. 막대가 떠오른 ... ...
FLL 로봇대회 열린다
과학동아
l
201101
어린 학생들이 과학과 공학에 흥미를 갖고 즐기도록 만든 대회다. FLL대회는 1998년
미국
에서 시작해 올해로 13번째다. 50여 개국 15만 명의 학생들이 참가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로봇대회 중 하나다. FLL 한국 예선대회는 2011년 1월 29일에 열린다.FLL대회는 팀으로만 참가할 수 있다. 팀은 만 9~16세의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01
연구소 부총장은 노벨 생리의학상의 선정 기준을 이같이 설명했다. 카롤린스카 연구소는
미국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가 공대인 것처럼 명칭만 ‘연구소’일 뿐 사실상 세계적인 의대다. 2010년부터 부총장을 맡고 있는 얀 안데르손 교수는 2007년부터 노벨 생리의학상 심사위원도 겸하고 있다 ... ...
아라온 호 '남극 200일'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101
분석하는 연구도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활발하게 참여하는 분야다. 이미 2007년부터
미국
, 프랑스, 덴마크 등 14개 나라가 공동 연구하는 ‘북극 그린란드 빙하시추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작년에는 몽골의 4000m급 산악지역에서 빙하 시추에 성공하기도 했다. 올해는 이탈리아 시추 연구에도 ... ...
바스켓을 흔드는 수학
수학동아
l
201101
속도가 빠를수록 각도가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브란카지오 박사의 결과는 2009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연구진에 의해 다시 한번 확인됐다. 연구진은 전보다 더 발달된 기법인 3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해 브란카지오 박사와 같은 결과를 냈다.농구공의 위치에 따른 림의 영역 림과 농구공이 ... ...
1년간 수학동아 부록 표지에서 만나는 컴퓨터 그래픽 예술가 폴 닐랜더
수학동아
l
201101
때, 그것이 거미줄처럼 보여 사랑에 빠질 수밖에 없었다.그는 현재 세계적으로 유명한
미국
캘리포니아에 있는 디즈니랜드에 세계에서 가장 큰 인공 산을 디자인하는 일을 하고 있다고 한다. 바쁜 와중에도 수학동아 독자들에게 자신의 작품을 소개할 수 있어서 매우 기쁘다고 전했다. 그의 또 다른 ... ...
이전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다음
공지사항